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7

요약문 5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4

가. 추진 배경 34

나. 연구의 필요성 36

제2절 연구 목표 및 내용 39

가. 연구 목표 39

나. 연구 내용 40

제3절 연구 추진전략 및 방법 46

제2장 정책ㆍ기술분야별 연구개발 동향 분석 및 R&D 투자전략 연구 48

제1절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전력반도체, 로봇 분야 48

가. 반도체 분야 48

나. 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54

다. 전력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62

라. 로봇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67

제2절 ICTㆍSW 분야 75

가. 양자 지원기술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75

나.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83

제3절 기계ㆍ제조 분야 92

가. 배경 92

나. AI 기반 스마트제조 기술동향 및 투자전략 94

다. 국가전략기술 기반 인프라/디바이스 분야 기술동향 및 투자전략 102

라. 섬유 산업 자율제조 기술동향 및 투자전략 107

마. 금속 산업 자율제조 기술동향 및 투자전략 115

바. 조선산업 AI 자율제조 기술동향 및 R&D 이슈 123

사. 사이버 보안과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동향 및 투자전략 131

아. 전기차 최신 동향 및 캐즘 극복을 위한 방안 138

자. 자동차 전과정평가 연구개발 동향 및 투자이슈 147

차. 운항성능 향상을 위한 자율운항선박 최신동향 및 R&D 투자이슈 153

카. 안전측면에서의 친환경 선박 최신동향 및 R&D 투자이슈 164

제4절 소재ㆍ나노 분야 171

가. 소재ㆍ나노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171

나. 소재ㆍ나노분야 R&D투자 이슈 도출 206

제5절 에너지ㆍ자원 분야 208

가. 에너지ㆍ자원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208

나. 에너지ㆍ자원 분야 R&D투자 이슈 도출 223

제6절 우주ㆍ항공ㆍ해양 분야 224

가. 우주ㆍ항공ㆍ해양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224

나. 우주ㆍ항공ㆍ해양 분야 R&D 투자 이슈 및 시사점 238

제7절 건설ㆍ교통 분야 244

가. 건설ㆍ교통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244

나. 건설ㆍ교통 분야 R&D투자 이슈 도출 252

제8절 환경ㆍ기상 분야 254

가. 환경ㆍ기상 분야 연구개발 동향 분석 254

나. 환경 254

다. 기상 258

라. 환경ㆍ기상 분야 투자 이슈 및 시사점 266

제9절 국방 분야 271

가. 항공기 분야 무기체계 연구개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71

나. 함정 분야 무기체계 연구개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76

다.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 분야 무기체계 연구개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80

