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한자 - 영원히 변치 않을 문화의 정기

제1장. 서론
역사 증명과 사상과의 결합으로서의 문자

제1절. 중국 학술 사상사의 형태적 특징
제2절. 한자의 특징
제3절. 한자와 중국의 학술 사상
제4절. 한자에서 유학 사상 연구로 들어가는 몇 가지 단계와 방법

제2장. 인(仁)의 근원
유가의 인도주의 정신의 재구

제1절. 인본(人本) 인권사상에 대한 최초의 표현
제2절. 인의(仁義) 이상적인 인격에 대한 경전의 이해
제3절. 지과(止戈) 행운과 다를 바 없는 역사적 오해

제3장. 중(中)의 근원
유가의 철학사상에 대한 추정과 연역적 고찰

제1절. 중용(中庸): 새로운 문자학적 해석
제2절. 중정(中正): 고증학적 실증
제3절. 중도(中道): 유학자들의 다시 세우기
제4절. 무례(巫禮): ‘유(儒)’자의 본모습
제5절. 보충설명: 몇 가지의 증거 자료

제4장. 덕(德)의 근원
유가 도덕 이념의 통합에 관한 고찰

제1절. 갑골문에서의 ‘덕(德)’의 의미 형상
제2절. 『설문』에서의 ‘덕(德)’자의 연계
제3절. ‘덕(德)’에 대한 경학적 판단
제4절. ‘선(善)’에 대한 원시적 증거

제5장. 시(詩)의 근원
유가 시학 사상의 변천

제1절. 시가 뜻을 표현한다는 것에 대한 논의
제2절. 시는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제3절. ‘풍요(風謠)’의 ‘체(體)’와 ‘용(用)’
제4절. ‘금(琴)’은 ‘금하다[禁]’는 뜻이다.
제5절. 시는 원망할 수 있다.

제6장. 화(和)의 근원
유가에서 미학 관념의 발생

제1절. ‘화(和)’의 어원적 연계
제2절. ‘화(和)’의 감각기관과의 연계
제3절. ‘화(和)’와 ‘동(同)’의 변증법적 관계
제4절. 여러 경전에서의 ‘화(和)’자의 사용
제5절. ‘화(和)’와 음악의 관계

제7장. 문(文)의 근원
유학 문장(文章) 정신의 실현

제1절. 복식(服飾) 기능
제2절. 문심조룡(文心雕龍)
제3절. 자체적으로 형체와 기능을 다 갖추고 있다.
제4절. 글로써 사상을 표현한다.

제8장. 옥(玉)의 근원
유학의 관물취상 사유고

제1절. 『설문』에서의 ‘옥(玉)’의 이미지
제2절. 출토 문헌에서의 ‘옥(玉)’의 이미지
제3절. 유학 경전에서의 ‘옥(玉)’의 이미지

부록
『설문해자』에서 인용한 경전 목록

이용현황보기

한자와 유학사상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029 412.12 -25-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79030 412.12 -25-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한자 연구의 역사는 수천 년 이래로 그 독특한 특색을 보여주고 있으며 복잡다단한 과정을 거쳐 왔다.
한자 연구사를 회고해 볼 때, 몇 차례의 우연한 기회가 이 오래된 연구영역에 거대한 격동을 가져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은상갑골문의 발견이요, 둘째는 망해가는 조국을 구하고 교육을 보급시키자는 조류였으며, 셋째는 역사 유물주의와 변증법적 유물주의 세계관과 방법론의 적용이었다.
우리는 또 규칙성을 가진 다음과 같은 인식을 얻을 수 있었다. 즉, 개혁은 반드시 기회를 잡아야 하며, 연구는 반드시 도전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출발점으로 삼아, 중국 상고사의 여러 국면을 환원시키고, 이미 그 근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해져 버린 중국 문화 관념의 심성 구조를 발생하게 만든 사회·역사적 배경을 보충하고 꿰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통해 전통 고증학의 과학적 실증 정신을 충분히 흡수하면서도, 언어학, 고고학, 인류학 등의 연구 성과와 과학적 연구 방법을 적절히 참고해야 한다.
영역적인 측면으로 말하자면, 모든 힘을 다하여 문학, 사학, 철학, 경학 전체를 관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단계적인 측면으로 말하자면, ‘의리(義理)’, ‘사장(辭章)’, ‘고증’을 모두 융합하여 탐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