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Emotion-focused therapy for complex trauma : an integrative approach (2nd ed.)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역자 서문 한국의 독자를 위한 서문 외상에 대한 정서중심치료 소개: 발달, 특징 정의, 강점 및 기여
제1부 이론
제1장 외상과 그 영향 외상의 정의 외상 사건의 유형 유병률 및 위험 요인 외상의 영향 치료에 대한 시사점
제2장 EFTT 치료 모델 이론적 기초 EFTT의 구별되는 특징 EFTT와 정서중심치료의 일반 모델 간의 차이점 치료 모델
제3장 정서를 가지고 작업하기 EFTT의 기반이 되는 정서 이론에 대한 개관 변화 과정: EFTT에서의 정서처 변화 모델 및 EFTT의 단계
제2부 실무
치료의 초기 단계
제4장 동맹 구축하기 생산적인 동맹을 발달시키기 위한 개입 원리 EFTT 1단계에서의 동맹 형성 목표 첫 세 회기의 진행 동맹의 어려움
제5장 경험하기의 증진 경험하기의 특징 경험하기에 대한 EFTT와 다른 관점과의 비교 경험하기와 다른 구인과의 비교 경험하기의 측정 치료에서의 경험하기에 대한 연구 단계별로 경험하기를 심화시키는 과정 구조화된 포커싱 절차에 대한 지침 경험하기의 어려움
제6장 심상적 직면의 절차 가해자에 대한 IC 개입 원리 IC 참여 과정 IC 절차 및 해당 치료자 작업의 단계 초기 IC에서의 관계 발전 IC의 대안으로서의 환기적 탐색 초기 IC에 대한 내담자의 어려움
치료의 중기 단계
제7장 EFTT에서의 기억 작업 이론 기억 작업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EFTT에서 기억 작업의 목표와 과정 EFTT 기억 작업에 대한 실무 지침 기억이 흐릿할 때의 기억 작업 차단된 기억 결함이 있거나 손상된 자기에 대한 기억 요약, 고려 사항 및 주의 사항
제8장 내적 경험에 대한 두려움, 불안 및 회피 감소시키기 두려움, 불안 및 회피에 대한 관점: EFTT와 다른 접근법 비교 과정 진단: 다양한 유형의 두려움과 불안 구별 변화 과정 및 목표 불안과 두려움을 다루기 위한 개입 내담자가 일차 정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제9장 죄책감, 수치심, 자기비난 변화시키기 죄책감과 수치심에 대한 관점: EFTT와 다른 접근법 비교 과정 진단: 다양한 유형의 수치심 경험 구별 변화 과정 및 목표 수치심과 관련된 개입 원리 이차 수치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개인 기준 위반에 관한 적응적 일차 수치심에 대한 개입 부적응적 일차 수치심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입 자비로운 자기진정 두려움 및 수치심을 다룰 때의 어려움
치료의 후기 단계
제10장 적응적 분노를 통한 대인외상의 해결 대인외상의 해결에 대한 이론 및 연구 개관 이론적 관점에서 본 분노와 외상 과정 진단: 다양한 유형의 분노 구별 개입 원리 부적응적 분노의 변화를 위한 개입 적응적 일차 분노를 촉진하기 위한 개입
제11장 슬픔 및 비탄을 통한 대인외상의 해결 이론적 관점에 따른 외상성 비탄 과정 진단: 다양한 유형의 슬픔 구별 변화 과정 및 목표 적응적 슬픔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 원리 슬픔 및 상실에 대한 애도를 촉진하는 개입 다양한 유형의 슬픔에 대한 개입
제12장 종결 변화의 완성 및 공고화 제한된 변화에 대한 인식 및 수용 상호 피드백 공유 해결의 어려움 치료 종결의 어려움 미래를 향한 다리
맺는말
부록 A: 내담자 경험하기 척도 단축형 부록 B: 작업동맹척도 단축형 부록 C: 해결정도척도 단축형 부록 D: EFTT 보완으로서의 요가 치료: 신체 기반 개입의 통합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복합외상에 대한 정서중심치료 : 통합적 접근법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