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안내서를 펴내며 6
1부 재난을 말하는 인권의 문법 10
1. 재난의 의미를 묻다 11
1-1. 재난의 정의들 11
1-2. 혼재된 개념들 : 사고, 사건, 참사, 그리고 재난 19
2. 재난의 사회성을 읽다 25
2-1. 재난을 둘러싼 통념들 25
2-2. 사회적 사건으로 재난을 본다는 것 26
2-3. 반복되는 재난 참사의 구조 37
3. 재난에 대처하는 인권 기준을 찾다 39
3-1. 왜 인권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한가 39
3-2. '인권에 기반한 접근'을 말하는 국제기준 46
2부 재난이 제기한 인권의 의제들 55
1. 깊어가는 불평등, 위기의 재난약자 56
1-1. 재난은 불평등을 타고 흐른다 56
1-2. 불평등이 재난이다 58
1-3. 재난은 불평등을 재생산한다 60
1-4. 재난 상황에서 약자는 새롭게 구성된다 61
2. 재난 이후에 시작되는 재난, 차별과 혐오 64
2-1. 재난 대응 속에 스며든 차별 64
2-2. 재난피해자를 혐오하다 69
2-3. 차별과 혐오가 할퀴고 간 자리 73
3. 재난의 경험을 이해한다는 것 78
3-1. 왜 존엄을 기준으로 접근해야 하는가 78
3-2. 재난 피해자의 시간은 어떻게 흐르나 83
4. 재난 피해자의 권리 90
4-1. 재난 피해자는 과연 누구인가 90
4-2. 왜 피해자의 권리를 말해야 하는가 100
4-3. 재난 피해자의 권리란 무엇인가 101
4-4. 피해자 권리를 말할 때 기억해야 할 것들 106
5. 재난 공동체의 의미 다시 쓰기 110
5-1. '폐허'에서의 갈림길 110
5-2. 재난의 이중성, 애도의 가능성 117
6. 책임지는 국가 120
6-1. 사라진 국가, 무너진 신뢰 120
6-2. 재난, 국가의 존재 이유를 묻다 124
6-3. 한계 없는 국가 책임 126
7. 안전할 권리와 안전사회로 가는 길 130
7-1.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권리 130
7-2. 안전할 권리의 시작 133
7-3. 안전을 약속하는 사회 137
3부 인간의 존엄을 질문하는 재난인권교육 144
1. 재난과 안전을 대하는 '공통감각'을 찾아서 145
1-1. 재난안전교육의 현황과 한계 145
1-2. 재난'안전'교육에서 재난'인권'교육으로 152
1-3. 재난인권교육이 추구하는 역량과 공통감각 155
2. 재난인권교육 구성을 위한 징검다리 162
2-1. 재난을 읽을 때의 함정 피하기 162
2-2. 시민의 자세를 제안할 때의 함정 피하기 174
4부 재난인권교육으로 가는 길 찾기 189
1. 재난인권교육, 어떻게 기획할 것인가 190
1-1. 재난인권교육을 짜다 : 기획의 파노라마 190
1-2. 재난인권교육을 짓다 : 기획의 실제 199
1-3. 재난인권교육을 채우다 : 서사의 힘 211
2. 재난인권교육,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 214
2-1. 기존 인권교육 현장에 접목하기 214
2-2. 우선 필요집단 대상 교육 발굴하기 217
3. 재난인권 교육가를 위한 나침반 231
재난인권교육을 여는 길목에서 23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