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6

초록 4

Abstract 5

연구요약 11

Ⅰ. 서론 18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1. 연구의 배경 18

2. 연구의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Ⅱ. 선행연구 검토 21

제1절.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21

1. 주민자치회 및 주민자치위원회 개념과 주요 현황 21

2. 지역사회와 주민자치회 관련 선행연구 27

3. 상호문화주의 국내ㆍ외 선행연구 38

제2절. 해외사례 52

1. 해외사례의 분석 틀 52

2. 언어 분야 (언어 수업, 언어에 대한 재정 지원, 소수 언어지원 등) 53

3. 공공장소 및 비즈니스, 사회생활을 통한 교류 55

4. 차별 방지 및 홍보 58

5. 참여 및 갈등관리 61

6. 이민자 환영 63

7. 국제적 관점 63

8. 소결 64

Ⅲ. 정책 추진 체계 및 추진 사례 비교분석 65

제1절.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문화정책 거버넌스 체계 65

1. 거버넌스 체계 65

2. 지방자치단체: 경기도의 사례 69

제2절. 자치구별 사례 비교분석 73

1. 안산시 사례 73

2. 관악구 사례 80

3. 구로구 사례 85

4. 영등포구 사례 90

5. 소결 96

Ⅳ. 면접조사 분석 97

제1절. 면접조사 개요 97

제2절. 분석 결과 99

1. 심층면접 인터뷰 결과 분석 99

Ⅴ. 결론 및 제언 107

제1절.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 107

1. 정책적 시사점 107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09

참고문헌 111

[부록 1] 전국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현황(1,274개 읍면동 / 143개 시군구 / 16개 시도) 118

판권기 4

표목차 8

〈표 Ⅱ-1〉 주민자치위원회와 주민자치회의 제도 비교 24

〈표 Ⅱ-2〉 주민자치회 관련 선행연구 30

〈표 Ⅱ-3〉 주민 참여 관련 선행연구 32

〈표 Ⅱ-4〉 시민참여 관련 선행연구 35

〈표 Ⅱ-5〉 주민 참여 관련 선행연구 36

〈표 Ⅱ-6〉 다문화정책과 상호문화정책의 시행 원칙 비교 49

〈표 Ⅱ-7〉 ICC-Index 설문지 52

〈표 Ⅲ-1〉 외국인 주민 정책 관련 위원회 67

〈표 Ⅲ-2〉 중앙부처별 외국인 정책 68

〈표 Ⅲ-3〉 외국인 정책 추진 기구 69

〈표 Ⅲ-4〉 경기도 외국인 주민 정책 관련 기관 70

〈표 Ⅲ-5〉 경기도 외국인복지센터 71

〈표 Ⅲ-6〉 경기도 비영리민간단체 71

〈표 Ⅲ-7〉 안산시 체류자격별 외국인 주민현황 74

〈표 Ⅲ-8〉 안산시 연령별 외국인 주민현황 75

〈표 Ⅲ-9〉 안산시 출신 국가별 외국인 주민현황 76

〈표 Ⅲ-10〉 경기도 대비 안산시 국적 미취득자 유형 비교 78

〈표 Ⅲ-11〉 안산시 다문화가족 현황 78

〈표 Ⅲ-12〉 관악구 체류자격별 외국인 주민현황 80

〈표 Ⅲ-13〉 관악구 연령별 외국인 주민현황 81

〈표 Ⅲ-14〉 관악구 출신 국가별 외국인 주민현황 81

〈표 Ⅲ-15〉 서울특별시 대비 관악구 국적 미취득자 유형 비교 83

〈표 Ⅲ-16〉 관악구 다문화가족 현황 84

〈표 Ⅲ-17〉 구로구 체류자격별 외국인 주민현황 86

〈표 Ⅲ-18〉 구로구 연령별 외국인 주민현황 86

〈표 Ⅲ-19〉 구로구 출신 국가별 외국인 주민현황 87

〈표 Ⅲ-20〉 서울특별시 대비 구로구 국적 미취득자 유형 비교 88

〈표 Ⅲ-21〉 구로구 다문화가족 현황 89

〈표 Ⅲ-22〉 영등포구 체류자격별 외국인 주민현황 91

〈표 Ⅲ-23〉 영등포구 연령별 외국인 주민현황 92

〈표 Ⅲ-24〉 영등포구 출신 국가별 외국인 주민현황 92

〈표 Ⅲ-25〉 서울특별시 대비 영등포구 국적 미취득자 유형 비교 94

〈표 Ⅲ-26〉 영등포구 다문화가족 현황 95

〈표 Ⅳ-1〉 면접조사 응답자 특성 98

〈표 Ⅳ-2〉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개념 이해 99

〈표 Ⅳ-3〉 주민자치회에 대한 개념 이해 100

〈표 Ⅳ-4〉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 간의 상호교류(역량) 103

〈표 Ⅳ-5〉 제도(법제화) 요인 104

〈표 Ⅳ-6〉 지역사회 내에서의 겪는 문제점 및 애로사항 105

그림목차 10

〈그림 Ⅱ-1〉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사회 개념 45

〈그림 Ⅲ-1〉 외국인 정책 추진 기구 및 중앙부처 역할 65

〈그림 Ⅲ-2〉 안산시 국적 미취득자 77

〈그림 Ⅲ-3〉 관악구 국적 미취득자 82

〈그림 Ⅲ-4〉 구로구 국적 미취득자 88

〈그림 Ⅲ-5〉 영등포구 국적 미취득자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