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1장 자율주행 레벨4 실현기에 진입하다 6

2장 최근 자율주행 시장 변화 9

제1절 주요 국가 자율주행 확산 전략 9

제2절 중국 자율주행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서비스 확산 11

제3절 무인 자율주행차 본격 경쟁 17

3장 로보택시 서비스 현황 및 특징 19

제1절 주요 로보택시 서비스 제공자 특징 19

제2절 로보택시 서비스 플레이어들의 특징과 전략 28

제3절 향후 로보택시 시장 전망 35

4장 주요 국가 기술 수준 및 투자 추이와 시사점 42

제1절 주요 국가 자율주행 기술 수준 비교 42

제2절 최근 자율주행 투자 비교 분석 44

5장 정책 제언 52

제1절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과 전략 수립의 중요성 52

제2절 자율주행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미국의 움직임 53

제3절 자율주행 기술 수준 기준 마련의 필요성 56

제4절 무인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57

참고문헌 60

전문가 약력 62

판권기 63

표목차 12

[표 2-1] 중국 주요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 12

[표 2-2] 중국 주요 도시 자율주행 운행 현황(2024년 6월 기준) 13

[표 2-3] 중국 지능형 네트워크 차량 진입 및 도로 통행을 위한 시범 컨소시엄 15

[표 2-4] 차종별 웨이모 로보택시 경제성 분석 18

[표 3-1]/[표 2-3] 현재 운영(예정) 중인 3개 유형 로보택시 서비스 대표 기업과 자율주행 차량 26

[표 3-2]/[표 2-4] 로보택시 서비스 대표 기업의 자율주행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27

[표 3-3]/[표 2-5] 로보택시 서비스 대표 기업의 자율주행 차량 운행 지역 및 협력 구도 27

[표 3-4]/[표 3-2] 로보택시 서비스 참여 주체장단점 비교 및 향후 예상 40

[표 4-1] 각국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변화 42

[표 4-2] 2022년 주요국 자율주행차 기술 수준 및 격차 추이 43

[표 4-3] 자율주행 AI, SW, 네트워크 관련 정부 R&D 연구비 추이 51

그림목차 6

[그림 1-1] 지역별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 지배자 개수 예측 6

[그림 1-2] 레벨4, 레벨5 자율주행 예상 실현 시기 7

[그림 2-1] 독일 함부르크 ALIKE 프로젝트 투입 차량 11

[그림 2-2] 디디추싱 로보택시 컨셉 디디뉴론(DiDi Neuron) 16

[그림 3-1] 테슬라 사이버캡 주요 디자인 20

[그림 3-2] 테슬라 로보택시 공유 앱 21

[그림 3-3] 우버의 자율주행 호출 서비스 협력 기업 포트폴리오 22

[그림 3-4] 우버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추진전략 23

[그림 3-5] 바이두 6세대 자율주행차 디자인 24

[그림 3-6] 로보택시 서비스 주체 및 협력 구도의 예 28

[그림 3-7] 테슬라 FSD 누적 마일리지 29

[그림 3-8] FSD 크라우드소싱 주행거리 및 운전자 개입 데이터 30

[그림 3-9] 향후 현대자동차 자율주행차 전략 31

[그림 3-10]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의 진화 33

[그림 3-11] 우버의 라이드 헤일링 모빌리티 서비스 글로벌 경쟁자 분포 34

[그림 4-1] 2023~2024년 자율주행 스타트업 투자 추이 44

[그림 4-2] 와비 월드 엔진 구성도 46

[그림 4-3] 멀티플 테스크에서의 EMMA의 코트레이닝(Co-Traning) 47

[그림 4-4] 미국과 중국의 자율주행 투자 규모 및 비중 비교 48

[그림 4-5] 우리나라 자율주행 스타트업 투자 분야(좌) 및 단계별 비율(우) 50

[그림 4-6] 자율주행 관련 정부 R&D 연구비 51

[그림 5-1] 첨단 모빌리티 분야 핵심이슈 기반 임무ㆍ목표 도출 53

[그림 5-2] 중국 완성차 업체의 자율주행 수준별 분류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