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9

요약 19

제1장 서론 37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8

1. 사업의 필요성 38

2. 사업의 목적 39

제2절 사업의 내용 41

1. UNESCO-UNEVOC 제4차 중기 전략(2024-2026) 내용 분석 41

2. 국제 및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지역의 기술직업교육훈련 동향 분석 42

3. UNESCO-UNEVOC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개최 43

4. 사업의 목표 및 달성도 43

제3절 사업 추진의 방법 및 일정 45

1. 사업 추진 방법 45

2. 사업 추진 일정 52

제2장 UNESCO-UNEVOC,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 53

제1절 UNESCO-UNEVOC의 개요 및 국내외 TVET 동향 54

1. UNESCO와 UNESCO-UNEVOC의 개념 및 현황 54

2. UNEVOC 클러스터와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 61

제2절 국제 및 국내 TVET 동향 66

1. OECD Skills Outlook 2023 주요 내용 66

2. ADB Strategy 2030 Education Sector 주요 내용 67

3. 아프리카 국가 TVET 주요 현황 68

4.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국가 TVET 주요 현황 81

제3장 워크숍 준비 144

제1절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145

1. 워크숍 기획을 위한 국제 유관기관 전문가 협의회의 개최 145

2.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요 조사 실시 148

제2절 워크숍 수요 분석 및 주제 선정 157

1. TVET 우선순위 및 워크숍 관련 수요 조사 결과 157

2. 워크숍 대주제 및 세부 주제 확정 175

제3절 워크숍 사전 준비 176

1. 워크숍 발표 희망자 온라인 협의회 176

2. UNESCO-UNEVOC 온라인 협의회 180

3. 워크숍 사전 홍보 및 온라인 접수 181

제4장 2024 UNESCO-UNEVOC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183

제1절 워크숍 개최 184

1. 워크숍 개요 185

2. 워크숍 개회식 190

3. 기조연설, 특별세션, 감사의 말씀 193

4. 주제 발표 196

제2절 TVET 학교 및 유관기관 견학 228

1.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견학 228

2.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견학 232

3. 교과서박물관 및 대통령기록관 견학 232

제3절 워크숍 만족도 결과 및 시사점 235

1. 워크숍 만족도 조사 235

2. 워크숍 만족도 조사 결과의 시사점 252

제5장 국내외 유관기관 전문가 토론회 및 세미나 개최 254

제1절 국내 전문가 토론회 개최 255

1. 토론 주제 1: 국제 협력 사업 경험 및 성과 256

2. 토론 주제 2: 국제 협력 사업의 문제점과 한계 259

3. 토론 주제 3: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준비와 개선 방안 262

4. 시사점: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추진 방안 263

제2절 국내외 TVET 국제 사업 전문가 세미나 개최 266

1. 세미나 발표 및 토론 267

2. 전문가 대담 272

제3절 직능연-국제 유관기관(JILPT, 일본) 간 국제 세미나 275

1. 세미나 발표 및 토론 276

2. 전문가 회의 276

3. 전문가 발표 280

제6장 사업의 성과 및 정책 제언 283

제1절 2024년 사업 성과 요약 284

1. 2024년 사업의 주요 성과 284

2. 2024년 사업의 차별성 285

제2절 워크숍 성과 확산: 홍보와 공유 286

1.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 홍보 286

2. UNESCO-UNEVOC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클러스터 네트워크 강화 워크숍의 인지도 상승 288

3. 2024년 워크숍 발표 내용의 지속적 공유 289

제3절 시사점과 정책 제언 290

1. 클러스터 코디네이터로서의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역할 290

2. 향후 워크숍 기획 및 참여자 확대 290

3. 글로벌 TVET 분야 동향과 향후 변화에 대한 준비 291

참고문헌 292

[부록 1]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및 워크숍 수요조사 문항 304

[부록 2] 2024 워크숍 포스터(국ㆍ영문) 318

[부록 3] 2024 워크숍 만족도 조사 문항(초청자용) 320

[부록 4] 2024 워크숍 만족도 조사 문항(국내 참가자용) 325

[부록 5] 2024 국제협력 세미나 포스터 329

[부록 6] 해외 국제유관기관 세미나 자료집 표지 330

[부록 7] URC 사업 연혁(2000-2023) 332

판권기 351

표목차 11

〈표 1-1〉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의 목표 및 내용 44

〈표 1-2〉 국외 전문가 대상 전문가 협의회의 진행 현황(2024) 46

〈표 1-3〉 워크숍 개최 단계별 추진 내용 47

〈표 1-4〉 2024년 워크숍 49

〈표 1-5〉 TVET 유관기관 견학 실시 49

〈표 1-6〉 워크숍 참여자 및 세션별 전반적 만족도 조사 결과 50

〈표 1-7〉 국내 유관기관 전문가 대상 토론회 개최 50

〈표 1-8〉 국내외 TVET 유관기관 전문가 대상 세미나 개최 51

〈표 1-9〉 UNESCO Regional Center 사업(2024) 추진 일정 52

〈표 2-1〉 지역별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현황 60

〈표 2-2〉 지역별 클러스터 및 UNEVOC 센터 세부 유형 61

