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PART 1. 서론 / 박태현 7
PART 2. 미래를 대비하는 과학기술과 정책 / 정선양 13
1. 서론 15
2.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의 대두 19
가. 전환이론 19
나. 변혁적 과학기술정책 21
다. 새로운 미션지향적 과학기술정책 23
3. 소결 29
가. 한림원의 전략기술 도출 29
나. 한림원의 미션지향적 정책자문 31
참고문헌 33
PART 3. 인공지능의 활용과 공존 36
1. 서론 39
2. 인공지능 기술 및 분야 발전 전망 / 이성환 45
가. 들어가는 말 45
나.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 46
다. 인공지능의 활용 49
라. 인공지능에 대한 국가 정책 현황 51
마. 맺음말 55
참고문헌 56
3. AI 기술 발전 전망 및 국내 산업의 새로운 도약 전략 / 이경무 57
가. 들어가는 말 57
나. AI 기술의 현황 및 발전 방향 58
다. 우리의 AI 역량 및 현주소 65
라. 국내 산업 발전을 위한 AI 전략 73
마. 맺음말 74
참고문헌 75
4. 생성 AI 시대 산업과 사회 대전환 / 하정우 76
가. 들어가는 말 76
나. 2024년 생성 AI 기술 동향 및 전망 76
다. 생성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혁신 84
라. 새로운 AI 에이전트 시대 87
마. 맺음말 89
참고문헌 90
5. 인공지능의 발전과 신뢰성 기술 전망 / 최재식 92
가. 들어가는 말 92
나. 미국의 인공지능 투자 전략 93
다. 중국의 인공지능 투자 전략 94
라. 미국과 중국의 인공지능 경쟁과 우리의 전략 95
마.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과 경제발전 97
바. 인공지능 관련법과 규제 97
사. 인공지능 신뢰성의 구성요소 98
아. 딥러닝 내부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기술 99
자. 맺음말 99
참고문헌 101
6. 인공지능 시대, 물리학자의 역할 / 서재민 102
가. 들어가는 말 102
나. 물리학과 AI: 원자핵부터 우주까지 103
다. 물리를 이해하는 AI 105
라. 물리학자의 역할 106
마. 맺음말 107
참고문헌 108
7. 인공지능이 불러온 생명과학 연구 혁신 / 백민경 109
가. 들어가는 말 109
나. 인공지능의 생명과학 연구 활용 현황 110
다. 인공지능 기반 생명과학 연구의 전망 112
라. 맺음말 115
참고문헌 116
8. 공정한 인공지능을 위한 기술과 발전 전망 / 조성배 117
가. 들어가는 말 117
나. 공정성 척도와 데이터셋 118
다. 인공지능의 편향제거 기술 120
라. 주요국의 동향 122
마. 발전 전망 124
바. 맺음말 125
참고문헌 126
9. 지속 가능한 AI와의 공존을 위한 윤리와 규제 / 김명주 127
가. 들어가는 말 127
나. AI의 양면성 127
다. AI 윤리 원칙 130
라. AI 규제 동향 138
마. 맺음말 142
참고문헌 143
10. 소결 144
PART 4.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 149
1. 서론 152
2. 삶의 질 향상은 초고령사회 과학기술의 핵심목표 / 박상철 155
가. 들어가는 말 155
나. 시대적 변화와 백세인의 교훈 155
다. 장수의 패러독스와 코로나19의 교훈 158
라. 고령사회의 과학기술 160
마. 맺음말 163
참고문헌 164
3.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건강노화 전략과 전망 / 정해영 165
가. 들어가는 말 165
나. 4차 산업혁명시대의 다중오믹스 및 AI 기술의 건강노화 연구 활용 166
다. 노화 유발인자와 인체 방어기전 기반 건강노화 연구 동향과 전망 166
라. 세포노화와 세놀리틱스 연구 현황과 한계 169
마. 역노화 연구 현황과 전망 170
바. 건강노화 전략과 전망 170
사. 맺음말 175
참고문헌 177
4.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치매의 과학기술현황 및 발전 방향 / 묵인희 178
가. 들어가는 말 178
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관련 기술 동향 180
다.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의 필요성 및 방법 184
라. 국외 주요기관 정책 동향 189
