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의 문학적 수용과 ‘마음’의 형상 1_『심경』의 유입과 독서 2_유가 수양론과 『심경』 3_수양론의 문학적 수용 4_‘마음’의 문학적 형상 5_마무리:지경을 위하여
제1부 마음의 문학
『심경부주』에 나타난 공부 방법론과 문학적 형상화-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1_서론 2_『심경부주』에 나타난 ‘공부’ 3_공부의 방법론 4_공부론의 문학적 형상화 5_결론
성재 금난수의 심재의 추구와 그 의미1_서론 2_주경과 심재의 추구 3_심재에 바탕한 문학적 형상화 4_실천과 자득을 통한 도학적 세계의 구현 5_결론
「오일론심기」의 주제론적 접근-‘마음’에 대한 변증법적 인식을 통한 삶의 성찰1_들어가는 말 2_다양한 양식의 차용과 그 기능 3_내면적 욕구의 분출과 그 향방 4_양식의 기능과 주제의 형상화 - 마무리
『심경부주』와 『대승기신론』의 심 구조와 수양론 비교 고찰1_머리말 2_『심경부주』와 『대승기신론』의 심 구조 3_『심경부주』와 『대승기신론』의 수양론 4_맺음말
고대 화랑의 영성과 감성적 문화 탐색1_화랑, 문화 원형으로의 탐색 2_화랑문화에 나타난 영성 3_화랑문화에 나타난 감성 4_화랑, 현대인과의 조우
제2부 문학의 마음
개암 강익의 심학과 그의 시가문학1_머리말 2_심학에 대한 강익의 입장 3_강익 시가문학에 작동한 심학 4_강익 시가문학의 의의 5_맺음말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심학과 그 특징1_서론 2_간송 조임도의 학문과 심학 3_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심학의 양상 4_현실 사회와 삶으로 이어지는 심학 5_결론
도산서원 천연대의 문학적 형상과 경관 의미1_머리말 2_천연대의 축조와 명명 의미 3_천연대의 문학적 형상 양상 4_천연대의 문학경관적 의미 5_맺음말
세심정 관련 한시에 나타난 공간감성과 그 의미1_들어가며 2_세심정과 관련 한시 현황 3_한시를 통해 본 세심정의 공간감성 4_세심정에 나타난 공간감성의 의미 5_나가며
근대 전환기 전통지식인의 마음 인식과 문학적 상상력의 향방-명암가사 「태평책가」를 중심으로1_서론 2_명암 이태일의 마음 인식 3_명암가사 「태평책가」의 마음 형상 4_근대 전환기 전통지식인의 문학적 상상력과 그 향방 5_결론
이용현황보기
마음의 문학, 문학의 마음 : 『심경』과 문학의 상관성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7100
811.09 -25-2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7101
811.09 -25-2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마음의 문학, 문학의 마음 ―『심경』과 문학의 상관성― 이 책은 『심경』이 조선으로 유입됨에 따라 선비 작가들이 마음을 문학 작품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려냈던가 하는 문제를 다룬 것이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마음과 그것의 형상인 문학을 이해하고자 할 때, 연구자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 바로 『심경』이다. 선비 작가들은 이를 통해 스스로를 수양했고, 이를 통해 작품을 창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만들어 갔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러하므로 경북대학교 한국문학사상연구실의 주요 강독 교재 가운데 하나도 『심경』이었다. 우리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논의를 전개하되, 『심경』과 ‘마음’의 상관성을 염두에 두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