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들어가는 글 우리 동네 코끼리병원 이야기

1장 글쓰기가 두렵고 막막합니다
글쓰기가 두렵다고요? 실패가 두려운 것이 아니고요?
- 쓰지 않는 이유 vs 써야 하는 이유
- 낯설면 막막합니다

글쓰기를 위해 당장 해야 하는 일
- 컴퓨터 앞에 앉기 전에
- 후회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 지금 글을 써야 한다면

희망적인 소식 두 가지
- 남다른 감각과 상상력이 없어서 고민입니까?
- 글 잘 쓰는 비결이 궁금합니까?

2장 일단 한번 써보고자 합니다
글쓰기에도 준비운동이 필요합니다
- 자기만의 공간을 만드세요
- 이 글을 쓰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내 글을 읽을 독자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고요?
- 남들은 이럴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요?
- 브레인스토밍의 몇 가지 원칙
- 자기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글쓰기 절차와 단계를 꼭 지키나요?
- 여러분의 MBTI는 무엇인가요?
- 세 가지 스타일, 세 가지 글쓰기

개요를 꼭 짜야 하냐고요?
- 개요 짜기에 대한 몇 가지 오해
- 짜임새 있는 글의 구성

시작하기와 마무리하기
- 서론을 못 써서 고민이라고요? 너무 잘 써서 고민 아니고요?
- 서론의 기능을 기억하세요
- 결론에서 어떻게 마무리 지어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글은 문단으로 구성됩니다
- 문단을 왜 나누어야 할까요?
- 문단을 이렇게 나누어보세요
- 문단 분량을 채우기가 힘들다고요?
- 오레오맵을 활용해보세요
- 문단과 문단의 유기적 연결

3장 글다운 글을 써보고 싶습니다
첫 문장을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요?
- 첫 문장은 글 전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첫술에 배부르랴

눈길을 끄는 제목을 붙이세요
- 제목은 이름입니다
- 매력적인 제목 쓰는 팁이요?
- 모든 제목이 매력적이어야 할까요?
- 언제 제목을 붙여야 할까요?

주제가 자꾸 빗나간다고요?
- 주제는 딱 하나!
- ‘세 가지’의 함정
- 주제는 평서문 형태로

서사, 묘사, 비유로 내 글에 날개를 달아주세요
- 서사, 묘사는 소설가만 쓸까요?
- 비유는 시인만 쓰는 것이라고요?

구체적으로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수치로 말하세요
- 부사는 꼭 필요할 때만 쓰세요
- 독자가 판단하도록 표현하세요

정해진 분량 안에서 설득력을 높이려면
- 요약하지 말고 주제를 초점화하세요
- 독자를 생각하면서 분량을 조절하세요
- 버리지 말고 모아두세요
- 인용으로 내 편을 과시하세요

4장 그렇게 내 글을 완성해갑니다
뻔한 이야기를 피하는 법
- 자기만의 보물 상자가 있습니까
- 평범한 것을 특별하게 만드세요
- 자기 경험에서 출발하세요
- 자기만의 눈을 가지세요

퇴고, 퇴고, 퇴고
- 퇴고를 꼭 해야 하냐고요?
- 내 글에 애정이 있다면 퇴고를 하세요
- 퇴고할 시간을 확보하세요

퇴고는 실전입니다
- 퇴고하기가 막막하다면
- 다른 사람에게 내 글을 보여주세요
- 피드백을 받았는데 어떻게 고쳐야 할지 모르겠다고요?

잘 읽히는 문장 쓰기
- 생각이 문장이 됩니다
- 한 문장에는 하나의 뜻이 담겨야 합니다
- 고치기 어려운 글버릇
- 접속어를 조심하세요
- ‘-의’를 아껴 쓰세요
- 적확한 표현을 쓰세요
- 개성 있는 문장을 쓰세요

글이 안 늘어서 속상합니까?
- 임계점을 넘는 끈기와 용기
- 글이 도저히 안 써질 때

자기만의 글을 쓰세요
- 유행어나 비속어를 써도 되냐고요?
- 자기만의 색깔을 가지세요

글은 무엇으로 쓰는가
- 글에 진심을 담으세요
- 품위 있는 사람이 품위 있는 글을 씁니다

부록 맞춤법 마치는 글 실패할 권리

이용현황보기

나의 첫 글쓰기 수업 = Writing lessons : 글쓰기의 두려움을 넘어서는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536 808 -25-3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9537 808 -25-3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어떻게 좋은 글을 쓸 수 있을까?

