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최종결과보고서 요약문 6
Summary 7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8
제1장 최종 목표 8
제2장 국내ㆍ외 기술 현황 14
2.1. 국내의 혈관조영 및 의료방사선 이용현황 14
2.2. 국내의 진단참고수준 16
2.3. 국내ㆍ외 진단방사선장비 안전관리 지침 기술 현황 19
2.4. 국내ㆍ외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현황 파악 20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30
3.1. 혈관조영 및 중재적시술의 진단참고수준 조사 30
3.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진단참고수준 마련 기초 자료 확보 37
3.3. DICOM의 선량표시 조사 38
3.4. ACR Fluoroscopy Dose Index Registry 43
3.5. 유관기관 홍보 협조 및 의료기관 섭외 43
3.6. 혈관조영 및 중재적 시술 시 환자 피폭선량 데이터 분석 46
제4장 최종 연구결과 63
4.1. 건강보험코드와 검사명 목록 매핑 63
4.2. 중재적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기획 및 시험 운영 67
4.3. 심장혈관조영술 및 중재적시술 진단참고수준 설정 69
4.4. 혈관조영장치의 점검항목 도출 71
4.5. 혈관조영장치 면적선량 정확성 시험 73
4.6.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 진단참고수준 가이드라인 75
4.7.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 방사선 안전 가이드라인 76
4.8.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의 국가선량관리 시스템 기획 및 시범운영 77
4.9.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 진단참고수준 및 점검항목 자문회의 77
4.10. 심장혈관분야 검사조건 데이터 분석 78
4.11.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을 통한 영상진단 및 방사선 시술 현황 수집/조사 78
4.12. 중재시술에 사용되는 엑스선투시진단창치의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107
4.13. 중재시술로 인한 장기흡수선량 및 유효선량 평가 108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70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72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74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174
제9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유사도 검사결과 175
제10장 연구윤리 자가점검표 176
제11장 연구 분담표 177
제12장 참고문헌 178
제13장 첨부서류 181
1세부 182
제1장 최종 목표 183
제2장 국내ㆍ외 기술 현황 185
2.1. 국내의 혈관조영 및 의료방사선 이용현황 185
2.2. 국내의 진단참고수준 186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190
3.1. 혈관조영 및 중재적시술의 진단참고수준 조사 190
3.2. DICOM의 선량표시 조사 197
3.3. ACR Fluoroscopy Dose Index Registry 201
제4장 최종 연구결과 202
4.1. 건강보험코드와 검사명목록 매핑 202
4.2. 중재적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기획 및 시험 운영 206
4.3. 심정혈관조영술 및 중재적시술 진단참고수준 설정 208
4.4. 혈관조영장치의 점검항목 도출 210
4.5. 혈관조영장치 면적선량 정확성 시험 212
4.6/4.9.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 진단참고수준 및 점검항목 자문회의 213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14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15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17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217
제9장 연구 분담표 218
제10장 참고문헌 219
2세부 221
제1장 최종 목표 222
제2장 국내ㆍ외 기술 현황 225
2.1. 국내의 혈관조영 및 의료방사선 이용현황 225
2.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진단참고수준 마련 기초 자료 확보 227
2.3. 유관기관 홍보 협조 및 의료기관 섭외 228
제3장 최종 연구결과 229
3.1. 건강보험코드와 검사명목록 매핑 229
3.2. 중재적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기획 및 시험 운영 233
3.3. 혈관조영장치 면적선량 정확성 시험 234
3.4. 혈관조영 및 중재 시술 진단참고수준 가이드라인 236
3.5. 혈관조영 및 중재 시술의 국가선량관리 시스템 기획 및 시범운영 237
제4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37
제5장/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38
제6장/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40
제7장/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240
제8장/제11장 연구 분담표 241
제9장 참고문헌 241
3세부 242
제1장 최종 목표 243
제2장 국내ㆍ외 기술 현황 247
2.1. 국내의 혈관조영 및 의료방사선 이용현황 247
2.2. 국내의 진단참고수준 249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251
3.1. 혈관조영 및 중재적시술의 진단참고수준 조사 251
3.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진단참고수준 마련 기초 자료 확보 256
3.3. 유관기관 홍보 협조 및 의료기관 섭외 259
제4장 최종 연구결과 261
4.1. 건강보험코드와 검사명 목록 매핑 261
4.2. 심장혈관조영술 및 중재적시술 진단참고수준 설정 262
4.3. 혈관조영 및 중재시술 방사선 안전 가이드라인 263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64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65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67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267
제9장 연구 분담표 268
제10장 참고문헌 268
4세부 270
제1장 최종 목표 271
제2장 국내ㆍ외 기술 현황 273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284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301
1)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을 통한 영상진단 및 방사선 시술 현황 수집/조사 301
2) 중재시술에 사용되는 엑스선투시진단창치의 방사선학적 특성평가 329
3)/4) 중재시술로 인한 장기흡수선량 및 유효선량 평가 330
제5장/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391
제6장/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94
제7장/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394
제8장/제9장 연구 분담표 394
제9장/제10장 참고문헌 395