라. 지휘정찰 분야 무기체계 연구개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86

마. 자주포 분야 무기체계 연구개발 및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92

제3장 근거 기반 R&D예산 배분ㆍ조정 지원 - 예산-평가 연계 방안 연구 299

제1절 연구 개요 299

제2절 R&D 예산과 평가 관련 이론적 검토 301

가. 성과예산주의 301

나. R&D 예산 개념 및 제도 321

다. R&D 평가 개념 및 제도 341

제3절 우리나라의 재정성과관리제도 현황 분석 350

가. 재정성과관리제도 개요 350

나. 우리나라 재정성과관리제도의 적용 시기별 특징 352

다. 재정성과관리 관련 제도의 특징 분석 360

라. 우리나라의 R&D 예산-평가 연계 관련 제도 현황 364

마. 우리나라의 "R&D 예산-평가 연계" 실태 조사ㆍ분석 371

바. 우리나라의 "R&D 예산-평가 연계" 관련 시사점 375

제4절 R&D 예산-평가 연계 관련 주요 사례 조사ㆍ분석 378

가. EU - Horizon Europe 378

나. 미국 399

다. 일본 438

라. 영국 459

마. 네덜란드 498

바. 해외 주요국의 R&D 예산-평가 연계 관련 시사점 512

제5절 R&D 예산-평가 연계 방안 도출 515

가. 분석 결과 종합 515

나. 정책 제언 525

제4장 근거 기반 R&D예산 배분ㆍ조정 지원 - R&D 예산-평가 연계 통합플랫폼 설계 방안 527

제1절 예산-평가 연계 플랫폼 사례 분석 529

가. 국내외 예산-평가 연계 플랫폼 사례 529

나. 소결 545

제2절 예산배분ㆍ조정 지원시스템 - R&D 예산-평가 연계 548

제3절 R&D 예산-평가 연계 통합플랫폼 설계 방향 550

제5장 근거 기반 R&D예산 배분ㆍ조정 지원 - 국가연구개발 투자데이터 기반 투자플랫폼 고도화연구 553

제1절 국가연구개발 투자데이터 기반 투자플랫폼 고도화연구 개요 553

가. 국가연구개발사업 라벨링 553

제2절 국가연구개발사업 라벨링-회귀분석 고도화연구 결과 557

가. 분석방법론 557

나. 예산요구서 라벨링 결과 559

제3절 분야별 적용 사례 연구 563

가.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토픽모델링-회귀분석 563

나. Hot 토픽과 Cold 토픽 분석 593

제6장 특허데이터 기반 기술개발 동향 분석방법론 고도화연구 604

제1절 연구 개요 604

가. 연구의 필요성 604

나. 연구 방법 604

다. 분석 대상 605

제2절 이머징기술 분석 관련 신규 지표 발굴 및 검증 607

가. 과학기반성 607

나. 출현밀도 610

다. 네트워크 특성 610

라. 이머징기술 분석지표의 선정 결과 611

제3절 이머징기술 분석방법론 고도화연구 612

가. 분석방법론의 고도화연구 612

제4절 생성형 AI를 활용한 이머징 기술 도출 618

제5절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특허 키워드를 활용한 토픽모델링-회귀분석 기반의 이머징기술 검증 연구 629

가. 분석 데이터 629

나. 분석 기법 631

다. LDA 토픽모델링 633

라. 선형회귀분석을 통한 Hot/Neutral/Cold 토픽 도출 636

마. 토픽 출현 지도 기법을 통한 이머징 토픽 도출 641

제6절 분석방법론 간 결과 비교 및 시사점 646

제7장 결론 648

제1절 연구결과 요약 648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661

참고문헌 664

판권기 2

〈표 1-1〉 분석항목별 분석 방법(예시) 37

〈표 2-1〉 양자 소부장의 정의와 양자기술과의 관계 77

〈표 2-2〉 주요 양자 소재 분야 논문 발표 건수 78

〈표 2-3〉 양자기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ㆍ장비 80

〈표 2-4〉 우주 발사 비용의 절감 84

〈표 2-5〉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구성 및 핵심 부품(기술) 86

〈표 2-6〉 Microsoft Cloud for Manufacturing 기대효과 97

〈표 2-7〉 주요국 뿌리기술 동향 105

〈표 2-8〉 해외 차량 제조사별 OTA 운영 현황 135

〈표 2-9〉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및 침투율 전망 138

〈표 2-10〉 주요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 변화 139

〈표 2-11〉 주요 완성차 업체별 계획 현황 140

〈표 2-12〉 리튬-이온 및 전고체 배터리의 구조 비교 142

〈표 2-13〉 차종별 전과정 단계 내용 149

〈표 2-14〉 VOC 기반 다양한 감지 기술, 소재에 대한 요약 201

〈표 2-15〉 경수형-비경수형 원자로 비교 219

〈표 2-16〉 방사선 국내 산업기술 변천 220

〈표 2-17〉 핵융합 기술 구분과 주력 기업 222

〈표 2-18〉 발사 서비스 시장 전망 229

〈표 2-19〉 건설 분야 정부 주요 중장기 계획 및 내용 246

〈표 2-20〉 포스코이앤씨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관련 기술별 특징 248

