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들어가는 말

1장. 분석심리학 들어가기

1. 융이 말하는 인간의 정신
2. 정신은 무엇으로 채워졌는가: 콤플렉스
3. 영웅의 탄생: ‘나’가 출현하다
4. 독실한 신앙인도 페르소나일 수 있다
5. 그림자: 개인무의식
6. 심혼과의 만남: 아니마와 아니무스
7. 신의 뜻: 전인격화

2장. 모성원형과 심리적 탯줄 끊어내기
1.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성 원형의 문제
2. 모성 원형과 자아의 발달
3. 모성: 영혼의 고향이자 온전한 세상이었던 곳
4. 공생기 어머니: 우로보로스
5. 유아기: 남근을 가진 우로보로스
6. 소년기 자아와 모성 원형
7. 청소년기 자아와 영웅신화
8. 모성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

3장. 중년의 위기: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답하다
1. 아니마의 두 가지 모습
2. 아니무스의 두 가지 모습
3. 위기의 중년 부부를 위하여

4장. 상처받은 딸들에게 전하는 말: 위대한 여성성을 사랑하는 방법
1. 여성의 야성을 찾아서
2. 야성을 잃어버린 이유
3. 야성을 잃어버리게 되면
4. 야성의 여인으로 살아가려면

이용현황보기

쉽게 읽는 융의 분석심리학과 가족 = Analytical psychology and family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426 616.89156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9427 616.89156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136 616.89156 -25-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누구나 행복한 가족을 꿈꾼다. 이 말은 역설적으로 행복하기가 무척 어렵다는 말이다. 평생 행복한 가족에 관한 고민을 해온 저자는 어릴 때 부모와의 관계가 훗날 꾸리는 가족 안에 고스란히 영향을 미친다고 「쉽게 읽는 보웬의 가족치료」, 「쉽게 읽는 정신역동과 가족」에서 강조했다. 그리고 해결의 대안으로 그때 거기로 돌아가 원가족 작업을 하고, 자신만의 삶을 살려는 결단(자아분화)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부족한 감이 있다.

한 가지 더 알아야 할 것은 우리 안에 인류 대대로 내려오는 심리적 유전자의 힘이다. 이번에는 정신적 유전자(원형)라는 개념을 제시한 융의 분석심리학을 통해 가족을 설명하고 함께 고민하려 한다.

인간의 마음을 가장 폭넓게 다룬 학자. 칼 구스타프 융. 그는 우리의 뿌리이자 가족의 핵심인 어머니를 모성 원형으로 설명했다. 우리는 어머니를 자녀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헌신적이며 자애롭고 사랑이 넘치는 존재로 여긴다. 그러나 신화와 민담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모습은 위대한 만큼 사악하고 파괴적이라고 융은 주장한다. 부정적인 어머니의 모습이 모성 원형에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면, 부모에 대한 오해가 깊어지고 자신은 불행해지면서 가족의 비극은 더 가중된다. 이 책에서는 기초적인 융의 개념을 시작으로 모성 원형을 다루었다. 그리고 어머니 품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삶을 당당히 살아가는 대안을 제시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22] 원형이란 본능의 무의식적 이미지, 본능적인 패턴(Jung, 1981)을 말한다. 예를 들어 모성 원형은 임신, 출산, 양육과 관련된 어머니의 고유한 속성과 본능, 자애로움과 헌신 같은 특성을 모아 놓은 것이다. 어머니에 관한 경험 중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요소만 골라 최소공배수처럼 요약해 놓은 것이 원형이다. 융(1981)은 모성 원형이란 어머니다운, 어머니에 관한 원초적인 이미지라 했다. 탄생, 죽음, 성장, 신 등,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짓수는 수없이 많다. 그래서 원형도 우리가 삶에서 겪는 경험의 수만큼 엄청나게 많다.
[P. 35] 의식이 탄생하는 것은 무의식에게 엄청난 희생을 요구하는 일이다. 인생 후반기가 되면 무의식은 이런 희생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의식이 일방적으로 세상을 향해 한쪽으로만 달려가는 것을 무의식은 용납할 수 없다. 그 결과 의식과 무의식은 첨예한 대립과 갈등을 일으키면서 중년기 위기가 찾아온다. 때를 기다린 무의식은 인생 후반기가 시작되면 의식에게 내어준 주도권을 다시 거머쥔다. 이때 자아의 태도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