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항공MRO 단지조성을 위한 인적자원 육성체계 마련 / 민규량 4
1. 2024년 국내ㆍ외 정책여건 5
2. 항공MRO 인적자원 육성 관련 현황 10
3. 인천시 항공MRO 인적자원 현황 17
4. 항공MRO 인적자원 육성 체계 마련 전략 제언 21
로봇산업 도약을 위한 인천시의 전략: 물류로봇을 중심으로 / 이정영 24
1. 지역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 25
2. 물류로봇 시장의 성장 26
3. 물류로봇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움직임 31
4. 인천시의 물류로봇 관련 사업 추진현황 34
5. 인천시 물류로봇 산업 육성을 위한 제언 36
인천시 노인의 사회적 고립 해소 방안 / 양지훈;양종민 40
1. 건강노화와 노인의 사회적 고립 41
2. 인천시 노인의 사회적 고립 현황 44
3. 사회적 고립 관련 정책 현황 50
4. 요약 및 정책제언 53
인천시 그린바이오 농산업 육성을 위한 이슈와 제언 / 윤석진 56
1. 그린바이오 농산업의 이해 57
2. 중앙정부 그린바이오 육성 정책 동향 60
3. 인천지역 그린바이오 농산업 발전 잠재성 63
4. 그린바이오 농산업 육성을 위한 제언 69
인천시 장래인구추계 결과와 시사점 / 채은경;유근식 71
1. 인천시 인구구조 현황 72
2. 인천시 인구 변화 전망 78
3. 인구구조 변화 대응 정책 방향 85
인천 재난안전산업 진흥 여건 및 방향 진단 / 조성윤;이정영 92
1. 재난안전산업 개요 93
2. 재난안전산업 현황 95
3. 재난안전산업 육성 사례 105
4. 정책제언 107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대응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 / 이태헌;조성윤 109
1. 청라 전기차 화재 사고 개요 및 이슈사항 110
2. 전기차 화재 특성 및 안전시설 검토 113
3. 전기차 화재 관련 국내외 법ㆍ제도 검토 117
4. 정책 개선방향 제언 122
인천시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미세플라스틱을 중심으로 / 최여울 124
1. 미세플라스틱의 이해 125
2. 국내외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사례 127
3. 인천시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현황 132
4.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135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출산 인식: 인천시 저출생 대응 정책 제안 / 양종민 137
1. 일자리 관련 요인과 출산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138
2. 인천시 일자리 및 출산 관련 현황 분석 141
3. 인천시 설문조사 분석 결과 148
4. 일자리 관련 저출생 정책 방향 159
게임산업 이슈와 인천시의 미래 전략 방향 / 민규량 164
1. 게임산업의 현황 및 주요 이슈 165
2. 국내외 게임산업 육성 사례 분석 174
3. 인천시 게임산업 현황 및 SWOT 분석 178
4. 인천시 게임산업 전략별 우선순위 180
5. 전략별 실행 방안 183
일본 입지적정화 제도의 동향과 인천시 시사점 / 이종현 186
1.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 재구조화의 필요성 187
2. 일본의 입지적정화 제도 분석 192
3. 인구감소시기의 도시공간 재구조화 관련제도 198
4. 인천시의 입지적정화계획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202
스마트 횡단보도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효과 및 개선 방안 / 이태헌 207
1. 스마트 횡단보도 바닥형 보행신호등 개요 208
2. 바닥형 보행신호등 이슈사항 210
3. 기존 연구 검토 212
4. 인천시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현황 216
5.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전-후 분석 218
6. 결론 및 정책제언 225
인천시 저층주거 원도심 10분 만족도시 실현을 위한 여건 진단 / 윤혜영 228
1. 시간 도시주의와 인천 10분 만족도시 229
2. 10분 만족도시 실현을 위한 주민 인식조사 233
3. 10분 만족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 제언 248
판권기 251
항공MRO 단지조성을 위한 인적자원 육성체계 마련 / 민규량 5
[그림 1] 인천공항 항공정비단지(MRO) 클러스터 조성 계획 5
[그림 2] 항공MRO산업의 사업 영역별 분류 7
[그림 3] 항공기 규모별 항공MRO 시장 성장률 전망(2023~2033년) 8
[그림 4] 2019년 대비 2023년 비행기 기체별 항공MRO 지출 예상규모 비교 9
[그림 5] 인천시 항공정비 교육훈련 체계도 13
[그림 6] ST Engineering Aerospace의 정비 교육 서비스 14
[그림 7] SAA의 Aviation Training Courses 15
