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부 건요 조사기(調査記) ─ “공어”·“진잔”명흑유완(“供御”·“進琖”銘黑釉碗)을 중심으로
제1장 건요와 “공어”·“진잔”명흑유완 ─건요 조사기 (1) 1. 『도아(匋雅)』・『건구현지(建甌縣志)』 토호잔(兔毫盞) 관련 기록의 검토—조사의 계기 2. 지중촌(池中村) 수미람유지(水尾嵐遺址)와 그 성격 문제 3. 건요요지의 조사와 “공어”・“진잔”명 자료 4. 대로후문산요지(大路後門山窯址)(Y4・Y9) 출토 “공어”・“진잔”명흑유완 5. 나머지말—송백윤(宋伯胤)・증범(曾凡) 두 선생의 업적을 기리며
제2장 건요와 “공어”·“진잔”명흑유완 그리고 수미람유지 ─건요 조사기 (2) 1. 조사의 계기—제1차 건요 조사에서 남겨진 과제들 2. 옛 건양자창(建陽瓷廠)과 용요(龍窯) 문제 3. 수미람유지의 확대 조사 4. 건요요지의 조사—“공어”・“진잔”명 자료를 중심으로 5. 주건평송대건요장품관(周建平宋代建窯藏品館) 소장 “공어”・“진잔”명흑유완의 검토 6. 나머지말—미지(未知)의 건요를 바라보며
제3장 건요“공어”·“진잔”명흑유완과 그 지평을 넘어 ─건요 조사기 (3) 1. 머리말—제3차 조사를 위한 변(辨) 2. 수미람유지의 보충 조사 3. 노화평유지(蘆花坪遺址) 출토 “공어”명흑유완과 그 성격 문제 4. 우피륜요지(牛皮崙窯址) 제3구역의 조사 5. 대로후문산청화백자요지(大路後門山靑花白瓷窯址)의 신발견 6. 맺는말—건요“공어”・“진잔”명흑유완의 지평을 넘어
제Ⅱ부 건요의 “공어”·“진잔”명흑유완 연구
제1장 건요의 “공어”·“진잔”명흑유완에 대한 기초적 검토 1. 머리말 2. “공어”・“진잔”명흑유완과 점병(墊餠) 3.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출토현황 4.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조형적 특징 5.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생산과 공급 6. 맺음말
제2장 건요“공어”·“진잔”명흑유완의 제작시기 문제 1. 머리말 2.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제작시기에 대한 여러 견해 3. “공어”・“진잔”명흑유완의 기형적(器形的) 특징 4. “공어”명흑유완과 “진잔”명흑유완의 시기적 선후관계 문제 5.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제작시기에 대한 탐색 6. 나머지말─남아 있는 몇 가지 과제
제Ⅲ부 건요 연구의 제문제
제1장 범중엄(范仲淹)의 「화장민종사투다가(和章岷從事鬪茶歌)」와 건요흑유완 ─북송중기 건요흑유완의 위상 변화의 일단면 1. 머리말 2. 「화장민종사투다가」의 구성과 내용 3. 「화장민종사투다가」의 개수(改修) 문제 4. 「화장민종사투다가」와 그 개수 과정을 통하여 본 건요흑유완의 위상 변화 5. 맺음말
제3장 건요흑유완과 휘종(徽宗) 1. 머리말 2. 휘종의 『대관다론(大觀茶論)』 잔조(盞條)의 분석 3. 건요의 “공어”・“진잔”명흑유완과 휘종 4. 휘종대 궁중에서 사용한 건요흑유완 5. 맺음말—건요흑유완 전개 과정에 있어서의 휘종시기
제4장 건요의 “신요”명흑유완(“新窯”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1. 머리말 2. “신요”명이 있는 실물자료의 현황 3. “신요”명흑유완의 제작시기 4. “신요”명흑유완의 성격 문제 5. 맺음말
결 론
도판출처 참고문헌 치사(致謝)
이용현황보기
건요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7987
738.2095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7988
738.2095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건요와 관련된 다양하고 흥미로운 문제들을 탐색하다
건요는 일찍부터 송대의 대표적인 명요 가운데 하나로 꼽혀왔다. 건요가 이렇게 유명해진 것은 이 요장에서 생산한 흑유완이 송대 최고의 찻잔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건요흑유완은 어용자기로 채택되어 공어되었는데, 굽의 안바닥에 “공어(供御)” 혹은 “진잔(進琖)”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거나 찍혀 있는 “공어”·“진잔”명흑유완(“供御”·“進琖”銘黑釉碗)이 그 증거이다. 송대인들은 각별히 건요흑유완을 다른 요장의 흑유완과 구별하여 “건잔(建盞)”으로 일컬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이러한 건요와 관련된 무엇보다도 흥미로운 사실은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잔편들이 건요요지로부터 1~2㎞가량 떨어진 수미람유지(水尾嵐遺址)에서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는 점이다. 이곳은 지형적인 측면에서 볼 때 건요의 요장이 있었을 성싶지 않은 곳이다. 왜 이런 곳에 상당 수량의 “공어”·“진잔”명흑유완이 폐기된 것일까? 이곳과 건요요장은 무슨 관계였을까? 더 나아가 이곳에서 발견되는 “공어”·“진잔”명흑유완편들은 건요에서의 어용자기 생산 및 공급체계에 관하여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