처음 글쓰기를 시작하는
이들을 위한 친절한 안내서


글쓰기가 두렵다고요? 무엇을 어떻게 쓸지 막막하다고요? 실패해도 됩니다. 못해도 큰일 나지 않습니다. 글쓰기는 스트레스 맞습니다. 쓰기 전에도 스트레스, 쓸 때도 스트레스, 쓰고 나서는 더 스트레스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압니다. 그래도 쓰긴 써야 한다는 것.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몰려 이제는 벼랑 끝에 서 있다는 것을요. 누군가는 과제를, 누군가는 자기소개서를, 누군가는 보고서를 써야 할 겁니다. 그리고 또 누군가는 글쓰기를 새삼스러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러니, 눈 질끈 감고 시작합시다. 이 책은 글쓰기의 시작을 돕는 친절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글쓰기의 기본기부터 맞춤 전략까지!
두려움을 넘어 글쓰기의 힘을 배우는
‘나를 위한 첫 글쓰기 수업’


“내 글을 쓴다는 것은 내 삶을 사는 것과 같습니다. 글쓰기를 이제 막 시작하는 이들을 위해, 그 글쓰기를 오롯이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이들을 위해 이 책이 그 막막함과 고통스러움을 덜어줄 수 있는 몇 알의 약이 되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글쓰기와 삶을 응원합니다.”
- 작가의 말

글쓰기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로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남의 생각에 기대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것이죠. 글쓰기는 자기 삶의 표현 수단이자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위해 꼭 필요한 능력입니다. 따라서 글쓰기의 중요성은 늘 강조되지만 글을 쓰려고만 하면 자동으로 한숨부터 나오고 막막함이 앞서는 게 사실입니다.
오직 반복된 연습만이 글쓰기를 잘하는 비결이라고 하는데 이 연습은 실제 고통스럽습니다. 가령 주제를 초점화하라고 하는데 어디까지 해야 하는 건지, 서론에서는 독자의 흥미를 끌라고 하는데 어떤 내용과 방법이 필요한지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옆에서 누가 “이게 좋겠다”라고 딱 결정해주거나 “여기까지가 좋아. 이걸 넘어가면 안 돼”라고 분명하게 경계를 알려주면 좋겠는데 그런 사람이 없어서 힘든 겁니다.
이러한 모습에 안타까움을 느낀 글쓰기 전문가 진은진 교수(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가 초보자를 위한 《나의 첫 글쓰기 수업》을 펴냈습니다. 저자는 글쓰기가 마냥 두렵고 힘든 이들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고, “글을 쓸 수 있다는 용기만 있으면 누구나 글쓰기가 가능하다”는 응원의 말을 건네며, 이들의 실력이 조금씩 나아지도록 이끌어줍니다. 이 책은 글쓰기가 두렵고 어려운 이들을 위한 친절한 안내서가 되어줄 것입니다. 글쓰기가 곧 교양인 시대, 《나의 첫 글쓰기 수업》을 통해 내 글과 내 삶의 품위를 지켜나가길 바랍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 29] 우리는 서론에서 문제 제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압니다. 학교에서 잘 배웠거든요. 그래서 서론에서 문제 제기를 하고 싶은데 막상 쓰려면 어떻게 써야 할지 모릅니다. 학교에서 배우기는 했지만 실제로 글쓰기를 해본 경험은 별로 없기 때문이죠. 문단을 요약하면서 글을 읽으면 여러 번 자세히 읽을 수밖에 없고, 그렇게 꼼꼼하게 읽으면서 비로소 안면을 트는 겁니다. “아, 댁이 말로만 듣던 문제 제기 씨군요!”
--- <글쓰기를 위해 당장 해야 하는 일>
[P. 35] 글쓰기는 노동입니다. 정신적 노동이라기보다는 육체적 노동에 가깝습니다. 머리로 걱정하고 머리로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눈으로 보고 이론으로만 익혀도 안 됩니다. 실제 글을 써보아야 하는 겁니다. 실패를 겪으면서 배우고 나아지는 것입니다. 그러니 많이 써본 사람이 잘할 수밖에 없습니다. 꾸준히 쓰는 사람이 잘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글쓰기는 엉덩이로 쓴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공부에는 왕도가 없듯이 글쓰기에도 왕도는 없습니다. 그러니 이제 제발 씁시다.
--- <희망적인 소식 두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