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0

Ⅰ. 인구변화 대응을 위한 기관 대상 인구교육 이해 12

1. 인구교육 대상으로서 기관의 유형 정의 12

2. 인구변화 대응 교육의 목적과 범위 13

Ⅱ. 직원(기관 및 기업)의 관점에서 본 인구변화 교육과 생산성 14

1.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인구교육의 모색 14

2. 한국 기업의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수용 현황 15

Ⅲ-1. 공공기관 대상 인구변화 대응역량 강화 교육 26

1. 공공기관의 정의와 유형 26

2. 공공기관별 전문 영역의 인구전망[해당 기관 임의 선정] 27

3. 기관 내 육아휴직 활용 현황 설명[언론 보도로 자료 확보 기관 선정] 27

4. 기관 내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 설명과 토론[고용노동부 자료 활용] 28

5. 기관 내 직원 성별직급표 작성과 토론[인사가 공개된 공무원 통계 활용] 28

6. 관계인구‧생활인구 개념을 통한 농어촌 지역 인구감소 대응 29

7. 청년층 인구 유지를 통한 인구감소의 억제 32

8. 초고령화사회 진입과 고령 인구의 경제활동 및 사회참여 32

9. 이주민과 외국인 노동자 포용 34

Ⅲ-2. 민간기업 대상 인구변화 대응역량 강화 교육 38

1. 민간기업 업종 연관 분야의 인구전망[주택 건설과 관련된 업종 임의 선택] 38

2. 기업 내 육아휴직 활용 현황 설명[특정 기업 정보 대신 대기업 정보 활용] 38

3. 기업 내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 설명과 토론[관련 통계 활용 논문 이용] 39

4. 기업 내 직원 성별직급표 작성과 토론[언론보도 중 공개된 자료 활용] 41

5. 여성의 생애주기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41

6. 총인구 변화와 생산가능 인구, 고령인구의 추세 42

7. 초고령사회의 운송업 분야 인력수급 과제 45

Ⅳ. 인구변화 대응을 선도하는 기관의 조건 47

1. 인구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준비하는 기관 47

2. 직원의 워라벨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기관 48

참고문헌 50

〈표 1〉 사업체 규모별 일가정 양립 제도 인지 수준 격차 16

〈표 2〉 한국 성별 가사노동시간(5년 단위 1999~2019) 18

〈표 3〉 성별 육아휴직 이용자 수(2016~2022) 19

〈표 4〉 전일제 근로자 평균임금의 성별 격차(2002, 2010, 2023 또는 최근) 21

〈표 5〉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9급 직급별 총원과 여성 비율 29

〈표 6〉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별 저출산 대응 정책 추진 방향 30

〈표 7〉 사회의 고령화 단계 33

〈표 8〉 OECD 국가의 이민자 규모 및 인구대비 구성비 34

〈표 9〉 외국인 지역별 체류 현황 - 외국인 체류자격 비자의 종류 36

〈표 10〉 인구감소지역의 체류인구와 외국인 비중(2023년 9월 기준) 36

〈표 11〉 유연근무제 도입 여부(도입 비율을 나타냄) 40

[그림 1] 가구주 연령별 맞벌이 가구 비율 15

[그림 2] 연령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15

[그림 3] 가족과 함께하는 스웨덴의 아버지들(Johan Bavman 작품) 17

[그림 4] 한국 성별 가사노동시간(5년 단위 1999~2019) 18

[그림 5] OECD 국가 육아휴직 이용자 수 및 성별 비중 20

[그림 6] 취업 여성의 생애 단계별 구성 비율 21

[그림 7] OECD국가 성별 평균임금 격차 22

[그림 8] 유럽 각국의 혼외 출생 비율 추세(1950~2008) 24

[그림 9] 지속가능발전 2024 보고서 내 국가별 젠더평등 현황 25

[그림 10] 유형별 공공기관 지정 추이(2007~2023) 26

[그림 11] 사업체 규모별 일가정 양립 제도 인지 수준 격차 28

[그림 12] 관계인구 개념과 유형 29

[그림 13] 생활인구의 유형 31

[그림 14] 인구감소지역의 연령대별 인구구조 변화(2010~2020년) 32

[그림 15] 세계 주요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추이 및 전망 33

[그림 16] 전세계적 국제이주 현황 - 대륙별 순이동자 증가와 감소지역 추이 35

[그림 17] 여성 생애주기 경제활동참가율 41

[그림 18] 총인구와 인구성장률 추이 43

[그림 19] 생산가능 인구와 고령인구 추이 43

[그림 20] 국내 총 인구변화 및 연령별 인구 구성 추이(2021~2050) 44

[그림 21] OECD 국가의 노인빈곤율 현황 44

[그림 22] 여객자동차 버스(위) 및 택시(아래) 운전자 평균 연령 추이 46

[그림 23] 초중고 학령인구의 시군구별 증감 여부와 증감 규모(2020~2040년) 47

[그림 24] 2020년 대비 2040년 학교별 학생수 변화 추이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