〈표 2-3〉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클러스터의 UNEVOC 센터 63

〈표 2-4〉 중국의 UNEVOC Center 현황 81

〈표 2-5〉 중국의 TVET 학제 82

〈표 2-6〉 중국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83

〈표 2-7〉 일본의 UNEVOC Center 현황 85

〈표 2-8〉 몽골의 UNEVOC Center 현황 89

〈표 2-9〉 몽골의 TVET 학제 90

〈표 2-10〉 몽골의 직업자격체계(VQF) 현황 91

〈표 2-11〉 인도네시아의 UNEVOC Center 현황 93

〈표 2-12〉 인도네시아의 TVET 학제 94

〈표 2-13〉 말레이시아의 UNEVOC Center 현황 97

〈표 2-14〉 말레이시아의 TVET 학제 98

〈표 2-15〉 싱가포르의 UNEVOC Center 현황 104

〈표 2-16〉 싱가포르의 TVET 학제 105

〈표 2-17〉 캄보디아의 UNEVOC Center 현황 110

〈표 2-18〉 캄보디아의 TVET 학제 111

〈표 2-19〉 베트남의 UNEVOC Center 현황 115

〈표 2-20〉 라오스의 UNEVOC Center 현황 120

〈표 2-21〉 라오스의 TVET 학제 120

〈표 2-22〉 태국의 UNEVOC Center 현황 125

〈표 2-23〉 필리핀의 UNEVOC Center 현황 129

〈표 2-24〉 필리핀의 TVET 학제 129

〈표 2-25〉 브루나이의 UNEVOC Center 현황 134

〈표 2-26〉 브루나이의 TVET 학제 135

〈표 2-27〉 미얀마의 UNEVOC Center 현황 140

〈표 3-1〉 UNESCO-UNEVOC Kick-off 회의 146

〈표 3-2〉 UNESCO Beijing Office 회의 147

〈표 3-3〉 Temasek Polytechnic 회의 147

〈표 3-4〉 동아시아ㆍ동남아시아 국가별 TVET 주제어 149

〈표 3-5〉 UNESCO-UNEVOC 전문가 자문 협의회의 개최 현황 151

〈표 3-6〉 UNESCO 베이징 사무소 자문 협의회 153

〈표 3-7〉 주제별 세부 문항 154

〈표 3-8〉 조사 응답자 특성 158

〈표 3-9〉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5점 척도) 160

〈표 3-10〉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5점 척도) 164

〈표 3-11〉 국가 및 기관별 TVET 우선순위(주관식) 167

〈표 3-12〉 제안하고 싶은 TVET 주제(주관식) 168

〈표 3-13〉 워크숍 발표 희망 세부 주제 173

〈표 3-14〉 2024년 워크숍 1차 온라인 협의회('24. 7. 23.) 176

〈표 3-15〉 2024년 워크숍 2차 온라인 협의회('24. 7. 24.) 178

〈표 3-16〉 UNESCO-UNEVOC 본부 사전 협의회 181

〈표 4-1〉 워크숍 개요 185

〈표 4-2〉 워크숍 세부 주제 및 프로그램 187

〈표 4-3〉 세션 1: 발표 1 198

〈표 4-4〉 세션 1: 발표 2 201

〈표 4-5〉 세션 2: 발표 3 206

〈표 4-6〉 세션 2: 발표 4 208

〈표 4-7〉 세션 3: 발표 5 214

〈표 4-8〉 세션 3: 발표 6 217

〈표 4-9〉 세션 4: 발표 7 222

〈표 4-10〉 세션 4: 발표 8 225

〈표 4-11〉 초청자 만족도 조사 항목 236

〈표 4-12〉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기본 사항 237

〈표 4-13〉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ㆍ주제 만족도 238

〈표 4-14〉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가장 만족한 3개 발표 239

〈표 4-15〉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세션 관련 추가 의견(주관식) 240

〈표 4-16〉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만족도 240

〈표 4-17〉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관련 추가 의견(주관식) 241

〈표 4-18〉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42

〈표 4-19〉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43

〈표 4-20〉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참여 의사 244

〈표 4-21〉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대주제 제안(주관식) 244

〈표 4-22〉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향후 발표 주제 및 연사 제안(주관식) 244

〈표 4-23〉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제안(주관식) 244

〈표 4-24〉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항목 245

〈표 4-25〉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기본 사항 246

〈표 4-26〉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ㆍ주제 만족도 247

〈표 4-27〉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가장 만족한 3개 발표 248

〈표 4-28〉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49

〈표 4-29〉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의견(주관식) 250

〈표 4-30〉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50

〈표 4-31〉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참여 의사 251

〈표 4-32〉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2025년 워크숍 대주제 제안(주관식) 251

