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일반사항 4

1.1. 목적 및 방법 5

1.2. 적용 대상 및 범위 5

1.3. 관련 법령 및 지침 6

1.4. 용어 및 약어 정의 9

제2장 항만분야 BIM 문서작성 요령 11

2.1. 항만분야 BIM 과업지시서 12

2.2. 항만분야 BIM 수행계획서 13

2.3. 항만분야 BIM 결과보고서 16

제3장 항만분약 BIM 데이터 작성기준 18

3.1. BIM 모델 작성 기준 19

3.2. BIM 설계도면 작성 기준 28

3.3. BIM 수량산출서 작성 기준 34

제4장 BIM 라이브러리 작성기준 61

4.1. BIM 라이브러리 일반사항 62

4.2. BIM 라이브러리 작성 원칙 64

4.3. BIM 라이브러리 속성정보 65

4.4. BIM 라이브러리 명세서 68

4.5. BIM 라이브러리 파일명 71

4.6. BIM 라이브러리 작성방안 73

제5장 항만분야 BIM 관리 요령 114

5.1. BIM 관리 원칙 115

5.2. BIM 성과품 작성 리스트 116

5.3. 품질관리 체크리스트 117

제6장 주요 단계별 BIM 활용방안 121

6.1. 단계별 BIM 활용방안 122

6.2. 주체별 협업기준 129

[부속서 1] BIM 과업지시서 양식 131

제1절 과업지시서의 목적 134

1.1. BIM 사업개요 134

1.2. BIM 활용목표 및 활용방안(예시) 135

1.3. BIM 업무범위 135

제2절 BIM 특별과업 관련 절차 136

2.1. BIM 특별과업의 발주절차 및 과업지시서 내용 연계 136

2.2. BIM 특별과업 관련 준용 기준과 관련 법령 137

제3절 과업지시서 관련 용어 정의 140

제4절 일반사항 143

4.1. 일반사항 143

4.2. 책임과 권리 144

제5절 BIM 설계 145

5.1. 공통사항 145

5.2. 지형ㆍ지층 149

5.3. 토공 설계 150

5.4. 준설 및 매립공 설계 150

5.5. 기초공 설계 151

5.6. 상부공 및 구조물공 설계 151

5.7. 부대시설 설계 152

5.8. 인터페이스 152

5.9. 설계오류 검토 152

5.10. 공종간 간섭검토 152

5.11. 공정검토 153

5.12. 설계도면 작성 153

5.13. 설계 수량 산출 154

제6절 BIM 설계 성과물 155

6.1. BIM 제출 성과물 목록 155

6.2. BIM 검토용 모델(중간보고) 159

6.3. BIM 최종모델 159

6.4. BIM 성과물 제출 160

6.5. BIM 성과물 품질보증 160

6.6. BIM 소프트웨어 및 포맷 160

제7절 BIM 관리 161

7.1. BIM 관리 의무 161

7.2. BIM 관리자 161

7.3. BIM 품질 관리 161

[부속서 2] BIM 수행계획서 양식 163

1. BIM 사업 기본정보 167

1.1. BEP 개요 167

1.2. BIM 사업개요 (예시) 168

1.3. BIM 활용목표 및 활용방안 (예시) 169

2. BIM 업무범위 170

2.1. BIM 업무수행 범위 170

2.2. 주요업무 추진일정 (예시) 171

2.3. BIM 데이터 작성 172

2.4. BEP 관리방안 172

3. BIM 사업수행 조직 173

3.1. BIM 사업수행 조직도 (예시) 173

3.2. BIM 사업수행 조직표 (예시) 173

3.3. BIM 주요업무별 인력투입 계획 (예시) 174

3.4. BIM 수행자의 역할 및 책임 (예시) 174

3.5. BIM 프로젝트 교육 175

4. BIM 기술환경 구축 176

4.1. BIM 수행 인프라(S/W) (예시) 176

4.2. BIM 수행 인프라(H/W) (예시) 176

5. BIM 업무수행 177

5.1. BIM 업무 추진절차 (예시) 177

5.2. BIM 업무 협업절차 (예시) 177

5.3. BIM 업무 회의개최 (예시) 178

5.4. 자료공유 및 교환방법 (예시) 178

5.5. 공통정보관리환경(CDE) 구성 및 활용 178

6. BIM 데이터 작성 179

6.1. BIM 데이터 작성절차 179

