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GE 4 경영실행과 평가하기 Chapter 9 조직화 1절 조직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이유 2절 조직문화 3절 조직화의 트렌드 Chapter 10 지휘 1절 지휘: 조직구성원을 이끌어가기 2절 리더십 3절 동기부여 4절 의사소통 Chapter 11 통제 1절 통제: 경영평가하기 2절 통제과정 3절 통제기법
STAGE 5 경영관리와 경영트렌드 Chapter 12 경영관리: 사람과 제품, 그리고 자금 1절 인적자원관리 2절 마케팅관리 3절 재무관리 Chapter 13 경영관리: 생산과 정보시스템 1절 생산운영관리 2절 정보관리 Chapter 14 디지털 경영혁신 1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2절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
이용현황보기
두드림 경영학 = Do dream busines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8013
658 -25-1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78014
658 -25-1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24848
658 -25-1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수 세기 동안 기업은 이윤 창출은 물론 개인 간 또는 국가 간의 질서와 경쟁 규칙을 새롭게 만들었다. 기업이 만든 시계 바늘로 시간을 쉽게 측정할 수 있었고, 기업이 만든 세탁기는 가사 노동의 변화를 가져왔다. 기업이 만든 스마트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이용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는 기업의 도전과 혁신이 만든 결과물이다. 경영학은 수많은 조직 중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영학은 기업이 가진 많은 자원을 활용해서 어떻게 이익을 만들고 세상에 필요한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다룬다. 이 논리는 ‘계획수립 →조직화 →지휘 →통제’라는 경영과정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며, <두드림 경영학>은 이 과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두드림 경영학>이 출판되고 5년의 세월이 지났고, 그동안 경영환경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ESG 경영의 확산, 국내외 주요 기업의 인수합병 및 분할, 플랫폼 기업의 약진, 생성형 AI 출현에 따른 업무 생산성 변화 등이 대표적이다. 이번 개정판은 <두드림 경영학>이 강조하는 ‘계획 → 실행 → 평가’ 과정의 기존 구조를 유지하면서, 급속히 변화한 경영환경의 주요 이슈와 사례들을 관련 챕터에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외에도 기존의 경영관리 챕터를 ‘12장 경영관리: 사람, 제품 그리고 자금’과 ‘13장 경영관리: 생산과 정보시스템’으로 구분하고 해당 내용을 더욱 자세히 다루었다. 마지막 14장 ‘디지털 경영혁신’은 기존의 내용과 함께 파이프라인 비즈니스와 플랫폼 비즈니스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집중하였다. 한편, <두드림 경영학>의 가장 큰 변화는 각 챕터 말미에 ‘학습점검 문제’와 ‘경영연습’을 추가한 점이다. 특히 ‘경영연습’의 경우, 해당 챕터와 관련이 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학습자가 해당 시나리오에 주인공이 되어 경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연습하도록 설계하였다. 정해진 답이 없으므로, 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자유로운 주제 토론이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도 주요 경영기법이나 학술 용어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일러스트를 다수 추가하여 경영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두드림 경영학>이 강조하는 경영원리는 기업이 ‘목표 달성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실행하며 실행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경영의 기본원리(계획 → 실행 → 평가)는 기업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미래 인생 설계에서도 이 원리는 고스란히 적용된다. 그래서 <두드림 경영학>은 경영학의 세계를 노크한다는 뜻과 경영학을 공부하여 자신의 꿈을 실현하자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이 분야를 15년 이상 강의했던 저자에게 경영학 입문서를 만든다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경영학 입문서를 쉽게 쓰지 못하는 저자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선배 교수님과 동료 교수님들의 따뜻한 격려로 <두드림 경영학>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고, 기존 내용을 한 줄씩 다시 읽어가며 수정을 마침으로써 이번 개정 작업을 즐겁게 마무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