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2024년 태풍 주요 현황 4

1. 2024년 태풍 개요 5

가. 태풍 발생 통계 5

나. 태풍 발생 주요 환경 8

다. 한반도 영향태풍 개요 30

제2장 2024년 한반도 영향태풍 분석 32

1.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 33

가. 개요 33

나. 태풍 특성 분석 37

1) 발생기 37

2) 발달ㆍ최성기 41

3) 영향기간 43

4) 약화기 45

5) TD 약화 이후 48

6) 특이사항 50

다. 태풍 관련 관측값 52

2. 제10호 태풍 산산(SHANSHAN) 53

가. 개요 53

나. 태풍 특성 분석 57

1) 발생기 57

2) 발달ㆍ최성기 61

3) 영향기간 64

4) 약화기 66

5) 특이사항 69

다. 태풍 관련 관측값 73

제3장 2024년 한반도 영향태풍 관련 보도자료 74

1.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 75

2. 제10호 태풍 산산(SHANSHAN) 76

[부록 1] 2024년 한반도 영향태풍 관련 피해 상황 77

[부록 2] 열대저기압의 분류 78

참고문헌 79

판권기 80

표목차 5

[표 1.1] 2024년 월별 태풍 발생 수 5

[표 1.2] 2024년 최대강도 등급별 태풍 발생 수 5

[표 1.3] 엘니뇨ㆍ라니냐 감시구역 Nino 3.4의 3개월 이동평균 해수면온도 편차 8

[표 1.4] 2024년 한반도 영향태풍 일람 31

[표 2.1] 제9호 태풍 종다리 분석표 36

[표 2.2] 제9호 태풍 종다리 영향기간(8.20.)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관측값 52

[표 3.1] 제10호 태풍 산산 분석표 55

[표 3.2] 제10호 태풍 산산 영향 기간(8.28.~8.30.)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관측값 73

그림목차 6

[그림 1.1] 2024년 북서태평양 발생 태풍의 경로 6

[그림 1.2] 2024년 500hPa 지위고도 편차(녹색: 평년 5880gpm) (a)봄, (b)여름, (c)가을, (d)겨울 7

[그림 1.3] 태풍 평년 발생 위치 밀도(채색) 및 2024년 태풍 발생 위치(녹색 점) 밀도 격자간격 4°×4° 7

[그림 1.4] 엘니뇨ㆍ라니냐 쇠퇴 해의 태풍 발생(6~9월) 비교 8

[그림 1.5] 2024년 1~5월 태풍 발생 적은 원인 모식도 9

[그림 1.6] 5월(5.1.~19.) OLR 편차 현황(왼쪽) 및 MJO 현황(4.1.~5.16.)과 예측(5.17.~5.31.) 10

[그림 1.7] 가을철(9~11월) 월별 OLR 편차(위)와 850 hPa 유선 편차(아래) 10

[그림 1.8] 2024년 가을철 태풍 발생 많은 원인과 진로 모식도 11

[그림 1.9] 2024년 5월 25일~5월 31일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OLR, (c)500hPa 지위고도 (d)850hPa 바람벡터 12

[그림 1.10] 제1호 태풍 에위니아 진로와 KIM 850hPa 유선장 및 수증기 영상(2024.5.26. 09시) 13

[그림 1.11] 2024년 6월(위)과 7월(아래) 평년편차 (좌)500hPa 지위고도, (우)850hPa 바람 14

[그림 1.12] 2024년 6월과 7월 태풍이 발생하지 않은 원인 모식도 14

[그림 1.13] 2024년 7월 말(7.22.~7.28.) 평년편차 (좌)500hPa 지위고도, (우)850hPa 바람 15

[그림 1.14] 7월 OLR 주간 변화(위)와 BSISO 2 분석과 예측(아래) 16

[그림 1.15] 제3~4호 태풍 진로와 KIM 500hPa 유선장(2024.7.21. 15시) 17

[그림 1.16] 2024년 8월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500hPa 지위고도, (c)200hPa 속도포텐셜, (d)850hPa 바람 17

[그림 1.17] 시간에 따른 중위도 저기압의 남진 경향(2024.7.31.~8.3.(위), 몬순자이어 형성 기작(CHEN at al.,2008) 18

[그림 1.18] 제5호~제8호 태풍 발생 상황과 850 hPa 유선장 및 EPT(2024.8.12. 21시) 19

[그림 1.19] 2024년 8월 3주(좌)와 4주(우)의 평년편차 (위)500hPa 지위고도, (아래)850hPa 바람 20

[그림 1.20] 열대파동 발달에 따른 10호 태풍 산산 발생(KIM 500hPa 유선장) 21

[그림 1.21] 2024년 8월 3주(좌)와 4주(우)의 200hPa 지위고도 편차 22

[그림 1.22] 2024년 9월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500hPa 지위고도, (c)200hPa 속도포텐셜, (d)850hPa 와도 23

[그림 1.23] 제13호~15호 태풍 발생 환경과 KIM 850hPa 유선장 및 EPT(2024.9.15. 09시) 23

[그림 1.24] 제16호~18호 태풍 발생 환경과 KIM 925hPa 유선장 및 수증기영상(2024.9.24. 09시) 24

[그림 1.25] 9월 200hPa 지위고도 편차(좌), 9월 종관상황과 태풍 이동(우) 25

[그림 1.26] 2024년 10월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500hPa 지위고도, (c)200hPa 속도포텐셜, (d)850hPa 상대와도 25

[그림 1.27] 2024년 10월 태풍 발생과 진로 관련 기압계 영향 모식도 26

[그림 1.28] 2024년 11월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500hPa 지위고도, (c)200hPa 속도포텐셜, (d)850hPa 상대와도 27