마. 국가 차원에서의 치매 대비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지원 190
바. 맺음말 192
참고문헌 193
5.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암관리 정책 / 서영준 194
가. 들어가는 말 194
나. 우리나라 암발생률 및 사망률의 변화 추이 194
다. 다단계 발암기전의 과학적 이해 196
라. 암치료 및 항암제 개발의 현황 및 한계 197
마. 암세포의 특성 및 암발생에 대한 새로운 시각-진화론적 접근 198
바. 암은 예방 가능한가? 199
사. 주요 선진국의 암관리 정책 분석 200
아. 우리나라 암관리 현황 및 정책적 대비 203
자. 초고령사회 통합적 암관리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 204
차. 맺음말 205
참고문헌 206
6. 초고령사회와 디지털헬스 / 고상백 207
가. 들어가는 말 207
나. 디지털헬스의 정책 및 기술현황 209
다. 디지털헬스의 내용과 역할 211
라. 맺음말 215
참고문헌 216
7.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돌봄로봇 기술 / 송원경 217
가. 들어가는 말 217
나. 돌봄로봇 기술의 발전 전망 218
다. 주요국의 돌봄로봇 정책 동향 221
라. 국내 현황 및 정책 과제 223
마. 맺음말 225
참고문헌 226
8. 초고령사회에 필요한 미래 모빌리티의 발전 / 조형희 228
가. 들어가는 말 228
나. 웨어러블 로봇의 발달과 활용 228
다. 개인 이송 기술의 발달 232
라. AI 및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기술의 연계 및 발전 방향 235
마. 초고령사회의 모빌리티 향상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제언 236
바. 맺음말 238
참고문헌 239
9. 초고령사회와 능동적 노화: 인지적, 사회적 관점 / 한소원 240
가. 들어가는 말 240
나. 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241
다. 신체 움직임과 뇌인지 기능 242
라. 모빌리티와 사회적 연결 244
마. 걷기 좋은 도시와 자연이 있는 환경 245
바. 모두를 위한 도시 모델과 정책 제언 247
사. 맺음말 248
참고문헌 250
10. 소결 251
PART 5.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대응 252
1. 서론 255
2. 글로벌 보건 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원헬스 접근법 / 한호재 258
가. 들어가는 말 258
나. 원헬스 접근법 259
다. 글로벌 인프라 구축 263
라. 맺음말 265
참고문헌 266
3. 인수공통 감염병과 종간전파 / 송대섭 267
가. 들어가는 말 267
나. 종간전파(spillover) 감염병의 의미와 중요성 268
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포유류 감염 확산 269
라. 국내외 HPAI 감염병 대응 정책 272
마. 맺음말 274
참고문헌 277
4.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학적 대응 / 신의철 279
가. 들어가는 말 279
나.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279
다.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T 세포 반응 280
라. 신종 바이러스 팬데믹의 엔데믹 전환과 면역 282
마. 과잉 염증반응과 중증 감염 284
바.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학적 선제 대응 285
사. 맺음말 287
참고문헌 289
5. 차세대 바이러스 감염병 백신 전략 / 정대균 291
가. 들어가는 말 291
나. 백신 기술 개발 현황 292
다. 백신 기술 개발 전망 295
라. 주요국의 백신 정책 동향 297
마. 국내 백신 기술 개발을 위한 제언 297
바. 맺음말 298
참고문헌 299
6. 팬데믹 치료제 개발의 중요성 / 한수봉 300
가. 들어가는 말 300
나. 팬데믹의 위기 300
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303
라. 미래 팬데믹 대응 치료제 개발 307
마. 맺음말 309
참고문헌 310
7. 신ㆍ변종 바이러스 대응 진단의 중요성 / 나운성 311
