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요약문 2

Ⅰ. 서론 11

1. 배경 및 목적 12

2. 평가 범위 및 내용 14

3. 위험성평가 대상 물질 16

Ⅱ. 산업용 세척제의 종류 및 세척 공정 특성 20

1. 산업용 세척제의 종류 21

2. 산업용 세척제로 사용하는 물질 25

3. 세척 공정 및 설비 35

Ⅲ. 세척제 취급 관련 화재ㆍ폭발 사고사례 39

1. 중대재해 및 중대산업사고 40

2. 부상 사고 47

3. 사고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52

Ⅳ. 시험장비 및 방법 55

1. 인하점(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0; 이근원 등, 2013) 56

2. 폭발한계(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0; 이근원 등, 2013) 62

3. 자연발화점(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0; 이근원 등, 2013) 66

4. 증기압 71

Ⅴ. 결과 및 고찰 74

1. 산업용 세척제로 사용하는 물질의 화재ㆍ폭발 특성 75

2. 세척제 시료의 화재ㆍ폭발 위험성 80

3. 세척제의 위험성평가 및 화재ㆍ폭발 예방대책 83

Ⅵ. 요약 및 결론 85

참고문헌 89

판권기 92

표목차 8

〈표 Ⅰ-1〉 위험성평가 범위 및 내용 15

〈표 Ⅰ-2〉 물리적 위험성 시험 대상 물질의 물리적 특성 및 용도 18

〈표 Ⅰ-3〉 물리적 위험성 시험 대상 물질 구성성분의 물리적 특성 19

〈표 Ⅱ-1〉 수계 및 용제계 세척제의 특성(이혜진, 2023) 21

〈표 Ⅱ-2〉 세척제의 종류 및 주요 물질 24

〈표 Ⅱ-3〉 세척 공정에서 사용하는 다빈도 물질의 연도별 작업환경측정 사업장수(정경숙 등, 2017) 26

〈표 Ⅱ-4〉 세척제로 사용하는 물질의 법적 적용 대상(정경숙 등, 2017) 27

〈표 Ⅱ-5〉 업종별 세정작업 작업환경 측정 건수(2014~2016년)(정경숙 등, 2017) 32

〈표 Ⅱ-6〉 산업세정 적용 분야 및 용도 33

〈표 Ⅱ-7〉 주요 업종별 주요 세척제 작업환경측정 건수(2014~2016년)(정경숙 등, 2017) 34

〈표 Ⅱ-8〉 산업 분야의 공정 및 방법 세척(정경숙 등, 2017) 37

〈표 Ⅱ-9〉 일반적인 세척 설비의 유형(이혜진 등, 2023) 38

〈표 Ⅲ-1〉 국내 세척제 취급 관련 화재ㆍ폭발사고(중대재해) 사례(2010년~2022년) 43

〈표 Ⅲ-2〉 국내 세척제 취급 관련 화재ㆍ폭발사고(부상재해) 사례(2019~2023) 47

〈표 Ⅳ-1〉 인화점 시험 방법의 종류 56

〈표 Ⅳ-2〉 인화점 시험방법에 따른 승온 속도 61

〈표 Ⅳ-3〉 인화점 측정 계산 및 정밀도 61

〈표 Ⅳ-4〉 자연발화점 측정관련 표준시험법의 비교 68

〈표 Ⅳ-5〉 화학물질의 증기압 측정법의 종류 및 측정범위 72

〈표 Ⅳ-6〉 증기압 측정장비 장비 사양 73

〈표 Ⅴ-1〉 세척제 사용 물질의 화재ㆍ폭발 특성 76

〈표 Ⅴ-2〉 사고원인 물질의 물리적 위험성 시험 결과 82

그림목차 10

[그림 Ⅳ-1] Tag Flash Point Tester(TAG 4) 57

[그림 Ⅳ-2] Fully Automatic Pensky-Martens Flash Point Analyzer 58

[그림 Ⅳ-3] Fully Automatic Flash Pointer(Cleveland Open Cup Analyzer - CLA4) 60

[그림 Ⅳ-4] 온도와 가연성 물질의 연소 특성 간의 관계 63

[그림 Ⅳ-5] 폭발한계 측정장치 64

[그림 Ⅳ-6] Semi-automatic autoignition tester(ZPA-3) 69

[그림 Ⅳ-7] 증기압 측정장비 사진 및 작동 원리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