〈표 2-21〉 국내 자율주행 연구 분야 250

〈표 2-22〉 환경ㆍ기상 분야 중분류의 정의 및 범위 254

〈표 3-1〉 2013년 뉴질랜드 공공재정법 및 국가부문법 개정의 주요 내용 305

〈표 3-2〉 국가별 성과예산주의 시스템의 방향성 305

〈표 3-3〉 2013년 네덜란드 '책임 있는 예산' 개혁의 주요 내용 305

〈표 3-4〉 캐나다 정부의 관리책임체계(MAF) 306

〈표 3-5〉 2013년 호주 PGPA법 개정의 주요 목적 307

〈표 3-6〉 2013년 호주 PGPA법 개정의 실행 방안 307

〈표 3-7〉 오스트리아의 정책-예산 간의 체계적인 연계 사례 308

〈표 3-8〉 미국의 정부성과결과현대화법(GPRAMA) 309

〈표 3-9〉 미국의 횡단적 우선목표(CAP) 예시 309

〈표 3-10〉 프랑스의 다양한 관점을 적용한 사법 프로그램 예시 310

〈표 3-11〉 호주 재무부의 성과정보 개발 지침 사항 310

〈표 3-12〉 호주 재무부의 성과정보 개발 지침 사항 311

〈표 3-13〉 프랑스의 성과예산주의 개혁 313

〈표 3-14〉 호주의 성과보고 능력 강화 프로그램 구성 313

〈표 3-15〉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 측면 314

〈표 3-16〉 프랑스의 예산구조에 국제 비교 지표로 부와 복지 통합 314

〈표 3-17〉 LOLF 기반, 국제 비교 가능한 전략적 대시보드 개발 사례 315

〈표 3-18〉 고품질의 성과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원칙 315

〈표 3-19〉 덴마크의 정부 데이터 관리ㆍ공유 정책 315

〈표 3-20〉 영국 하원 감사부의 역할 316

〈표 3-21〉 캐나다의 InfoBase 시스템의 목적 317

〈표 3-22〉 멕시코의 예산 투명성 포털의 전략 317

〈표 3-23〉 사후평가의 영향력이 제한적인 이유 318

〈표 3-24〉 캐나다의 새로운 평가 정책의 주요 내용 319

〈표 3-25〉 GPRAMA 법안 주요 내용 320

〈표 3-26〉 뉴질랜드의 '더 나은 공공 서비스 결과 프로그램' 주요 내용 320

〈표 3-27〉 점증주의와 총체주의 이론의 비교 322

〈표 3-28〉 연구개발비로 분류되는 경비 323

〈표 3-29〉 정부연구개발예산의 분류 기준 324

〈표 3-30〉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21조 제3항) 상의 주요 R&D 325

〈표 3-31〉 우리나라 연구개발예산 종합조정제도의 변천 과정 327

〈표 3-32〉 총액배분자율편성제도의 예산편성 절차 329

〈표 3-33〉 프로그램 예산제도의 특징 329

〈표 3-34〉 2008년 이후 행정조직 및 예산 종합조정제도 변화 330

〈표 3-35〉 국가재정법(제50조의 제2항)상의 타당성재조사 요건 332

〈표 3-36〉 부처별 주요 연구관리전문기관 및 설립근거 339

〈표 3-37〉 정부 R&D예산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340

〈표 3-38〉 우리나라 재정성과관리제도 변화 과정 요약 359

〈표 3-39〉 우리나라 재정사업 성과목표관리 관련 정보공개 현황 365

〈표 3-4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R&D 분야 성과목표관리 현황(2024) 366