[그림 8] 닐라이대학 항공기 정비 공학 프로그램 경로 16
[그림 9] 항공MRO 인력 부족 전망(2022~2027년) 17
[그림 10] 항공MRO산업에 대한 항공정비사 양성교육기관 재학생의 인지도 수준 23
로봇산업 도약을 위한 인천시의 전략: 물류로봇을 중심으로 / 이정영 25
[그림 1] 17개 광역시도별 지역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 추진 사업 25
[그림 2] 아마존의 물류로봇 관련 제품 27
[그림 3] 물류로봇의 세계시장 규모 및 전망 28
[그림 4] 무인운송차량(AGV)의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28
[그림 5] 첨단물류로봇 실증지원센터 구성도 32
[그림 6] 국내 대기업 물류로봇 33
[그림 7] 국내 중소기업 물류로봇 33
[그림 8] 청라 로봇실증지원센터 조감도 34
[그림 9] 물류로봇을 포함한 레전드(Regend 50+) 지원 기업 현황 35
인천시 노인의 사회적 고립 해소 방안 / 양지훈;양종민 41
[그림 1] 건강노화에 관한 공공보건 프레임워크 41
인천시 그린바이오 농산업 육성을 위한 이슈와 제언 / 윤석진 57
[그림 1] 그린바이오 산업의 범위 57
[그림 2] 국내 그린바이오 분야별 성장률 전망 59
인천시 장래인구추계 결과와 시사점 / 채은경;유근식 73
[그림 1] 인천시 인구변화 현황 73
[그림 2] 인천시의 출생과 사망, 자연증감 변화 74
[그림 3] 인천시 합계출산율 및 15~49세 인구변화 75
[그림 4] 인천시 고령인구 및 비중 변화 75
[그림 5] 인천시의 연령별 순이동 변화 76
[그림 6] 인천시 인구구조 변화 77
[그림 7] 인천시 총인구 변화 전망 78
[그림 8] 인천시 인구 변동 요인(출생, 사망, 순이동)별 전망 79
[그림 9] 인천시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변화 전망 80
[그림 10] 인천시 연령별 인구구조 변화 전망 82
[그림 11] 인천시 중위연령 및 노령화지수 변화 전망 83
[그림 12] 아파트 준공건수와 순이동 간의 관계(인천시, 2013~2023년) 83
[그림 13] 장래인구추계의 인천시 합계출산율 추계치 변화 84
[그림 14] 군구별 인구 변동요인의 인구증감 기여도 84
[그림 15] 군구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84
[그림 16] 자녀 유무에 따른 경력단절 확률 변화 86
[그림 17] 부모의 혼인상태별 출생아 비중(좌), 출생아 수와 혼인율 변화 추이(우) 88
인천 재난안전산업 진흥 여건 및 방향 진단 / 조성윤;이정영 94
[그림 1] 제1차 재난안전산업 진흥 기본계획 추진전략 및 성과지표 94
[그림 2] 재난안전산업 사업체 수 추이 96
[그림 3] 재난안전산업 종사자 수 추이 97
[그림 4] 재난안전산업 업황 평가 99
[그림 5] 기술개발 분야 에로사항 100
[그림 6] 제품(서비스) 판매 및 수출 분야 에로사항 101
[그림 7] 경영 분야 애로사항 102
[그림 8] 정부지원 분야 선호도 103
[그림 9] 정부 재난안전산업 육성정책 참여도 104
[그림 10] 2024 대한민국 국제 쿨산업전 106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대응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 / 이태헌;조성윤 110
[그림 1] 청라 전기차 화재 현장 110
[그림 2] 청라 전기차 화재 발화지점 및 화재진압 루트 112
[그림 3] 전기차 배터리 화재 폭발 원인 및 진화의 어려움 115
[그림 4] 전기차 전용 화재진압 시스템(DL E&C) 116
인천시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미세플라스틱을 중심으로 / 최여울 126
[그림 1] 미세플라스틱 환경 및 생물학적 영향 126
[그림 2] 미세플라스틱 환경 및 생물학적 영향 127
[그림 3] 비치코밍 기반 아트 프로젝트 128
[그림 4] 학교 연계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129
[그림 5] 전시 및 강의 중심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130
[그림 6] 플로리다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131
[그림 7] 네바다 미세플라스틱 환경교육 131
[그림 8] 환경뮤지컬 「바다로 간 쓰레기」 133
[그림 9] 장봉도 에코캠프 프로그램 134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출산 인식: 인천시 저출생 대응 정책 제안 / 양종민 141
[그림 1]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141
[그림 2] 근로형태별 임금근로자 비중 142
[그림 3] 국가별 임시직 근로자(Temporary Employment) 비율 142
[그림 4] 인천시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변화 전망(2022~2052) 147
[그림 5] 현 직장에서의 고용형태 150
[그림 6] 결혼에 대한 인식 150
[그림 7] 결혼 결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1
[그림 8] 자녀에 대한 인식 152
