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8
요약문 4
SUMMARY 6
제1장 서론 15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6
1.2. 연구 목적 및 범위 17
1.3.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18
1.3.1. 연구방법 18
1.3.2. 추진체계 19
제2장 지진 관련 승강기 사고 현황 20
2.1. 국내외 지진 관련 승강기 사고 현황 조사 21
2.1.1. 국내 지진 관련 승강기 사고 현황 조사 21
2.1.2. 국외 지진 관련 승강기 사고사례 27
2.2. 국내외 지진 관련 사고ㆍ작동오류 유형 32
2.3. 지진감지기 관련 기준ㆍ표준 조사 및 분석 36
2.3.1. 국내 지진감지기 설치현황 36
2.3.2. 지진감지기 관련 기준 및 기능 37
2.3.3. 초고층 건물 내 승강기 지진감지기 설치 현황 및 안전확보 방안 41
2.3.4. 국내 지진감지기 종류 및 기능 47
2.4. 지진 발생 시 승강기 사고의 유형별 원인과 인명피해의 상관성 52
2.4.1. 지진 발생 시 승강기 사고의 유형별 원인 52
2.4.2. 지진 발생 시 건물 피해에 따른 승강기 피해 54
2.4.3. 지진 발생 시 승강기 피해에 따른 인명사고 연관성 55
2.5. 소결 61
제3장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의 지진진도 고려방안 연구 63
3.1. 국내 지진진도 정의에 따른 진도별 승강기 피해 수준 64
3.1.1. 지진진도 64
3.1.2. 지진진도에 따른 승강기 피해 66
3.2. 국내ㆍ외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안전기준 69
3.2.1.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안전기준별 비교 69
3.2.2. 국내ㆍ외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안전기준 상세 내용 72
3.2.3. 국내ㆍ외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관련 기준 비교ㆍ분석 결과 79
3.3. 현행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현황 및 취약점 분석 80
3.3.1. 국내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관련 제도 현황 80
3.3.2. 국내 주요 건설사 지진관제운전 규정 마련 현황 82
3.3.3. 승강기 현황 분석 등을 통한 국내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취약점 86
3.4.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용 지진감지기 설치기준의 확대 필요성 88
3.4.1.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88
3.4.2.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용 지진감지기 설치관련 법률발의 93
3.4.3. 일본의 지진 대비 승강기 안전 대책 95
3.5. 진도를 고려한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안전기준(안) 98
3.5.1. 국내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관련 제도마련 필요성 98
3.5.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개정(안) 100
3.6. 소결 102
제4장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안전기준 현장적용 전략수립 104
4.1. 현행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적용대상에 대한 검토 및 확대 방안 105
4.1.1. 지진관제운전 적용대상에 대한 검토 105
4.1.2. 지진 발생 시 2차사고 예방을 위한 지진감지기 설치 관련 국내ㆍ외 법령 비교 108
4.1.3. 국가별 건물 높이에 따른 지진감지장치 적용기준 111
4.1.4. 국내 승강기 지진감지기 설치 빌딩 사례 112
4.1.5. 지진파(P, S파)에 따른 감지 위치에 따른 지진감지기 설치 위치 검토 113
4.1.6. 국내 주요 건설사 시방서 내 지진관제운전적용 여부 조사 114
4.1.7. 국내 엘리베이터 제조사의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 115
4.2.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을 위한 기술수준 121
4.2.1. 국내 시판 지진감지기 공통 사양 121
4.2.2. 국내 엘리베이터 업체 지진관제운전 기술 수준 (현대엘리베이터, 삼일엘텍) 122
4.3. 진도 개념이 도입된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의 현장 적용성 분석 및 정책적 전략 129
4.3.1.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분석 129
4.3.2. 승강기 지진관제운전의 정책적 전략 수립 132
4.3.3. 결론 133
4.4. 승강기 지진안전을 위한 관제운전 기술개발 로드맵 134
4.4.1. 배경 134
4.4.2. 지진관제운전 개선 계획 135
4.5. 소결 139
제5장 결론 141
참고문헌 147
판권기 150
그림 1.1. 연구방법 19
그림 1.2. 연구 추진체계 19
그림 2.1. 설치연도 승강기종류별 보유현황(좌), 제조사별 승강기 설치현황(우) 21
그림 2.2. 승강기 사고통계조사 22
그림 2.3. 국내 지진발생 현황(1978~2023년) 25
그림 2.4. 규모 3.0 이상 지진의 연도별 현황(1999~2023년) 25
그림 2.5. 포항지진 안전조치 활동 건수 32
그림 2.6. 119 구조대 신고접수 건수 33
그림 2.7. 포항지진 승강기 사고유형 피해사례 34
그림 2.8. AloT 안전통합관리시스템 GyroVA 지진감지장치 프로세스 47
그림 2.9. HLEQ-02 지진감지기 48
그림 2.10. ZEFA(SD-120) 지진감지기 49
그림 2.11. SEB-H081215K, CHV-2 지진감지기 50
그림 2.12. SEQ Series 지진감지기 51
그림 3.1. 코드 대체 관련 참고자료 70
그림 3.2. EN081-77 관련 사항 71
그림 3.3. 독립적인 지진감지 장치에 의한 지진관제운전 89
그림 3.4. 지진 발생지역 91
그림 3.5. 일본 승강기 지진관제운전 시스템 95
그림 3.6. 일본 승강기 지진 안전 대책 96
그림 4.1. P파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현대엘리베이터) 115
그림 4.2. S파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 (현대엘리베이터) 116
그림 4.3.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 (오티스엘리베이터) 117
그림 4.4.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118
그림 4.5.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 (삼일엘텍) 119
그림 4.6. 지진관제운전 Flow Chart(ASME A17.1-2013) 120
그림 4.7. 역대 주요 세계 대형 지진 134
그림 4.8. 지진관제운전 개선 계획 13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