〈표 3-41〉 산업통상자원부의 R&D 분야 성과목표관리 현황(2024) 367

〈표 3-42〉 기타 부처의 R&D 분야 성과목표관리 현황(2024) 367

〈표 3-43〉 정부R&D 예산배분과 성과평가 연계에 관한 전문위원 주요 의견 373

〈표 3-44〉 2021-2027년 다년도 재정지출계획 주요 내용 379

〈표 3-45〉 역대 FP의 주요내용 382

〈표 3-46〉 Horizon Europe의 증거기반 평가 프레임워크 387

〈표 3-47〉 DG R&I 전략계획(2020-2024)에서 정의된 Horizon Europe 관련 결과 지표 388

〈표 3-48〉 Horizon Europe의 특정 목표 390

〈표 3-49〉 Horizon Europe의 활동 유형 392

〈표 3-50〉 Horizon Europe의 영향경로 지표 394

〈표 3-51〉 Horizon Europe의 영향경로 지표 세부정보 395

〈표 3-52〉 미국 성과평가 및 예산편성 제도의 발전 경과 399

〈표 3-53〉 레이건 행정부 기간(1980~1984년) 404

〈표 3-54〉 레이건 행정부 기간(1980~1984년) 405

〈표 3-55〉 GPRA에 따라 부처/기관이 작성하는 보고서 411

〈표 3-56〉 PART의 공통 문항 413

〈표 3-57〉 GPRA와 GPRAMA 비교 416

〈표 3-58〉 전략목표에 기반한 2025회계년도 NASA 예산 요구안 420

〈표 3-59〉 NASA 성과평가 보고서에 활용하는 성과측정 수준 421

〈표 3-60〉 NASA 성과평가보고서의 전략목표별 배정/요구예산 422

〈표 3-61〉 미 NSF의 FY2022-2026 Strategic Framework, Strategic Goals, and Objectives 425

〈표 3-62〉 NSF FY2024 평가계획의 전략목표(strategic goal)-세부전략목표(strategic objectives) 426

〈표 3-63〉 NSF FY2024 평가계획 - 평가질의 선정을 위한 5가지 기준 426

〈표 3-64〉 NSF FY2024 평가계획 - 평가질의 예시 427

〈표 3-65〉 미 에너지부(DOE) 산하 Office of Nuclear Energy 소관 INL(Idaho National Laboratory)의 FY2023 성과목표 428