가. 들어가는 말 311
나. 감염병과 검체 수집 312
다. 감염병의 진단 시기와 임상증상 간의 관계 313
라. 바이러스 진단 플랫폼 315
마. 유입 가능한 신ㆍ변종 병원체에 대한 진단 준비 사항 또는 연구 방향 317
바. 맺음말 319
참고문헌 320
8. 넥스트 팬데믹에 대한 대응: 공중보건 / 오명돈 321
가. 들어가는 말 321
나. 과거의 팬데믹 323
다. 신종감염병 325
라. 넥스트 팬데믹의 전망 327
마. 넥스트 팬데믹,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328
바. 넥스트 팬데믹 대응의 과제들 330
사. 국가 정책 제언 333
아. 맺음말 335
참고문헌 336
9. 소결 338
PART 6. 결론 / 김영배 341
그림 3.1. 트랜스포머 이후 출현한 대형언어모델 45
그림 3.2. 최초의 멀티모달 언어모델 Flamingo 46
그림 3.3. 다양한 멀티모달 언어모델 47
그림 3.4. AI 모델들의 학습계산량 추이 59
그림 3.5. AI 모델의 학습비용 추이 60
그림 3.6. AI 모델 학습데이터 양 추이 61
그림 3.7. Epoch의 TAI(AGI) 도래 시기 예측 63
그림 3.8. AI 전문가들의 AGI 도래 시기 예측 64
그림 3.9. 국가별 AI 경쟁력 순위 66
그림 3.10. 국가별 AI 관련 논문 발표 수 67
그림 3.11. 국가별 특허 수 68
그림 3.12. 인구 10만 명당 특허등록 수 69
그림 3.13. 인구 10만 명당 특허등록 증가율 69
그림 3.14. 국가별 대규모 AI 시스템 보유 수 70
그림 3.15. 2023년 국가별 AI 민간투자 규모 71
그림 3.16. 국가별 정부 AI 투자 규모 71
그림 3.17. 2013-2023년 신생 AI 회사 수 72
그림 3.18. 오픈AI Sora가 생성한 비디오와 프롬프트 예시 79
그림 3.19. RAG를 활용한 LLM 응용 시스템 전제구조 81
그림 3.20. 가트너 그룹의 Hype Cycle for AI 2024 83
그림 3.21. 각 산업 분야에서 기능별 생성 AI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 85
그림 3.22. 소프트웨어 평가 직군의 과업과 각 과업별 LLM 활용 사례 86
그림 3.23. 클로바X의 스킬을 활용하여 원티드 앱과 연동한 사례 88
그림 3.24. COMPAS 데이터셋에 나타나는 편향성 119
그림 3.25. 편향제거 방법의 3가지 접근 방식 120
그림 3.26. AI 윤리의 글로벌 이슈 동향 138
그림 4.1. 건강노화와 건강장수 165
그림 4.2. 노화의 유발인자와 방어인자의 밸런스 167
그림 4.3. 건강노화 전략을 통한 건강 장수 이룩하기 175
그림 4.4. 국내 추정치매환자 추이(2021~2070) 178
그림 4.5. 글로벌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파이프라인 181
그림 4.6. 2024년 알츠하이머병 신약 개발 임상시험 현황 181
그림 4.7. 임상시험 단계별 약물 작용 기전 메커니즘 182
그림 4.8.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의 현황 및 발전 방향 185
그림 4.9. 알츠하이머병 관련 바이오마커 186
그림 4.10. 알츠하이머병 영상 바이오마커 비교 187
그림 4.11. 다양한 알츠하이머병 체액 바이오마커 측정 기술 현황 188
그림 4.12. 1999년부터 2021년까지 남녀별 국내 모든 암 연령표준화발생률 추이 195
그림 4.13. 2021년 모든 암의 연령군별 발생률 197
그림 4.14.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에 따른 5년 뒤 미래상 203
그림 5.1. Emerging Infections(2003~2022) 301
그림 5.2. 주요 바이러스 질병 발현 시기 302
그림 5.3.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 302
그림 5.4. 렘데시비르 304
그림 5.5. 바리시티닙 304
그림 5.6.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 305
그림 5.7. 팍스로비드의 주성분(니르마트렐비르와 리토나비르) 306
그림 5.8. 감염병 팬데믹의 특징 307
그림 5.9. 감염병 연구의 어려움 308
그림 5.10. 주요 기관에서 발표한 미래 팬데믹 유발 가능 바이러스 308
그림 6.1. 과학기술정책 추진 과정의 4가지 경로 34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