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0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0

제2절 연구 목적 22

제3절 연구 내용 및 절차 23

1. 문헌 및 자료 조사 25

2. 행정데이터 분석 25

3. 초점집단인터뷰(FGI) 및 설문조사 26

4. 현장 및 학계 간담회 26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사업 현황분석 27

제1절 노인 건강관리 패러다임 변화 29

1. 예방적 관리(Preventable approach) 29

2.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 AIP) 30

3.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 31

4. 고령친화기술(Age-Tech, 또는 Geron-Tech) 34

제2절 공공형 노인 건강관리사업 운영 현황 36

1. 노인 건강관리사업 운영방식 36

2. 기존 노인 건강관리사업의 운영 특성 46

제3절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도입 49

1. 사업 대상자 50

2. 사업 담당인력 51

3. 사업 프로세스 53

4. 서비스 내용 54

5. 제공 디바이스 56

제3장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효과분석 59

제1절 분석 개요 61

1. 분석 변수 및 방법 61

2. 분석대상자 62

3. 분석 방법 64

제2절 분석 결과 66

1. 분석대상자 일반적 특성 66

2. 군분류 유형별 건강 특성과 개선 정도 71

3. 지역 특성에 따른 건강 특성과 개선 정도 75

4/3. 참여기간에 따른 건강 특성과 개선 정도 77

5/4. 시간에 따른 건강지표 변화 80

제3절 소결 93

제4장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 실태조사 94

제1절 보건소 현장전문가 대상 FGI 96

1.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s; FGI) 개요 96

2. 지역별 사업담당자 FGI 결과 99

제2절 보건소 현장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111

1. 설문조사 개요 111

2. 현장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113

제3절 소결 130

1. 조직과 기관관리 130

2. 인력 및 업무관리 131

3. 서비스 내용 및 효과 132

4. 서비스 제공방식 및 공급관리 132

제5장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개선방안 134

제1절 결과 논의 136

1.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의 효과 136

2.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운영의 실태 137

제2절 사업 개선방안 139

1. 주요 문제 139

2. 주요 문제별 개선 방향 144

3. 실천 방안 145

제3절 향후 과제 149

참고문헌 155

판권기 158

표목차 7

〈표 2-1〉 공공형 노인 건강관리사업 현황 36

〈표 3-1〉 건강지표별 점수 범위 61

〈표 3-2〉 참여기간 정의 64

〈표 3-3〉 패널데이터 패턴 65

〈표 3-4〉 분석대상자 일반적 특성 67

〈표 3-5〉 건강지표별 개선정도 전-후 비교 71

〈표 3-6〉 군분류에 따른 일반적 특성 72

〈표 3-7〉 군분류에 따른 대상자 건강특성 차이 비교 73

〈표 3-8〉 군분류별 건강지표 개선정도 전-후 비교 74

〈표 3-9〉 지역특성에 따른 대상자 건강특성 차이 비교 75

〈표 3-10〉 지역별 건강지표 개선정도 전-후 비교 76

〈표 3-11〉 참여기간에 따른 대상자 건강특성 차이 비교 78

〈표 3-12〉 참여기간별 건강지표 개선정도 전-후 비교 79

〈표 3-13〉 사전-사후 건강 모니터링 건강지표별 평균점수 80

〈표 3-14〉 BMI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2

〈표 3-15〉 최저/최고혈압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3

〈표 3-16〉 공복/식후혈당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4

〈표 3-17〉 악력값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6

〈표 3-18〉 평형성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7

〈표 3-19〉 활동정도(평상시/중강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8

〈표 3-20〉 근력운동정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89

〈표 3-21〉 허약점수(전반적/사회적)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90

〈표 3-22〉 인지점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91

〈표 4-1〉 FGI 진행 일정 96

〈표 4-2〉 보건소별 특성 97

〈표 4-3〉 그룹별 참여자의 주요 특성 98

〈표 4-4〉 사업담당자 FGI 질문안 99

〈표 4-5〉 사업담당자 FGI 분석 결과 도출한 영역과 범주 100

〈표 4-6〉 AIㆍIoT 사업 업무담당자 경험 인터뷰 종합 108

〈표 4-7〉 설문 항목 구성 112

〈표 4-8〉 설문조사 대상자 특성 113

〈표 4-9〉 AIㆍIoT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수행 방법 115

〈표 4-10〉 AIㆍIoT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담당자 유무 116

〈표 4-11〉 사업참여자 중 동시 이용자의 비율 116

〈표 4-12〉 등록 우선순위 대상자 기준 117

〈표 4-13〉 사업 대상자의 건강 취약 비율 119

〈표 4-14〉 사업 참여자의 가입 경로 119

〈표 4-15〉 취지와 목적의 적절성 120

〈표 4-16〉 서비스 대상자의 적절성 121

〈표 4-17〉 서비스 내용의 적절성 121

〈표 4-18〉 시스템과 AIㆍIoT 기술의 적절성 122

〈표 4-19〉 사업 운영 형태의 적절성 123

〈표 4-20〉 이용자/제공자 교육의 적절성 124

〈표 4-21〉 가장 개선이 필요한 업무(지역별 구분) 124

〈표 4-22〉 가장 개선이 필요한 업무(차수 구분) 126

〈표 4-23〉 장기 추진 시 예상되는 문제 127

〈표 4-24〉 본 사업 확대방안 129

그림목차 9

[그림 1-1] 연구 수행 절차 24

[그림 2-1] AIP Scheme's approach involves three areas of support 31

[그림 2-2] 국가별 EHR 개인 건강 기록 접근 및 이용 여부 33

[그림 2-3] 조라, 알파미니, 순이(생활지원로봇) 35

[그림 2-4] 해온이, 효돌이(치매돌봄로봇, 아래) 35

[그림 2-5]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모델 37

[그림 2-6] 복지서비스 의뢰절차(보건소→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39

[그림 2-7] 보건서비스 의뢰절차(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보건소) 39

[그림 2-8]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흐름도 41

[그림 2-9] 의료취약지 의료지원시범사업(의사 ↔ 의사 원격협진) 42

[그림 2-10] 의사 ↔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원격협진 모형 42

[그림 2-11]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모형 44

[그림 2-12]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절차도 45

[그림 2-13]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과 방문사업 비교 49

[그림 2-14]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담당인력 52

[그림 2-15]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흐름도 53

[그림 2-16]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흐름도 55

[그림 2-17] AIㆍ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사업 제공 디바이스 56

[그림 2-18] 일반형 AI스피커 개요 57

[그림 2-19] 화면형 AI스피커 개요 58

[그림 3-1] 대상자 클리닝 절차 63

[그림 3-2] 참여기간 변화에 따른 건강지표 점수변화 92

[그림 4-1] 설문조사 기능 구현 페이지 111

[그림 4-2] 사업 장기적 추진 시 애로사항 127

[그림 4-3] 사업 확대 방향 128

[그림 5-1] 주요 문제와 개선사항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