〈표 3-66〉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평가 유형 및 질의 429

〈표 3-67〉 DOE의 프로그램 평가 종류 430

〈표 3-68〉 DOE의 일반 프로그램 평가(General Program Evaluation)의 5가지 유형 430

〈표 3-69〉 DOE의 일반 프로그램 평가(General Program Evaluation) 시기에 대한 지침 431

〈표 3-70〉 FY2022 NSF COV(Committee of visitors) Reviews - 평가질의/보고서 양식 432

〈표 3-71〉 DOE 동료평가 기준 및 평가질의 예시 433

〈표 3-72〉 평가 거버넌스 체계 수정 453

〈표 3-73〉 영국 평가 시스템의 발전 시기별 주요 특징 467

〈표 3-74〉 영국의 성과기반 연구평가 시스템의 변화(1986-1996) 468

〈표 3-75〉 영국의 성과기반 연구평가 시스템의 변화(2001-2021) 469

〈표 3-76〉 RAE와 REF 비교 472

〈표 3-77〉 REF 2021 평가 요소 473

〈표 3-78〉 QR 펀딩 구조 474

〈표 3-79〉 REF 제출물과 평가 관계도식 478

〈표 3-80〉 영국연구혁신기구(UKRI)의 구성 481

〈표 3-81〉 VBTB 기반 예산서 작성 시 고려사항(질문) 503

〈표 3-82〉 책임예산제도(VB) 기반 예산서 작성 시 고려사항 505

〈표 3-83〉 정책통제(Policy Control)와 성과기반예산(PBB)의 비교 511

〈표 3-84〉 정책통제의 흐름과 주요 내용 512

〈표 4-1〉 2017년 이후 IT 아젠다와 성과관리 아젠다 주요 변화 531

〈표 4-2〉 Horizon Europe의 과학ㆍ사회ㆍ경제 영역별 영향목표 537

〈표 4-3〉 Horizon Europe의 영향경로 지표 538

〈표 4-4〉 dBrain 재정성과관리시스템 구축 주요 내용 540

〈표 4-5〉 dBrain+ 내 성과관리 기능의 주요 내용 542

〈표 4-6〉 재정사업 대상 평가 현황 543

〈표 4-7〉 재정사업 성과관리 관련 주요 시스템 현황 551

〈표 5-1〉 예산요구서 데이터 현황 553

〈표 5-2〉 데이터 한국어 전처리 과정 예시 554

〈표 5-3〉 최종 불용어 예시 100개 555

〈표 5-4〉 LDA 토픽모델 기호 557

〈표 5-5〉 응집성지수 비교 560

〈표 5-6〉 토픽 수에 따른 평균 R-square 〉 0.65 이상인 토픽 비율 562

〈표 5-7〉 토픽 수에 따른 선형회귀분석 및 선형추세기법의 오차 크기 562

〈표 5-8〉 수소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64

〈표 5-9〉 수소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65

〈표 5-10〉 반도체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66

〈표 5-11〉 반도체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67

〈표 5-12〉 우주ㆍ항공ㆍ해양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69

〈표 5-13〉 우주ㆍ항공ㆍ해양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70

〈표 5-14〉 첨단바이오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71

〈표 5-15〉 첨단바이오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72

〈표 5-16〉 인공지능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73

〈표 5-17〉 인공지능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75

〈표 5-18〉 첨단모빌리티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76

〈표 5-19〉 첨단모빌리티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77

〈표 5-20〉 첨단로봇제조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79

〈표 5-21〉 첨단로봇제조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80

〈표 5-22〉 차세대통신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81

〈표 5-23〉 차세대통신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82

〈표 5-24〉 사이버보안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83

〈표 5-25〉 사이버보안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85

〈표 5-26〉 이차전지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86

〈표 5-27〉 이차전지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87

〈표 5-28〉 차세대원자력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88

〈표 5-29〉 차세대원자력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89

〈표 5-30〉 양자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중요도 및 키워드 591

〈표 5-31〉 양자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중요도 회귀분석 결과 592

〈표 5-32〉 선형회귀분석 회귀계수 기준 상위 5개 하위 5개 토픽 594

〈표 5-33〉 홀트 선형추세기법의 트렌드 계수 기준 상위/하위 5개 토픽 596

〈표 5-34〉 국가전략기술 토픽에 대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598

〈표 5-35〉 인공지능 및 첨단로봇제조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키워드 599

〈표 5-36〉 차세대원자력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 회귀계수 및 키워드 600

〈표 5-37〉 선형회귀분석 회귀계수 기준 상위 3개 하위 3개 토픽 601

〈표 6-1〉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특허데이터 현황 606

〈표 6-2〉 디지털 치료기기 WoS 도출 예시 - 검색식(문헌 수: 114,874건) 608

〈표 6-3〉 분석지표 비교 611

〈표 6-4〉 복합어 추출 결과 예시(헬스케어 정보분석 기술) 612

〈표 6-5〉 최종 추출 키워드(상위 10개) 615

〈표 6-6〉 이머징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 추출 결과 615

〈표 6-7〉 이머징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 조합을 활용한 생성형AI(Claude) 기반의 최신기술 트렌드 분석 결과 618

