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장 법학 일반론
            1. 법 없이 살 수 있을까?    3
            2. 어떤 사람이 법학을 전공하면 좋을까?   4
            3. 법률가와 법의 적용    8
            4. 법학의 적용 영역   14
            5. 법 적용의 상반성   15
            6. 법학과 다른 학문의 차이    18
            7. 법학에 대한 부정적 생각    27
            8. 그럼에도 법학!   33
            9. 법학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35
           10. 법학의 한계    36
           11. 법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41
           12. 인공지능과 법학    43
           13. 디지털 시대와 법학    45
  
제2장 법의 개념
           1. 왜 법 개념을 파악해야 하는가?    51
           2. 법 개념을 어떤 방법으로 파악해야 하는가?   52
           3. 언어적 측면에서 법   62
           4. 실정법과 자연법   64
           5. 법의 개념적 징표    66
  
제3장 역사 속의 법사상
           1. 법사상 연구의 필요성   75
           2. 헤브라이즘(Hebraism)과 헬레니즘(Hellenism)   76
           3. 그리스철학에서의 법 개념   77
           4. 로마의 법사상    86
           5. 교부철학 및 스콜라학파의 법사상    86
           6. 르네상스 시기의 법사상    93
           7. 근대의 법사상    95
           8. 19세기의 법사상    105
           9. 현대 법사상 이론    111
   
제4장 법과 국가
           1. 법 존재 전제로서의 국가    121
           2. 국가    122
           3. 국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128
   
제5장 법과 사회규범
           1. 사회규범의 하나로서 법    137
           2. 법과 종교    137
           3. 법과 관습    160
           4. 법과 도덕   164
   
제6장 법의 이념
           1. 법이념의 의미    181
           2. 동양과 서양에서의 법이념    182
           3. 정의    184
           4. 법적 안정성   197
           5. 합목적성    198
           6. 법의 이념과 법의 속성    199
   
제7장 법과 인간의 이성
           1. 법은 동물에게 적용될 수 있을까?    205
           2. 법 적용 전제조건으로서 인간 이성    207
           3. 아이히만에 대한 처벌은 가능한가?    212
           4. 인간의 이성은 존재하는가?    215
  
제8장  법의 존재 형태
           1. 법원의 개념과 특성   223
           2. 성문법    226
           3. 불문법    230
           4. 국제법    236
 
제9장  법의 체계
           1. 법체계 구분의 기준    241
           2. 국내법과 국제법    241
           3. 공법과 사법    243
           4. 사회법의 등장    245

제10장  법 해 석
           1. 법 적용과 해석   251
           2. 법 해석의 개념    254
           3. 법의 유권해석과 무권해석    255
           4. 구체적인 법 해석방법    256
           5. 5차원적 법 해석    259
           6. 법 해석과 과학성   263
  
제11장 법의 효력
           1. 법의 효력 개념    269
           2. 법의 실질적 효력    270
           3. 법의 형식적 효력    277
  
제12장 법과 권리 ㆍ 의무
           1. 권리와 의무의 개념   289
           2. 권리의 본질에 관한 학설    290
           3. 권리와 구별되는 개념    292
           4. 권리의 종류    299
           5. 의무    301
           6.권리ㆍ의무의 주체와 객체    302
 
제13장 법과 문화
           1. 법과 문화는 별개인가?    307
           2. 법적 개념으로서의 문화    307
           3. 실정법규범과 문화    309
           4. 문화와 국가와의 관계    310
           5. 국가정체성과 문화    314
           6. 문화의 규범적인 의미    319
    
찾아보기   321

이용현황보기

법학의 기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8253 LM 340 -25-13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이용가능
0003178254 LM 340 -25-13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법학 전공자마다 각각 다른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어떤 내용이 법학의 기초인가를 고민하면서 우선적으로 학부의 학생들이 법학의 여러 과목을 배우면서 기초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을 담았다. 사회인으로로 알아야 하는 내용들이다. 동시에 학생들만 생각하지 않고 전문가의 관점이 아니라 최소한의 법 지식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함께 고민해 보고 함께 깨어있는 시민으로 살기를 원하는 시민들이 알아야 할 기초적인 내용도 함께 담겨있다.

“법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당위의 문제와 “법은무엇인가”라는 존재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사회에 존재하는 규범으로서의 법과 이 법이 올바르고 정의롭기 위해서는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저자의 철학이 느껴진다.

▷개정판을 내면서
2025년 2월 현재 대한민국은 무척 혼란하다. 마치 세상이 있기 전인 카오스라고나 할까? 이성으로 이해하기 힘든 현실이 매일매일 반복되는 상황이다. 정말 대한민국 정치인은 코스모스를 카오스로 만드는 능력이 있나보다.
2023년 책을 처음 낸 후, 이번에 개정판을 낸다. 개정판을 내는 작업도 쉬지 않은 작업이었다. 일부의 내용을 추가하고 초판의 오류, 특히 오자와 탈자를 잡는 작업은 노안인 저자에게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번 개정판에는 인공지능 시대와 법학의 관계를 조금 더 추가했고, 초판에 많았던 오타와 탈자를 교정함에 집중하였다.
마음으로는 대한민국을 혼돈으로 빠뜨린 12.3 계엄과 대통령 탄핵, 극보수로 인한 대한민국의 양분화 그리고 이에 동조를 넘어 부추기까지 하는 정당의 문제를 다뤄보고 싶었으나, 아직 법적인 최종 판단이 나오지 않은상태라 법학을 다루는 책의 내용으로 추가하기에는 무리라고 판단했다. 향후 이러한 문제에 대해 최종적인 법적 판단이 나오면 추가하기로 한다. 또 초판에서 깊이 다루지 못했던 법과 이성에 대한 문제도 더 연구해 향후의 출판에 반영할 계획이다.
여전히 어려운 출판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출판을 맡아주신 이구만 사장님에게 감사드린다.

2025. 코스모스를 기다리는 봄날
쉐턱관에서 破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