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범죄소설은 어떻게 장르적 승인에 이르는가? … 7

1부. 뉴게이트 소설의 부상과 몰락
1장 불온한 범죄소설의 등장 … 20
1. 뉴게이트 소설의 탄생 … 20
2. 형법 개혁 운동과 『폴 클리포드』 … 23
3. 범죄성의 신화화-『유진 아람』 … 28
4. 유쾌한 범죄 모험담-『룩우드』 … 34
5. 불온한 문화상품-『잭 셰퍼드』 … 38
6. 뉴게이트 소설의 몰락 … 43

2장 범죄라는 질병과 추리소설의 치유 … 47
1. 뉴게이트 소설과 추리소설 … 47
2. 뉴게이트 소설의 사회학 … 51
3. 담론적 치유의 시도와 절반의 성공-『캐더린』 … 53
4. 안전한 범죄소설과 추리소설의 치유-『올리버 트위스트』 … 62

3장 디킨즈의 과도기적 추리 서사-『황폐한 집』 … 72
1. 『황폐한 집』의 추리 서사 연구 … 72
2. 뉴게이트 소설에서 추리소설로 … 75
3. 버킷의 차별적 재현과 그 효과 … 77
4. 과도기적 범죄소설로서의 『황폐한 집』 … 86

2부. 추리소설의 형성과 장르적 번용
4장 계급, 인종, 범죄-추리소설의 정치학 … 90
1. 추리소설, 문화지형의 요충지 … 90
2. 추리소설과 계급 … 92
3. 추리소설과 민족/인종 … 99
4. 다시 안전해진 계급적, 인종적 권위 … 106

5장 콜린스의 젠더적 협상-『흰옷 입은 여인』 … 109
1. 선구적 (여성 탐정) 추리소설 … 109
2. 원형적 추리소설로서의 『흰옷 입은 여인』 … 111
3. 여성 탐정 추리소설로서의 『흰옷 입은 여인』 … 115
4. 전복적 가능성의 봉쇄 … 118
5. 순치되는 여성 탐정 … 123

6장 여성 탐정 추리소설의 성정치학 … 125
1. 추리소설의 재평가와 젠더적 편애 … 125
2. 여성 탐정의 차별적 재현과 그 효과 … 128
3. 여성 탐정 추리소설에서의 타협과 순응 … 136
4. 여성 탐정 추리소설의 진화? … 141

7장 “거슬리는 늙은 고양이들”-노처녀탐정 추리소설 … 144
1. 연구 대상의 성을 전환하기 … 144
2. 노처녀탐정의 재현 … 147
3. 노처녀탐정 추리소설에서의 젠더적 봉쇄 … 154
4. 노처녀탐정 추리소설에 내려진 보상 … 159

3부. 추리소설의 장르적 탈주와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의 탄생
8장 콘래드의 장르적 해체-『비밀요원』 … 164
1. 『비밀요원』의 장르는? … 164
2. 『비밀요원』은 스파이소설? … 167
3. 『비밀요원』은 추리소설? … 172
4. 미리 바라본 비극적인 세계 … 179

9장 계급, 남성성, 범죄-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의 사회학 … 181
1. 추리소설에 대한 저속한 모방? … 181
2. 범죄와 계급 … 186
3. 영웅에서 사업가로 … 188
4. 고독한 터프가이와 노동계급 남성성의 수호 … 192
5. 다시 타락할 준비가 된 세계 … 197

10장 “위험한 동결자본”-팜므 파탈의 경제학 … 199
1. 거미 여인 혹은 주체적 여성? … 199
2. “돈에 미친” 흡혈 인간-팜므 파탈과 자본가 … 203
3. 팜므 파탈의 처벌과 협상의 제안 … 211
4. 안전밸브 또는 희생제물 … 214

참고문헌 … 216
찾아보기 … 232
저자소개 … 238

이용현황보기

영미 범죄소설의 형성과 전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6215 823.009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6216 823.009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영미 범죄소설의 역사는 뉴게이트 소설의 탄생과 추리소설로의 전환,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의 등장으로 요약된다. 이 책 󰡔영미 범죄소설의 형성과 전개󰡕는 장르적 안착에 성공하고 장르적 변용과 장르 내 분화를 이루기 위해 영미 범죄소설이 시도한 계급, 인종/민족, 젠더 이데올로기와의 충돌과 타협, 경합과 협상을 다룬다.
뉴게이트 소설의 전개 과정은 범죄소설의 장르 내 변용과 분화가 언제나 진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뉴게이트 소설은 계급적 야만성과 사법적 잔인성을 고발하던 저항문학에서 대중성의 정점에 선 문화상품으로 전이 혹은 퇴행했다.
추리소설 내에서는 장르적 변용이 활발하게 발생했는데, 특히 젠더적 변용이 빈번하게 목격되었다. 여성 탐정 추리소설은 여성 탐정에 대한 비하적 재현과 결혼과 가정으로의 재배치를 통해 장르적 승인을 추구했다. 그러나 여성에게 탐정의 지위가 부여되기 위해서는 여성 탐정 추리소설에서의 젠더적 타협과 순응을 넘어서는 몇 겹의 장치가 더 필요했다. 노처녀탐정 추리소설은 새롭게 더해진 협상 항목―나이 든 비혼여성이 드러내는 무성성과 그녀가 공개적으로 표출하는 전통적인 젠더 규범에 대한 지지와 옹호―을 통해 ‘안전한’ 추리소설로 승인되었다.
영미 범죄소설에서 발생한 것은 장르적 변용만은 아니었다. 장르적 탈주와 위반을 통한 탈장르나 반장르의 시도와 장르적 계승과 거부도 함께 존재했다. 콘래드는 장르적 승인을 위한 범죄소설의 협상과 타협에 대한 혐오를 󰡔비밀요원󰡕을 통해 표출했고, 󰡔비밀요원󰡕은 장르적 이탈과 해제의 열망으로 가득하고 추리소설 문법에 대한 악의적 훼손으로 점철된다.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은 영미 범죄소설 중에서 장르적 자존감이 가장 낮았고, 낮은 자존감은 저열한 방식의 협상과 타협으로 이어졌다. 선정적이고 부도덕한 범죄소설이라는 낙인에서 벗어나기 위해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은 여성 혐오를 동원했다. 하드보일드 추리소설은 자본가, 언론, 공권력을 범죄성의 근원으로 규정함에도 불구하고, 처벌은 이들을 벗어나 팜므 파탈을 향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