〈표 6-8〉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특허 데이터 구성 629

〈표 6-9〉 유전체 정보 분석 기술 특허별 복합어 데이터 예시 630

〈표 6-10〉 중분류별 문서 수 및 단어집 단어 수 634

〈표 6-11〉 중분류별 토픽 수에 따른 Cv 응집성 지수 635

〈표 6-12〉 각 중분류별 최종 선정된 토픽 수 635

〈표 6-13〉 헬스케어 정보 분석 기술 토픽모델 적용 결과 636

〈표 6-14〉 헬스케어 정보 분석 기술 토픽 중요도의 연도별 추세 시각화 637

〈표 6-15〉 각 중분류의 Hot/Neutral/Cold 토픽 수 638

〈표 6-16〉 각 중분류의 Hot/Cold 토픽 목록(토픽 번호 0부터 시작) 638

〈표 6-17〉 각 중분류의 토픽 출현 지도 642

〈표 6-18〉 각 중분류의 이머징 토픽 도출 643

[그림 1-1] 범부처 통합적 예산 배분ㆍ조정 체계 34

[그림 1-2] 범부처 통합적 예산 배분ㆍ조정 체계 36

[그림 1-3] R&D 평가-예산의 유기적 연계 체계 38

[그림 1-4] 평가-예산 연계 전략적 R&D예산 배분ㆍ조정 - 시기별 업무 수요 39

[그림 1-5] 라벨링-회귀분석을 통한 사업예산 예측 프로세스 43

[그림 1-6] 특허 기반 이머징 기술 분석방법론 고도화연구 프로세스 45

[그림 2-1] 스마트폰용 AMOLED 디스플레이의 시장 현황 및 전망 55

[그림 2-2] IT OLED의 성장성 56

[그림 2-3] 기술별 디스플레이 시장의 변동 및 전망 59

[그림 2-4] 퀀텀닷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시장 전망 60

[그림 2-5] 일상생활 문제 해결형 개인용 서비스 로봇 기술 개요 74

[그림 2-6] (좌) 양자과학기술 활용 소재, (우) 관련 주요 공급망 81

[그림 2-7] 양자과학기술 부품 공급망(Global Quantum Intelligence) 82

[그림 2-8] 3GPP 위성통신 표준화 발전 전망 87

[그림 2-9] 국가전략기술 첨단로봇ㆍ제조 및 첨단모빌리티 분야 중점기술 93

[그림 2-10] 제조업 PMI 관련 지표 동향 94

[그림 2-11] 스마트제조 시장규모 전망 95

[그림 2-12] 스마트제조에서의 인공지능(AI) 시장 전망 95

[그림 2-13]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스마트제조 인프라/디바이스 분석 범위 103

[그림 2-14] Barmag Software Solution 109

[그림 2-15] Savio Direct Link System 110

[그림 2-16] Dornier myDoX 111

[그림 2-17] SHIMA SEIKI Knit Production Management Solutions 111

[그림 2-18] Setex Orga TEX 프로그램 112

[그림 2-19] LOGIC ART AUTOMATION LA-SPC 112

[그림 2-20] 국내 섬유 패션산업 벨류체인별 DX 수준 114

[그림 2-21] AI를 활용해 설계한 독특한 형태의 우주 탐사 관련 부품 116

[그림 2-22] 도쿄공업대학 시미즈 교수 연구팀이 구축한 자율 실험실 116

[그림 2-23] 데이터 기반 공정, 구조, 물성 모델링 및 예측 구조 117

[그림 2-24] S6SC-YOLOv5 모델의 이상 검출 결과 118

[그림 2-25] NIST 제공 소재 데이터 저장소 화면 119

[그림 2-26] 포스코DX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PosFrame 120

[그림 2-27] 현대자동차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의 자율제조 공장 대시보드 121

[그림 2-28] 산업별 디지털 전환 추진기간 및 성숙도 123

[그림 2-29] 제조업 대비 조선업 사고사망만인율 124

[그림 2-30] 조선업 생산기능인력 현황 125

[그림 2-31] 조선소 자동화 기술 125

[그림 2-32] 조선소 연결화 기술 127

[그림 2-33] 조선소 자율화 기술 128

[그림 2-34] 조선산업 AI 자율제조 비전 및 목표 129

[그림 2-35] 주요 C-V2X 서비스의 양산 예상 시점 133

[그림 2-36] 국가별 V2X 주파수 할당 현황 134

[그림 2-37] 2019년 1분기부터 2020년 4분기 사이 "Model 3" 업데이트 134

[그림 2-38] ITS 기반 교통 정보 공유 및 예방 시스템 136

[그림 2-39] 국내 자동차용 소프트웨어 세부기술별 시장 137

[그림 2-40] 글로벌 전기차 보급 전망 141

[그림 2-41]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특허 건수 143

[그림 2-42] 일반적인 BMS 아키텍처 144

[그림 2-43] 배터리 업체들의 BMS 관련 미국 특허 현황 146

[그림 2-44] 자동차 전과정평가 범위 모식도 148

[그림 2-45] A-LCA IWG 세부 분과의 구성 및 역할 150

[그림 2-46] Catena-X 생태계의 구성 151

[그림 2-47] 자율운항 해양 모빌리티의 S/W 아키텍처(You, 2024) 154

[그림 2-48] 자율운항 해양 모빌리티의 H/W 아키텍처(You, 2024) 155

[그림 2-49]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자율운항 및 자유항주 옥외 시험 157

[그림 2-50] 다중인식을 고려한 자율운항선박 제어 예시 158

[그림 2-51]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제어 계층도 159

[그림 2-52]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디지털 생태계 구축 연구 160

[그림 2-53] 협력 측위 및 협력 인지를 위한 협력 통신 개념도 162

[그림 2-54] 유무인 복합체계 식별 및 충돌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163