6.2. BIM 데이터 작성범위 및 작성내용 179

6.3. BIM 데이터 작성수준(LOD) 179

6.4. BIM 적용표준 182

6.5. BIM 모델 구성체계 182

6.6. BIM 라이브러리 작성 182

6.7. BIM 데이터 활용 182

6.8. SMART 건설 적용 182

7. 파일교환 요구사항 관리 183

7.1. BIM 데이터 교환 183

7.2. BIM 데이터 관리 183

8. BIM 품질검토 및 성과품 납품 184

8.1. BIM 품질검토 184

8.2. BIM 성과품 납품 187

9. 데이터 보안 및 관리 188

10. 기타 특기사항 188

[부속서 3] BIM 경과보고서 양식 189

1. BIM 사업개요 193

1.1. BIM 사업개요 (예시) 193

1.2. BIM 사업규모 (예시) 194

1.3. BIM 활용목표 및 활용방안(확정) (예시) 195

2. BIM 수행현황 196

2.1. BIM 요구사항 (예시) 196

2.2. 주요 BIM 업무 수행내용 (예시) 196

2.3. 주요업무 추진일정 (예시) 197

3. BIM 사업수행 조직 198

3.1. BIM 사업수행 조직도 (예시) 198

3.2. BIM 사업수행 조직표 (예시) 198

3.3. BIM 주요업무별 인력투입 (예시) 199

3.4. BIM 프로젝트 교육 수행결과 199

4. BIM 기술환경 구축 200

4.1. BIM 수행 인프라(S/W) (예시) 200

4.2. BIM 수행 인프라(H/W) (예시) 200

5. BIM 데이터 작성 201

5.1. BIM 데이터 작성범위 및 작성내용 201

5.2. BIM 데이터 작성수준(LOD) 201

5.3. BIM 적용표준 201

5.4. BIM 모델 구성 201

5.5. BIM 데이터 활용 202

5.6. SMART 건설 적용 202

6. BIM 품질검토 및 성과품 납품 203

6.1. BIM 품질검토 203

6.2. BIM 성과품 납품 206

7. 기타 특기사항 207

[부속서 4] 작업분류체계(WBS) 목록서 208

판권기 210

[표 1-1] 신규 공공사업 BIM 의무화 추진 계획 5

[표 2-1] BIM 과업지시서 주요 내용 13

[표 2-2] BIM 수행계획서 내용 15

[표 2-3] BIM 결과보고서 세부구성 17

[표 3-1] 사업 단계별 LOD 범위 예시 20

[표 3-2] BIM 소프트웨어 선정기준 예시 21

[표 4-1] Type1. BIM 라이브러리 유형 62

[표 4-2] Type2. BIM 라이브러리 유형 63

[표 4-3] BIM 라이브러리 공유현황 64

[표 4-4] 필수 속성항목(안) 예시 67

[표 4-5] BIM 모델 데이터 파일명 구조 체계 71

[표 4-6] BIM 모델 데이터 성과품 폴더 체계 71

[표 4-7] 패밀리의 기능상 종류 74

[표 4-8] 패밀리 형상에 따른 종류 74

[표 4-9] Library의 기능 및 종류 86

[표 4-10] Cell의 형상에 따른 종류 86

[표 5-1] 항만분야 성과물 목록(예시) 116

[표 6-1] 분야별 BIM 활용사례(예시) 122

[표 6-2] 시공단계 활용방안(AR기술과 BIM을 연계한 시공 가이드) 123

[표 6-3] 시공단계 활용방안(AR기술과 BIM을 연계한 시설물 검측) 124

[표 6-4] 시공단계 활용방안(Drone 촬영데이터와 BIM을 연계한 토공물량, 준설 및 매립 물량 검토) 124

[표 6-5] 시공단계 활용방안(AR/VR기술과 BIM을 연계한 안전교육) 125

[표 6-6] 시공단계 활용방안(실시간 Drone 촬영데이터와 BIM을 연계한 현장 모니터링 ) 125

[표 6-7] 시공단계 활용방안(안전정보 및 안전심볼을 활용한 BIM기반 주요 위험공종의 안전관리) 126

[표 6-8] 유지관리단계 활용방안(BIM기반 시설물별 유지관리 활용 BIM기반 주요 위험공종의 안전관리) 127

[표 6-9] 유지관리단계 활용방안(BIM기반 유지관리 정보 관리) 127

[표 6-10] 유지관리단계 활용방안(BIM과 디지털트윈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128