판권기 397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8
그림 1. 2020년~2022년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이용량 및 피폭선량 8
그림 2. 혈관촬영 종류별 이용량 및 피폭선량 비율 15
그림 3. 2020-2022년 국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설치현황 21
그림 4. 2022년도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종별 분포 21
그림 5. 미국 연방 지침 보고서 9호: 진단용 엑스레이 방사선 보초 지침 22
그림 6. 가나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종별 설치 현황 26
그림 7. 가나의 영상 촬영 방식별 인구 백만 명당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수 26
그림 8. European Study on Clinic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35
그림 9. Example of some of the DICOM tags in the header 39
그림 10. X-Ray Radiation Dose SR IOD Templates 40
그림 11. IHE radiation exposure monitoring의 국가선량등록소 41
그림 12. DICOM RDSR samples 42
그림 13. 발주기관 제공 협조공문 44
그림 14. 영상의학혈관조영실 시스템 설치 운영 45
그림 15. 혈관조영촬영 및 중재시술 시 방사선량 관계 48
그림 16. 엑스선 투시 진단 장치(Azurion Clarity IQ) 49
그림 17. 선량계(MagicMaX Universal) 49
그림 18. 엑스선투시장치를 이용한 기준 공기 커마 산출 실험 50
그림 19. SRS-78 프로그램 스펙트럼 산출 실행 화면 51
그림 20. CT 영상 기반의 복부에 대한 고해상도 슬라이스 이미지 52
그림 21. 시뮬레이션 기반 한국형 표준 복셀 팬텀의 주요 장기 및 조직 (a) HDRK-Man(남성) (b) HDRK-Woman(여성) 53
그림 22. 심장혈관조영시술에 대한 선량보고서 예시 59
그림 23.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시험운영을 위한 임차서버 및 구매 도메인 67
그림 24. 서버 및 도메인에 보안인증서 설치 및 세팅진행 67
그림 25. 중재적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웹사이트 (www.angiokndir.kr) 68
그림 26. 코드 리스트 화면 68
그림 27. 3분기 보고서 69
그림 28. 면적선량 정확도 시험 73
그림 29. 진단참고수준 포스터 75
그림 30. 혈관조영방사선 안전 포스터 76
그림 31. 혈관조영 중재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운영 모식도 77
그림 32. 전문가자문회의 78
그림 33.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80
그림 34.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80
그림 35.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2081_혈액투석용 동정맥루시술) 82
그림 36.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2081_혈액투석용 동정맥루시술) 82
그림 37.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51_하지-대퇴동맥) 84
그림 38.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54_하지-대퇴동맥) 84
그림 39.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04_두경부동맥조영-내경동맥) 86
그림 40.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01 - 5_두경부동맥조영, HA701 - 705_두경부 정맥조영) 86
그림 41.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1661_뇌동맥류 코일색전술) 88
그림 42.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1661_뇌동맥류 코일색전술) 88
그림 43.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70_경피경간 담즙배액술) 90
그림 44.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70_경피경간 담즙배액술) 90
그림 45.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82_담도 스텐트 설치술) 92
그림 46.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82_담도 스텐트 설치술) 92
그림 47.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R3321_경피적신루설치술 ) 94
그림 48.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R3321_경피적신루설치술) 94
그림 49.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2020_중심정맥영양법) 96
그림 50.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2020_중심정맥영양법) 96
그림 51.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1655_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98
그림 52.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1655_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98
그림 53.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100
그림 54.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100
그림 55.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70_관상동맥조영) 102
그림 56.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70_관상동맥조영)) 102
그림 57.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561_경피적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 단일혈관) 104
그림 58.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561_경피적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 단일혈관) 104
그림 59.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551_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 - 단일혈관) 106
그림 60.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551_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 - 단일혈관) 106
그림 61. 초점-피부 간 거리에 따른 기준 공기 커마 변화 107
그림 62.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11
그림 63.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12
그림 64.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13
그림 65.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114
그림 66.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15