[그림 2-55] 인간-기계 협력에 관한 개념도 164

[그림 2-56] IMO CII 규제의 개요 165

[그림 2-57] 연료전지 전력설비의 일반적인 구성 168

[그림 2-58] IMO 요건을 활용한 선순환 및 악순환 구조 170

[그림 2-59] UAM 버티포트 특화 이착륙 패드(좌), 버티포트 개발현황(우) 173

[그림 2-60] 극한환경용 내열 철강재 개발(왼쪽부터 630°C급 로터, ODS 철강 정밀 튜브, 핵융합로용 저방사강) 174

[그림 2-61]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사용한 가스터빈 AM 버너 부품 적용 사례 175

[그림 2-62] 초내열합금 제조 공정 개발 및 각 공정에 맞는 초내열합금 개발 176

[그림 2-63] 희속금속 증기 활용 탈산 공정 및 탈산 결과 178

[그림 2-64] MRL TiPolar™ 시스템의 대면적 C-Map 179

[그림 2-65] 자동차용 고충격흡수능 알루미늄 합금 부품 181

[그림 2-66] 알루미늄합금으로 만든 전기자동차 배터리 하우징 181

[그림 2-67] 이차전지 고분자 전해질 연구 동향 185

[그림 2-68] 이차전지 고분자 다공성 분리막 연구 동향 187

[그림 2-69] PFAS 주요 사용처 및 세부 분류 188

[그림 2-70] 식약처 화장품 배합금지성분 분석법자료 발췌 192

[그림 2-71] 박막전지 단면 모식도 및 에너지 밀도 비교 194

[그림 2-72] 거칠게 처리된 표면이나 다공성 구조의 기판 사진 및 사이클 특성 195

[그림 2-73] SnO2를 코팅, 카본 도핑, 다공성 구조 생성 및 metal 합성에 따른 용량 및 사이클 특성 향상 비교 196

[그림 2-74] MoS2 필름 대면적 성장의 개략도 199

[그림 2-75] 태양광 모듈 세계 최고효율 차트 210

[그림 2-76] 해상풍력 기술 메가 트렌드 212

[그림 2-77]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건물 부문 244

[그림 2-78] EU 시멘트-콘크리트 탄소중립 시나리오 249

[그림 2-79] 자율주행 시범운행 심야버스 251

[그림 2-80] 광역운송 자율주행 시범운행 251

[그림 2-81] 미국 Waymo 로보택시 252

[그림 2-82] 독일 자율주행 시범운행 차량 252

[그림 2-83] 중국 바이두 로보택시 252

[그림 2-84] 일본 자율주행 시연 차량 252

[그림 2-85] 천리안위성 2A호 주요 산출물 262

[그림 2-86]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 개요 270

[그림 2-87] 함정전투체계 개념도 277

[그림 2-88] O-RAN의 인터페이스 구조 289

[그림 3-1] 네덜란드의 정책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312

[그림 3-2] 사후 평가가 예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측정 결과 318

[그림 3-3]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절차 331

[그림 3-4]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재원구조(2023년 기준) 333

[그림 3-5] 12대 분야별 정부 예산(2023년 예산 기준) 334

[그림 3-6] 정부 R&D사업의 진행 및 관리 프로세스 335

[그림 3-7] 정부 R&D사업 예산편성 프로세스 336

[그림 3-8] 주요국 정부연구개발예산의 경제사회목적별 투자 비중 337

[그림 3-9]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 평가제도 변천 345

[그림 3-10] R&D 수행 전주기 단계별 성과평가 체계 346

[그림 3-11] 재정사업 성과평가별 항목체계 369

[그림 3-12]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구조 378

[그림 3-13] FP의 발전과정과 연구주제 연계 384

[그림 3-14] FP6 대비 변화한 FP7의 평가체제 구성요소 385

[그림 3-15] Horizon Europe의 평가 논리모형 389

[그림 3-16] Horizon Europe의 특정목표와 운영목표 설정 관계도 390

[그림 3-17] Horizon Europe의 성과관리 세부 논리모형 391

[그림 3-18] Horizon Europe의 목표와 핵심영향영역 성과 연계도 393

[그림 3-19] Horizon Europe의 성과 데이터 관리 모형 396

[그림 3-20] DAF의 1984년 회계연도 RTDE 요구예산(예시) 406

[그림 3-21] DAF의 1984년 예산요구 내용 중 우주 추진체(Aerospace propulsion) 관련 성과와 계획(예시) 407

[그림 3-22] NASA의 2024 전략-성과-증거 프레임워크 418