[표 6-11] 항만분야 주체별 활용가능한 협업기준 129

[그림 1-1] 건설산업 BIM 기본/시행 지침과 발주처별 지침들 간 연계관계 6

[그림 3-1] 설계도면 작성 예시 19

[그림 3-2] 시추정보를 통한 지층 모델링 23

[그림 3-3] 지형 모델링 23

[그림 3-4] BIM 기반 준설 및 매립공 설계 예시 24

[그림 3-5] BIM 기반 기초공 설계 예시 25

[그림 3-6] BIM 기반 상부공 및 구조물공 설계 예시 26

[그림 3-7] BIM 기반 부대시설 및 기타시설 설계 예시 27

[그림 3-8] 전면 BIM 설계의 모델 및 도면 구분 28

[그림 3-9] BIM 전면설계 설계도면 작성 절차 예시 29

[그림 3-10] BIM 수량산출서 작성 절차 예시 34

[그림 4-1] 원형(좌) 및 제품(우) BIM 라이브러리 예시 63

[그림 4-2] 단일객체(좌) 및 조합객체(우) BIM 라이브러리 예시 63

[그림 4-3] BIM라이브러리 속성항목 작성 예시(Revit) 65

[그림 4-4] 분류체계별 속성정보 작성(안) 66

[그림 4-5] 구조물 속성정보 작성(안) 66

[그림 4-6] BIM라이브러리 속성항목 작성 예시(Midas CIM) 67

[그림 4-7] BIM라이브러리 명세서 작성 예시 68

[그림 4-8] 라이브러리 필수항목 설정 69

[그림 4-9] BIM 모델 성과품 폴더체계(예시) 72

[그림 4-10] Revit의 메인화면 73

[그림 4-11] 패밀리 편집기 화면 73

[그림 4-12] 차막이 도면 75

[그림 4-13] 외부패밀리방식의 새 패밀리 생성 75

[그림 4-14] 좌/우 참조평면 작성 75

[그림 4-15] 매개변수 작성 76

[그림 4-16] 앞/뒤 참조평면 작성 76

[그림 4-17] 참조레벨 작성 77

[그림 4-18] 스윕혼합 경로작성 77

[그림 4-19] 프로파일 작성 77

[그림 4-20] 차막이 하단 모델 생성 78

[그림 4-21] 차막이 상단부분 경로 스케치 78

[그림 4-22] 차막이 3차원 형상 모델 78

[그림 4-23] 새로운 2D 프로파일 작성을 위한 템플릿 선택 79

[그림 4-24] /뒤, 좌/우 참조평면 작성 79

[그림 4-25] 상치콘크리트 형상 작성 80

[그림 4-26] 매개변수 생성 80

[그림 4-27] 매개변수 할당 81

[그림 4-28] Microstation 초기화면 82

[그림 4-29] 프로젝트 편집기 화면 83

[그림 4-30] Working Units 설정 84

[그림 4-31] 프로그램 설정 세팅 85

[그림 4-32] Bentley-Microstation에서 제공하는 기본 Cell Library 85

[그림 4-33] 케이슨 도면 87

[그림 4-34] 3D Metric Design Dgn파일 생성 88

[그림 4-35] 단위계(Working Units) 설정 88

[그림 4-36] Display Style 변경 89

[그림 4-37] 케이슨(Cassion) 전체 모델링 및 부분 모델링 89

[그림 4-38] 케이슨 외각 Shape 작성 90

[그림 4-39] 단면에 대한 종속관계(Constraints) 설정 91

[그림 4-40] 매개변수(Variables) 입력 91

[그림 4-41] Variations(Library) 모음 92

[그림 4-42] Variables & Variations Export to Excel 92

[그림 4-43] 만들어둔 단면에 매개변수 정의 93

[그림 4-44] Using Cut Solid 94

[그림 4-45] 케이슨 Main, Bottom 모델링 완료 95

[그림 4-46] 케이슨 최종 모델링 96

[그림 4-47] 3D Model -〉 Cell Library 96

[그림 4-48] Cassion Cell 사용 97

[그림 4-49] Cell Library 파일형식 97

[그림 4-50] Civil3D의 메인화면 99

[그림 4-51] Subassembly Composer 도움말 100

[그림 4-52] Subassembly Composer 초기 화면 100

[그림 4-53] Packet Setting 103

[그림 4-54] Packet 설정이 완료된 화면 104

[그림 4-55] Input / Output 매개변수 탭 106

[그림 4-56] 기본 Target 매개변수 탭 106

[그림 4-57] Target 매개변수 설정 107

[그림 4-58] 미리보기 창 모습 107

[그림 4-59] Flowchart 모습 108

[그림 4-60] Point의 기하학적 구조 형태 109

[그림 4-61] Point의 기하학적 구조 형태 110

[그림 4-62] 작성된 호안단면 횡단구성요소 110

[그림 4-63] 확장 입력 패널에서 횡당구성요소 가져오기 선택 111

[그림 4-64] 횡단구성요소 가져오기 대화창 111

[그림 4-65] 속성 정보 입력 화면-1 112

[그림 4-66] 속성 정보 입력 화면-2 112

[그림 4-67] 속성 정보 입력 화면-3 113

[그림 4-68] 속성 정보 입력 화면-4 113

부속서표목차 145

[부속서 1] BIM 과업지시서 양식 145

〈표-1〉 사업 단계별 LOD 범위 145

〈표-2〉 BIM 소프트웨어 선정기준 147

〈표-3〉 간섭 검토 보고서 작성기준 153

〈표-4〉 BIM 성과품 목록(예시) 155

〈표-5〉 항만분야 품질관리 체크리스트 (공통) 156

〈표-6〉 BIM 성과물 품질관리 항목 및 내용 162

부속서 2] BIM 수행계획서 양식 167

〈표-1〉 항만분야 BIM BEP 주요구성 항목 167

부속서그림목차 136

〈그림-1〉 BIM 특별과업 관련 발주절차 136

〈그림-2〉 국토교통부 건설산업 BIM 기본/시행 지침과 발주처별 지침들 간 연계관계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