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우리 아들, 공부 잘할 수 있을까? : 공부 1. [국어] 수능 대박 나려면 삼국지를 읽게 하라 2. [지필평가] 남학교는 내신 등급 받기 쉬울까 3. [수행평가] 필기 노트 10장보다 독서감상문 1장! 4. [문과/이과] 의대 열풍과 이과 쏠림 현상 5. [재수/삼수/N수] 재수할 생각은 아예 하지 마라 6. [독서] 결국, 모든 답은 책 읽기에 있다
II. 엄마의 걱정보다 평화로운 : 교내 생활 1. [김영란법] 선생님께는 커피 한 잔도 안 된다 2. [학교 폭력] 사건은 선생님이 없는 곳에서 벌어진다 3. [체벌] 때려서 훈육하지 않는다 4. [흡연] 요즘 아이들은 담배 많이 안 피운다 5. [두발 자유화] 중고등학생이 염색, 파마? 해도 된다
III. 요즘 학교, 많이 좋아졌다 : 학교 환경 1. [학급 환경] 남학교 교실에는 ○○이 없다 2. [종교] 미션스쿨에 불교인 학생도 있다 3. [출석] 질병 결석 며칠은 점수 안 깎인다 4. [급식] 학교 밥이 맛없다고 하는 이유 5. [자기주도학습] 이름만 바뀐 야자
IV. 고등학생들도 손꼽아 기다리는 : 행사 1. [입학식] 일 년의 시작은 3월 2일 2. [동아리] 진로와 관련 없어도 괜찮다 3. [체육대회] 남자들은 축구에 목숨을 건다 4. [수학여행] 아이들이 원하는 곳으로 간다 5. [졸업식] 교문 앞에 경찰차가 와 있는 날
V. 함께 하는 시간, 모두 자라고 있다 : 성장 1. [키] 우리 아들 빼고 다 커 보이지만 2. [친구 관계] 그럼 난 누구랑 놀아? 3. [패션] 아이폰과 에어 조던, 그리고 소속감 4. [자해] 절대, 자살하지 마라 5. [놀이] 즐거운 삶의 시작 6. [군대] 여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이야기
※ 가정통신문 - 2024학년도 1학기 1, 2, 3학년 학생과 학부모 사이 소통방법 안내
이용현황보기
남학교 생활 상담소 : 아들 키우는 학부모를 위한 27가지 성장 가이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22048
371.4 -25-13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사랑하는 아들의 인생, 지금 부모님이 얼마나 아느냐가 결정한다!
15년 차 남학교 교사 장성민쌤이 솔직털털하게 말하는 남학교의 진짜 모습들!
수행평가부터 급식, 체벌과 학교 폭력까지!
이 책은 남중, 남고를 나와 지금은 남학교 선생님을 하고 있는 저자가 쓴 ‘남학교 생활의 모든 것’이자 ‘남학교 생활 가이드’이다.
스스로 원해서든, 어쩔 수 없이 왔든 남학교라는 미지의 환경은 불안을 일으킨다. 아이들이 거칠지는 않을까? 사고가 많은 건 아닐까? 문과가 불리할까? 질문이 가득하지만 답을 주는 사람은 없다. 저자는 학생과 학부모 모두 남학교에 대한 편견, 불안, 높은 기대치에 휘둘리기보다 있는 그대로를 알고, 직접 부딪치며 똑바로 마주보기를 바란다. 그래서 이 책에는 지필평가나 수행평가, 문과와 이과 문제 등의 사안부터, 직접적인 생활 환경인 교실과 급식, 행사 등에 대한 소소한 사항들, 또한 사춘기 남학생들이 흔하게 겪는 고민의 주제인 키, 패션, 놀이, 군대 등에 대한 이야기까지 가감 없이 풀어낸다. 이 이야기들을 읽고 나면 아들이 걱정되지도, 남학교가 불안하지도 않을 것이다. 문과 VS. 이과, 어떻게 결정할까? 남학교는 내신 등급 받기가 정말 쉬울까? 남학교에서는 아직도 체벌을 할까? 급식이 맛없다는데,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키가 너무 작은 것 같은데 괜찮을까?
“남학교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아들에 대한 고민입니다!”
남학교가 걱정인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속 시원한 이야기들!
이 책에 담긴 저자의 솔직한 이야기를 통해 학생들은 남학교에 대한 소문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만의 호흡으로 학교 생활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학부모님, 특히 엄마들이 아들을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다른 성별, 다른 세대이기에 아들과 엄마의 사이는 제법 먼 것처럼 느껴진다. 어떤 엄마들은 ‘우리 아들은 아무 생각이 없는 것 같아요.’라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남학생과 살 부대끼며 생활하는 저자의 말들을 통해 아들을 더 가깝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부록으로는 아들과의 소통을 위한 방법이 담긴 가정통신문도 있으니 참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