[그림 3-23] NASA의 2023회계연도 성과평가 결과 421

[그림 3-24] 미국의 범부처 성과정보 공개 플랫폼(performance.gov) 424

[그림 3-25] 미국의 Evaluation.gov 홈페이지 424

[그림 3-26] 일본 정책평가 시스템의 기능 439

[그림 3-27] 일본의 R&D 평가체계 440

[그림 3-28]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범위 442

[그림 3-29] 도근(道筋) 443

[그림 3-30] 평가항목ㆍ기준의 변화 451

[그림 3-31] 최적화된 계층적 평가 시스템 구축 452

[그림 3-32] 각 평가별 연계 방안 453

[그림 3-33] 예산 요구 및 평가 프로세스 연동 455

[그림 3-34] 제안된 평가 프로세스 적용 스케줄 455

[그림 3-35] 프로그램 단위 예산 요구 예시 456

[그림 3-36] 특정 사업 예산안 예시 457

[그림 3-37] 사전평가를 통한 예산요구 예시 458

[그림 3-38] REF 2021, 고등교육기관 품질 프로파일 475

[그림 3-39] REF에 따른 QR 펀딩 단계 476

[그림 3-40] 연구자금 품질 가중치 477

[그림 3-41] 영국의 과학기술 정부 조직 479

[그림 3-42] 영국 연구 자금의 흐름 482

[그림 3-43] 예산서 내 재정정보의 변화 양상(VBTB → VB) 506

[그림 3-44] 보건부의 책임예산제도 사례 507

[그림 3-45] 네덜란드 내 주요 부처의 성과지표 수 변화(VBTB → VB) 509

[그림 4-1] performance.gov 부처별 전략목표 현황 시트 532

[그림 4-2] performance.gov 부처별 우선순위 목표 현황 시트 532

[그림 4-3] 영국의 중기계획과 성과관리 534

[그림 4-4] 영국의 정부기능표준 중 분석 기능 535

[그림 4-5] NT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주요 서비스 545

[그림 4-6] 예산배분ㆍ조정 지원시스템 DB현황 548

[그림 4-7] PEIS 성과평가정보시스템 구성도 549

[그림 5-1] 토픽 수에 따른 응집성 지수 변화 561

[그림 5-2] 수소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64

[그림 5-3] 반도체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67

[그림 5-4] 우주항공해양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69

[그림 5-5] 첨단바이오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71

[그림 5-6] 인공지능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74

[그림 5-7] 첨단모빌리티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77

[그림 5-8] 첨단로봇제조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79

[그림 5-9] 차세대통신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81

[그림 5-10] 사이버보안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84

[그림 5-11] 이차전지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87

[그림 5-12] 차세대원자력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89

[그림 5-13] 양자 분야 중요도 5% 이상 라벨(토픽)의 연차별 log(중요도) 592

[그림 5-14] 선형회귀분석 회귀계수 기준 Hot 토픽과 Cold 토픽의 중요도 추이 594

[그림 5-15] 홀트 선형추세기법의 트렌드 계수 기준 Hot/Cold 토픽의 중요도 추이 597

[그림 5-16]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따른 중요도 5% 이상 토픽의 연도별 중요도 합 변화 598

[그림 5-17] 인공지능 및 첨단로봇제조 분야 전체 중요도 기준 5% 이상 라벨(토픽)의 연도별 중요도 600

[그림 5-18] 국가전략기술 내 Hot&Cold 토픽 상위 3개의 연도별 중요도 602

[그림 6-1] 과학기반성 지표 개념 607

[그림 6-2] 과학기반성 지표의 변형 608

[그림 6-3] AI 데이터를 통한 과학기반성 지표 검증 조건 609

[그림 6-4] 출현밀도 지표 개념 610

[그림 6-5] 네트워크 지표 개념 611

[그림 6-6] 분석지표를 활용한 이머징 키워드 추출 613

[그림 6-7] KEM에 나타난 사분면별 특성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