〈표 4-33〉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관련 기타 제안(주관식) 252

〈표 5-1〉 국내 전문가 토론회 255

〈표 5-2〉 전문가의 국제 협력 사업 경험 요약 256

〈표 5-3〉 국제 협력 사업 추진에서 직면하는 문제점과 한계 260

〈표 5-4〉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추진에서 준비해야 할 사항과 개선 방안 262

〈표 5-5〉 지역별 향후 국제 협력 사업 추진 방향 263

〈표 5-6〉 국내외 TVET 국제 사업 유관기관의 전문가 대상 세미나 개최 266

〈표 5-7〉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1) 267

〈표 5-8〉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2) 268

〈표 5-9〉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3) 270

〈표 5-10〉 국제 협력 세미나 발표 내용 요약(발표 4) 271

〈표 5-11〉 직능연-국제 유관기관(JILPT, 일본) 간 국제 세미나 275

〈표 6-1〉 사업의 주요 성과 284

〈표 6-2〉 2024년 워크숍 홍보 286

그림목차 16

[그림 2-1] 말레이시아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01

[그림 2-2] 싱가포르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07

[그림 2-3] 캄보디아의 TVET 학제 112

[그림 2-4] 필리핀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31

[그림 2-5] 브루나이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37

[그림 2-6] 미얀마의 국가자격표준체계(NQF) 현황 141

[그림 3-1]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대주제) 159

[그림 3-2] 국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세부 주제) 160

[그림 3-3]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대주제) 163

[그림 3-4] 기관 수준에서의 TVET 정책 이슈 중요도(세부 주제) 163

[그림 3-5] 한국과의 TVET 협력 희망 분야 170

[그림 3-6] TVET 국제 협력 희망 분야 171

[그림 3-7] 2024년 워크숍 희망 대주제 172

[그림 3-8] 2024년 워크숍 1차 온라인 협의회('24. 7. 23.) 178

[그림 3-9] 2024년 워크숍 2차 온라인 협의회('24. 7. 24.) 179

[그림 3-10] UNESCO-UNEVOC 공식 홈페이지 홍보 내용 182

[그림 4-1] 워크숍 개회사(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 191

[그림 4-2] 워크숍 축사(Dr. Friedrich Huebler 센터장) 192

[그림 4-3] 워크숍 첫째 날 현장 참석자 단체 사진 192

[그림 4-4] 기조연설(김주섭 박사, 한국직업자격학회 고문) 194

[그림 4-5] 특별세션 및 토론(조 훈 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국제협력실장) 196

[그림 4-6] 워크숍 세미나 세션 1 사진 202

[그림 4-7] 워크숍 세미나 세션 2 사진 209

[그림 4-8] 워크숍 세미나 세션 3 사진 218

[그림 4-9] 워크숍 세미나 세션 4 사진 226

[그림 4-10]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견학: 학교 소개 229

[그림 4-11]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1 230

[그림 4-12]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2 230

[그림 4-13]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시설 견학 3 231

[그림 4-14]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참석자 단체 사진 231

[그림 4-15]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견학 사진 232

[그림 4-16] 교과서박물관 견학 사진 233

[그림 4-17] 대통령기록관 견학 사진 234

[그림 4-18]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ㆍ주제 만족도 238

[그림 4-19]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장 견학 만족도 241

[그림 4-20]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42

[그림 4-21] 초청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43

[그림 4-22]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전반ㆍ주제 만족도 247

[그림 4-23]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운영 만족도 249

[그림 4-24] 국내 참석자 만족도 조사 결과: 워크숍 도움 정도 250

[그림 6-1] UNESCO-UNEVOC 홈페이지 홍보 내용 287

[그림 6-2]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게시판 홍보 내용 287

[그림 6-3]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보도자료 홍보 내용 288

[그림 6-4] UNESCO-UNEVOC Quarterly Issue에 소개 289

부록표목차 332

〈부록 표 1〉 2023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2

〈부록 표 2〉 2022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4

〈부록 표 3〉 2021년 1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5

〈부록 표 4〉 2021년 2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5

〈부록 표 5〉 2020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6

〈부록 표 6〉 2019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7

〈부록 표 7〉 2018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8

〈부록 표 8〉 2017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39

〈부록 표 9〉 2016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1

〈부록 표 10〉 2015년 1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2

〈부록 표 11〉 2015년 2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2

〈부록 표 12〉 2015년 3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3

〈부록 표 13〉 2014년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4

〈부록 표 14〉 2013년 1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4

〈부록 표 15〉 2013년 2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6

〈부록 표 16〉 2012년 1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7

〈부록 표 17〉 2012년 1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7

〈부록 표 18〉 2012년 2차 워크숍 세션 및 발표 주제 348

〈부록 표 19〉 URC 사업 2000-2011 주요 사업 내용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