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6
초록 4
Abstract 5
연구요약 11
Ⅰ. 서론 18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8
1. 연구의 배경 18
2. 연구의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Ⅱ. 선행연구 검토 21
제1절.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21
1. 주민자치회 및 주민자치위원회 개념과 주요 현황 21
2. 지역사회와 주민자치회 관련 선행연구 27
3. 상호문화주의 국내ㆍ외 선행연구 38
제2절. 해외사례 52
1. 해외사례의 분석 틀 52
2. 언어 분야 (언어 수업, 언어에 대한 재정 지원, 소수 언어지원 등) 53
3. 공공장소 및 비즈니스, 사회생활을 통한 교류 55
4. 차별 방지 및 홍보 58
5. 참여 및 갈등관리 61
6. 이민자 환영 63
7. 국제적 관점 63
8. 소결 64
Ⅲ. 정책 추진 체계 및 추진 사례 비교분석 65
제1절.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문화정책 거버넌스 체계 65
1. 거버넌스 체계 65
2. 지방자치단체: 경기도의 사례 69
제2절. 자치구별 사례 비교분석 73
1. 안산시 사례 73
2. 관악구 사례 80
3. 구로구 사례 85
4. 영등포구 사례 90
5. 소결 96
Ⅳ. 면접조사 분석 97
제1절. 면접조사 개요 97
제2절. 분석 결과 99
1. 심층면접 인터뷰 결과 분석 99
Ⅴ. 결론 및 제언 107
제1절.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 107
1. 정책적 시사점 107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09
참고문헌 111
[부록 1] 전국 주민자치회 시범실시 현황(1,274개 읍면동 / 143개 시군구 / 16개 시도) 118
판권기 4
〈그림 Ⅱ-1〉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사회 개념 45
〈그림 Ⅲ-1〉 외국인 정책 추진 기구 및 중앙부처 역할 65
〈그림 Ⅲ-2〉 안산시 국적 미취득자 77
〈그림 Ⅲ-3〉 관악구 국적 미취득자 82
〈그림 Ⅲ-4〉 구로구 국적 미취득자 88
〈그림 Ⅲ-5〉 영등포구 국적 미취득자 9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