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서론


-제1부 『세종실록악보』 이해하기

제1장 『세종실록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적 배경
1. 향악곡
2. 당악 고취악곡

제2장 『세종실록악보』 음 기보법과 타악기 기보법
1. 음 기보법
2. 타악기 기보법

제3장 『세종실록악보』 정간보 리듬 기보법
1. 정간보의 구조와 그 의미
2. 『세종실록악보』 정간보와 『세조실록악보』 정간보
3. 정간보 리듬표기법과 그 해석

제4장 『세종실록악보』 수록 악곡과 음악 유형
1. 수록 악곡 목록
2. 수록악곡의 음악 유형


-제2부 『세종실록악보』 악곡 해설 및 복원 악보

제1장 정대업 무용음악 악보
1. 소무(昭武)
2. 독경(篤慶)
3. 선위(宣威)
4. 탁령(濯靈)
5. 혁정(赫整)
6. 신정(神定)
7. 개안(凱安)
8. 지덕(至德)
9. 휴명(休命)
10. 순응(順應)
11. 정세(靖世)
12. 화태(和泰)
13. 진요(震耀)
14. 숙제(肅制)
15. 영관(永觀)
정대업 악보

제2장 보태평 무용음악 악보
1. 희문(熙文)
2. 계우(啓宇)
3. 의인(依仁)
4. 형광(亨光)
5. 보예(保乂)
6. 융화(隆化)
7. 승강(承康)
8. 창휘(昌徽)
9. 정명(貞明)
10. 대동(大同)
11. 역성(繹成)
보태평 악보

제3장 발상 무용음악 악보
1. 희광(熙光)
2. 순우(純佑)
3. 창부(昌符)
4. 영경(靈慶)
5. 신계(神啓)
6. 현휴(顯休)
7. 정희(禎禧)
8. 강보(降寶)
9. 응명(凝命)
10. 가서(嘉瑞)
11. 화성(和成)
발상 악보

제4장 봉래의
1. 전인자(前引子)와 전구호(進口號)
2. 여민락(與民樂)
3. 치화평(致和平)上ㆍ中ㆍ下
4. 취풍형(醉豊亨)
5. 후인자(後引子와) 퇴구호(退口號)
6. 봉래의의 음악적 구성
봉래의 악보

제5장 봉황음 만전춘
1. 봉황음(鳳凰吟) 1ㆍ2ㆍ3
2. 만전춘(滿殿春)
봉황음 악보
만전춘 악보

-결론

-부록. 〈용비어천가〉 원문ㆍ읽기ㆍ새기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조선 궁중음악의 실체와 복원 : 세종장헌대왕실록악보 = The reality and restoration of Joseon court music : music scores of Sejong chronicle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111 789.1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9112 789.1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세종대왕의 여러 업적 중에서도 세종대왕 자신이 고안해 낸 것이라 알려져 있는 ‘정간보’는 세종실록 악보에 잘 기록 보전되어 오고 있으나, 여태까지 많은 연구자들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석이 없었던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하여 문숙희 선생님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정간보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되었음을 크게 기쁘게 생각합니다. 당시의 음악 기록인 정간보로 남겨진 세종의 애민정신이 묻어 있는 음악을 현대의 오선지에 그려 환생한 그대로의 음악을 아름다운 선율로 듣게 되었으니 감개무량합니다. 2025년 5월 15일은 세종대왕 나신 지 628돌이 되는 해 이면서, 세종대왕 나신 날이 “국가기념일”로 제정 되어 첫 행사를 갖게 되는 뜻깊은 날이 될 것 입니다. 이날 새롭게 해석된 ‘여민락’ 등 세종 시대의 음악이 멋지게 연주되는 감격을 맛 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다시 한 번 문숙희 선생님의 저서 『조선 궁중음악의 실체와 복원-세종장헌대왕실록악보』의 발간을 축하합니다.
- 최홍식 (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이 책은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의 중요한 미해결과제로 남아있던 초기 정간보의 해석에 관한 저자의 오랜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결과물입니다. 정간보를 창안한 세종대왕의 예악사상이 오롯이 담겨있는 세종실록 소재 악보의 해석을 통하여, 오늘날의 감성으로도 부를 수 있도록 당대의 노래를 재현·복원하고자 하는 저자의 열정이 빚어낸 이 책이 성군 세종의 음악을 이해하는데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주기를 기대합니다.
- 김영운 (전) 국립국악원 원장

고악보로 전해지는 세종대왕의 악보를 현대인이 보고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든 책. 이 책으로 만백성과 즐거움을 함께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여민락(與民樂)이라는 세종시대의 정신으로…
- 이종묵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