[그림 9] 출산 결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3
[그림 10] 임신ㆍ출산 관련 지원제도 인지 정도 154
[그림 11] 임신ㆍ출산 관련 지원제도 이용 용이 정도 155
[그림 12] 육아기 자녀돌봄 관련 지원제도 인지 정도 156
[그림 13] 육아기 자녀돌봄 관련 지원제도 이용 용이 정도 157
[그림 14] 일자리 측면 육아돌봄 지원제도 이용 제약 요인 158
게임산업 이슈와 인천시의 미래 전략 방향 / 민규량 165
[그림 1] 플랫폼별 전 세계소비자 게임 지출 규모 현황(2014~2024년) 165
[그림 2] 국내 게임시장 전체 규모 및 성장률(2013~2022년) 166
[그림 3] PC 및 콘솔 시장의 이윤 증가율(2015~2026년) 168
[그림 4] 세대별 PC 및 콘솔게임 이용 빈도 비율(미국, 2023년 기준) 169
[그림 5] 게임플랫폼 중복 사용 현황 및 결제자 비중 및 플레이 시간 현황(2023년) 169
[그림 6] 연도별 Steam 내 인디게임 출시 수(2006~2023) 170
[그림 7] 지스타 인디 쇼케이스 2.0: 갤럭시 Powered by steam(2024년) 173
[그림 8] 경기글로벌게임센터 관련 사업 174
[그림 9] 부산글로벌게임센터 지원사업 내용 175
[그림 10] Bu:Star 지원사업 성공 사례(써니사이드업, 앱노리) 176
[그림 11] 부산글로벌게임센터 전경과 내부 176
[그림 12] 글로벌허브센터 내 부대 시설 현황 177
[그림 13] 인천시 게임산업 SWOT 요인 분석 179
[그림 14] 인천시 게임산업 정책 우선순위 응답자 현황(시급성) 180
[그림 15] 인천시 게임산업 정책 우선순위 응답자 현황(실현 가능성) 181
[그림 16] 인천시 게임산업 정책 우선순위 응답자 현황(파급효고하) 181
[그림 17] 지역별 글로벌게임센터 -지스타 2024 BTC 공동관(광주ㆍ부산ㆍ전북) 183
일본 입지적정화 제도의 동향과 인천시 시사점 / 이종현 187
[그림 1] 인천시 인구변화 추계(2022~2052년) 187
[그림 2] 인천시 군구별 순이동 인구규모 및 신도시(IFEZ) 인구이동 특성 188
[그림 3] 2018년 인천시 고령인구 비율 상하위 행정동 188
[그림 4] 인천 원도심 지역의 늘어나는 빈집 및 나대지 현황(부평지역) 189
[그림 5] 역세권 중심의 도시설계 190
[그림 6] 일본의 입지적정화 개념 설명 193
[그림 7] 도시계획과 입지적정화계획의 관계 194
[그림 8] 입지적정화계획구역의 도시 골격 195
[그림 9] 특정용도유도지구의 개념 설명 196
[그림 10] 도야마시 컴팩트 도시 실현 전략 197
[그림 11] 꼬치와 경단 형태로 구성된 도야마시 공간구조 197
[그림 12] 꼬치와 경단 형태로 구성된 도야마시 공간구조 198
[그림 13] 지역별 특성 및 교통수단을 고려한 집약적 도시계획 사례 199
[그림 14] 부산시의 15분 도시 전략을 위한 자전거 PM 전용노선 조성 현황 199
[그림 15] 인천 원도심 역세권(작전역)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 선정 200
[그림 16] 서울시 이문3구역 결합개발 개념 201
[그림 17] 인천시의 입지적정화 도입을 위한 공간변화 제안 202
[그림 18] 주요 거점지역의 입체복합공간 유도 계획 개념 및 구상(안) 203
[그림 19] 역세권 유형별 영향권 범위 검토 예시(경인철도) 203
[그림 20] 초연결 역세권 구상 개념 204
[그림 21] 지하철ㆍ버스 환승시설(시애틀), 경인전철 지하화시 철도ㆍ버스 환승시스템 예시 204
[그림 22] 완전도로를 통한 보행이동 및 환성 시간 감소 개념 205
[그림 23] 타 도시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운영사례 206
스마트 횡단보도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효과 및 개선 방안 / 이태헌 208
[그림 1]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사례(부산 수영구(좌), 서울 양천구(우)) 208
[그림 2]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예시 209
[그림 3] 스2023년 운전자 교통 안전 의식 조사 결과(AXA손해보험) 209
[그림 4]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에 대한 시민들의 찬반 의견 210
[그림 5] 연령대별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 212
[그림 6] 스마트폰 어플 사용 증가에 따른 보행사고 변화(킥보드, 배달, 동영상, 음악 앱) 213
[그림 7] 분석대상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위치 219
[그림 8] 교통사고 데이터 수집 예시(교차로 중심점 반경 50m) 219
[그림 9] 사고유형별 사전-사후 사고빈도 변화율 220
[그림 10] 교통안전시설 설치 예시 226
[그림 11] 활주로형 횡단보도(좌), 고원식 횡단보도(우) 설치 예시 227
[그림 12] 대각선 횡단보도 교차로 예시 227
인천시 저층주거 원도심 10분 만족도시 실현을 위한 여건 진단 / 윤혜영 229
[그림 1] 15분 도시 파리 개념도 229
[그림 2] 원도심 10분 만족도시 개념도 23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