[그림 1.29] 2024년 11월 12일 12UTC 500hPa 유선장(UM) 28

[그림 1.30] 2024년 10.28.~11.03. 평년편차 (좌)상향장파복사, (우)850hPa 동서바람 28

[그림 1.31] 2024년 12월 평년편차 (a)해수면온도, (b)500hPa 지위고도, (c)200hPa 속도포텐셜, (d)850hPa 상대와도 29

[그림 1.32] 2024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경로도 30

[그림 2.1] 제9호 태풍 종다리의 (a)경로도, (b)강도시계열 35

[그림 2.2] 제17호 열대저압부(8.17. 15시) (a)해수면온도, (b)해양열량, (c)200-850hPa 연직시어, (d)700-850hPa 지향류 37

[그림 2.3] 제9호 태풍 종다리 500hPa 유선장&천리안위성(GK2A) 컬러적외 영상 38

[그림 2.4] 제9호 태풍 종다리 - 850hPa 유선&상당온위(8.19. 03시) 39

[그림 2.5] 제9호 태풍 종다리 발달경향(적외영상) 39

[그림 2.6] 제9호 태풍 종다리(8.19. 03시) (a)200hPa 유선, (b)500hPa 유선 40

[그림 2.7] 태풍 선언 전 해상풍 자료 (a) 2409 종다리, (b) 2207 트라세 40

[그림 2.8] 제9호 태풍 종다리(8.19. 09시) (a)500hPa 유선&적외영상, (b)500-850hPa 지향류 41

[그림 2.9] 제9호 태풍 종다리 (a)GTS 자료(8.19.11시) (b)적외영상(8.19.13시) 41

[그림 2.10] 제9호 태풍 종다리(8.19. 09시) (a)해수면온도, (b)200-850hPa 연직시어, (c)85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d)20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42

[그림 2.11] 제9호 태풍 종다리 시간별 특보 발효 현황 43

[그림 2.12] 제9호 태풍 종다리에 의한 (a)누적강수량, (b)일최대순간풍속 44

[그림 2.13] 제9호 태풍 종다리와 표류부이 자료 (a)위치, (b)거리, (c) 기압&해수면 온도 45

[그림 2.14] 제9호 태풍 종다리 강도 경향(적외 강조영상) 46

[그림 2.15] 제9호 태풍 종다리 레이더영상>S 자료 46

[그림 2.16] 제9호 태풍 종다리(8.20. 21시) (a)컬러수증기 영상 (b)레이더 낙뢰 영상 47

[그림 2.17] 제9호 태풍 종다리(8.20. 09시) (a)400-850hPa 지향류, (b)85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c)50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d)20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47

[그림 2.18] 제19호 TD(8.20. 21시) (a)700-850hPa 지향류, (b)85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c)50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d)20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48

[그림 2.19] 925hPa 유선&수증기영상(8.21. 03시) 49

[그림 2.20] 제19호 TD 분석위치>S 자료 49

[그림 2.21] 제19호 TD 이동경향 51

[그림 3.1] 제10호 태풍 산산의 (a)경로도, (b)강도시계열 54

[그림 3.2] 제20호 열대저압부(8.21. 09시) (a)해수면온도, (b)해양열량, (c)200-850hPa 연직시어, (d)700-850hPa 지향류 57

[그림 3.3] 제10호 태풍 산산(8.22. 03시) 200hPa 유선&천리안위성(GK2A) 수증기영상 중첩 58

[그림 3.4] 제10호 태풍 산산 천리안위성(GK2A) 컬러적외 영상 59

[그림 3.5] 제10호 태풍 산산(8.22. 09시) (a)500hPa 유선 (b)700-850hPa 지향류 59

[그림 3.6] 제10호 태풍 산산 200hPa 유선 60

[그림 3.7] 제10호 태풍 산산(8.25. 09시) (a)500hPa 유선, (b)400-850hPa 지향류 60

[그림 3.8] 제10호 태풍 산산(8.27. 09시) (a)850hPa 유선장&위성 적외영상, (b)200hPa 유선장, (c)500hPa 유선장, (d)300-850hPa 지향류 61

[그림 3.9] 제10호 태풍 산산(8.28. 09시) (a)해수면온도 (b)200hPa 유선 62

[그림 3.10] 제10호 태풍 산산(8.28. 15시) (a)해수면온도&해류 (b)200hPa 유선 62

[그림 3.11] 제10호 태풍 산산 눈벽대체과정(ERC) 천리안위성(GK2A) 적외강조 영상 63

[그림 3.12] 제10호 태풍 산산의 경로와 분석시각 64

[그림 3.13] 제10호 태풍 산산 시간별 특보 발효 상황 65

[그림 3.14] 제10호 태풍 산산에 의한 (a)누적강수량(8.28.~8.30.), (b)일최대순간풍속(8.29.) 65

[그림 3.15] 제10호 태풍 산산 500hPa 유선 66

[그림 3.16] 제10호 태풍 산산 약화기(8.29. 09시) 67

[그림 3.17] 제10호 태풍 산산 열대저압부로 약화 과정 천리안위성(GK2A) 적외강조영상 68

[그림 3.18] 제10호 태풍 산산 200hPa 유선&천리안위성(GK2A) 수증기영상 중첩 69

[그림 3.19] 제10호 태풍 산산 지향류 70

[그림 3.20] 제10호 태풍 산산 (a)태풍진로도 (b~d)500hPa 유선 71

[그림 3.21] 제10호 태풍 산산 200hPa 유선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