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Ⅰ 한국문학

01 『박씨전』 ─ 작자미상
02 『구운몽』 ─ 김만중
03 『춘향전』 ─ 작자미상
04 『호질』 ─ 박지원
05 『한중록』 ─ 혜경궁 홍씨
06 『청구야담』 ─ 작자미상
07 『무정』 ─ 이광수
08 『인간문제』 ─ 강경애
09 『고향』 ─ 이기영
10 『동백꽃』 ─ 김유정
11 『탁류』 ─ 채만식
12 『천변풍경』 ─ 박태원
13 『삼대』 ─ 염상섭
14 『카인의 후예』 ─ 황순원
15 『광장』 ─ 최인훈
16 『토지』 ─ 박경리

Ⅱ 세계문학

01 『변신 이야기』 ─ 오비디우스
02 『햄릿』 ─ 윌리엄 셰익스피어
03 『돈키호테』 ─ 미겔 데 세르반테스
04 『파우스트』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05 『주홍글씨』 ─ 나다니엘 호손
06 『보바리 부인』 ─ 귀스타브 플로베르
07 『위대한 유산』 ─ 찰스 디킨스
08 『안나 카레니나』 ─ 레프 톨스토이
09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10 『허클베리 핀의 모험』 ─ 마크 트웨인
11 『갈매기』 ─ 안톤 체호프
1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마르셀 프루스트
13 『변신』 ─ 프란츠 카프카
14 『마의 산』 ─ 토마스 만
15 『인간의 조건』 ─ 앙드레 말로
16 『양철북』 ─ 귄터 그라스

이용현황보기

서울대 권장도서, MBTI로 읽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4172 028.1 -25-1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84173 028.1 -25-1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2602 028.1 -25-1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국문학, 세계문학을 MBTI로 읽다!

들뢰즈 같은 철학자는 인간의 정신을 매뉴얼화했다는 이유에서 정신분석을 비판했다. 그러나 무의식의 영역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다. 그것에 대한 해석보다도 그것이 ‘작동’한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왜 사주팔자를 궁금해하는 걸까? 과학적 근거의 여부 이전에 인문학적 감각으로 접근할 지점은, 왜 사람들이 그것에 관심을 기울이는가이다. 이전 세대에서의 혈액형과 별자리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지금 시대의 MBTI가 관계의 기본지식으로 자리매김한 현상도 결국엔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일 것이다.

문학을 읽는 많은 이유 중 하나는, 타인을 이해해 보고자 하는 노력이 아닐까? 소설 속 등장하는 다양한 군상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현실의 누군가를 이해할 수도, 마침 궁금해하는 그 사람과 비슷한 성향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소설이라면 더 몰입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로 조금이라도 그 사람을 용서할 수도 있게 되는, 마음의 안식을 선사하는 방편인지도 모르겠다.

임수현 작가의 전작 『참을 수 없는 존재의 MBTI』에서는 작품의 서사를 이끌어 가는 중심인물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책에서는 각 인물들의 MBTI와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해 분석하고 있다. 이야기의 기승전결을 가능하게 하는 시발점은 캐릭터이다. 그런 성향이 아니었던들 사건의 전개는 다른 양상이었을 수 있다. 그렇듯 캐릭터는 각자가 지닌 인생방정식 안에서 타인과 엮여 있는 양상에 관한 술어이기도 하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14] 『박씨전』에는 17세기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 조선 후기는 양반 중심의 신분제와 유교적 가부장제가 여전히 유지되면서도 누적된 사회적 갈등과 모순으로 인해 민중의 불만이 커지던 시기였다. 여성인 주인공 박씨가 위기에 맞서 주체적으로 활약하며 소극적인 남편을 계도하는 모습에는 기존의 양반 남성 중심의 사회적 구조에 대한 비판이 깃들어 있다. 이처럼 박씨라는 캐릭터에는 당대를 살아가던 민중의 소망과 이상,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비판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P. 24] 속세의 모든 욕망이 덧없음을 깨닫는다. 그가 행복의 절정에서 제행무상(諸行無常)을 느낀 순간 육관대사가 그의 앞에 나타나 본래의 ‘참된 나’인 성진으로 돌려보낸다. 그는 성진으로 복귀하여 양소유의 삶이 모두 남가일몽(南柯一夢)이었음을 깨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