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의사결정참가제도의 분류 177 3.1 참가 근거에 따른 분류_178 3.2 참가방식에 따른 분류_178 3.3 참가 강도에 따른 분류_179 3.4 참가의 내용에 따른 분류_179 3.5 참가의 수준에 따른 분류_179 3.6 기존 의사결정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_180 3.7 참가의 목적에 따른 분류_180
4 의사결정참가의 주요 제도 182 4.1 품질관리분임조_183 4.2 노사합동위원회_185 4.3 현장자율경영팀_189 4.4 노동이사제도_191
5 고성과 작업시스템 194 5.1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개념_194 5.2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적적합성과 외적적합성_196 [POST CASE 6] One Team 품질분임조: D손해보험 사례 198
07 임금제도와 성과참가
[PRE CASE 7] 배달라이더 최저임금 논의 무산 208
1 임금제도 210 1.1 임금제도의 의의와 중요성_210 1.2 임금관리의 목적_211 1.3 임금의 제 개념_211 1.4 임금의 법률적 보호제도_216 1.5 우리나라 임금현황_219 1.6 우리나라 임금제도의 개선방향 및 최근 이슈_225
4 교원 고용관계 305 4.1 교원노동조합 태동_305 4.2 교원노동조합 현황_305 4.3 교원 고용관계 주요 특징_306 4.4 외국 교원고용관계 사례_307 [POST CASE 9]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 논란이 불붙다. 309
10 주요국의 고용관계
[PRE CASE 10] 미국 무역당국 멕시코 폭스바겐 자동차 노동자들의 노조 활동을 이유로 해고된 사항에 항의 및 조사 촉구 316
1 세계 각국의 고용관계 319 1.1 영국의 고용관계_320 1.2 미국의 고용관계_325 1.3 프랑스의 고용관계_332 1.4 독일의 고용관계_337 1.5 일본의 고용관계_343 1.6 싱가포르의 고용관계_349 1.7 중국의 고용관계_354 1.8 국가별 고용관계 비교의 종합분석_360
2 국제기구 361 2.1 국제노동조합조직_361 2.2 국제사용자단체_361 2.3 국제 노사정기구_362 [POST CASE 10] 한국의 ILO 핵심협약비준 365
2023년 봄 이 책의 제4판이 발간된 시기는 전 세계가 COVID-19 팬데믹 이후 나타난 새로운 경제 질서에 적응해 나가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COVID-19 팬데믹은 비대면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켰고 특수고용형태 및 플랫폼 노동형태 등 다양한 고용의 등장을 촉진하였다. 이번 제5판에서는 2023년 이후의 고용관계 변화상의 흐름을 반영하고 제4판의 내용과 구조를 유지하지만 최근 2년(2023년, 2024년)간의 노동통계와 노사관계 동향을 일부 추가하는 수준으로 수정을 가하였다. 그래서 제4판이 구성하는 각 장의 구조와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근 2년간 달라진 노사관계 동향을 새로이 보충하고 보완하는 것에 방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거의 모든 장에서 매년 경제상황과 고용구조를 반영하는 노동통계와 최신 소식을 중심으로 내용을 보완하였으며 일부 pre-case와 post-case를 최근의 사례로 보완하거나 수정하였다. 이같이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 고용의 플랫폼화, 팬데믹 등이 야기한 사회와 고용관계의 변화를 본서가 충분히 담으려고 노력을 해오고 있으나 아직도 개선할 내용이 많아서 독자 여러분의 의견과 지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에도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도편달이 있기를 바란다. 본서는 노사관계의 각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열네 명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협력하여 완성해나가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다 보니 본서의 개정에 기여하지만 보이지 않는 다수의 손길이 숨어 있다. 이 숨은 노력에 기초하여 본서의 개정까지 완료되었다. 먼저 묵묵하게 자신의 집필을 담당한 공저자들의 노력과 수고에 감사를 표한다. 또한 자료확보를 위해 많은 도움을 준 고려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러 조교들의 도움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무엇보다 본서의 출간을 위해 노력을 기울인 박영사 관계자들에게도 심심한 감사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