그림 67.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10kVp) 116
그림 68.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117
그림 69.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18
그림 70.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19
그림 71.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120
그림 72.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21
그림 73.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22
그림 74.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23
그림 75.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24
그림 76.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25
그림 77.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126
그림 78.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27
그림 79.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28
그림 80.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29
그림 81.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130
그림 82.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31
그림 83.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32
그림 84.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80 kVp) 133
그림 85.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34
그림 86.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35
그림 87.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36
그림 88.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37
그림 89.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38
그림 90.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39
그림 91.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140
그림 92.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41
그림 93.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42
그림 94.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43
그림 95.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44
그림 96.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45
그림 97.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46
그림 98.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147
그림 99.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48
그림 100. 관상동맥 조영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49
그림 101. 관상동맥 조영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50
그림 102.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51
그림 103.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52
그림 104.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153
그림 105.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80kVp) 154
그림 106.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100kVp) 155
그림 107.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120kVp) 156
그림 108.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157
그림 109.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58
그림 110.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59
그림 111.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160
그림 112. 관상동맥 조영술 및 관상동맥 경련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61
그림 113. 관상동맥 조영술 및 관상동맥 경련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62
그림 114.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63
그림 115.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64
그림 116.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165
그림 117. 관상 동맥의 만성 완전 폐쇄 병변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166
그림 118. 관상 동맥의 만성 완전 폐쇄 병변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167
1세부 183
그림 1. 2020년~2022년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이용량 및 피폭선량 183
그림 2. European Study on Clinic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195
그림 3. Example of some of the DICOM tags in the header 197
그림 4. X-Ray Radiation Dose SR IOD Templates 199
그림 5. IHE radiation exposure monitoring의 국가선량등록소 200
그림 6. DICOM RDSR samples 201
그림 7. The ACR Fluoroscopy Dose Index Registry 202
그림 8.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시험운영을 위한 임차서버 및 구매 도메인 206
그림 9. 서버 및 도메인에 보안인증서 설치 및 세팅진행 207
그림 10. 중재적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웹사이트 (www.angiokndir.kr) 207
그림 11. 코드 리스트 화면 208
그림 12. 3분기 보고서 209
그림 13. 면적선량 정확도 시험 213
그림 14. 전문가자문회의 214
2세부 226
그림 1. 혈관촬영 종류별 이용량 및 피폭선량 비율 226
그림 2. 발주기관 제공 협조공문 228
그림 3. DICOM Patient Radiation Dose SR IOD Templates 구조 233
그림 4. 중재적 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웹사이트 (www.angiokndir.kr) 234
그림 5. 면적선량 정확도 시험 235
그림 6. 진단참고수준 포스터 236
그림 7. 혈관조영 중재시술 국가선량관리시스템 운영 모식도 237
3세부 243
그림 1. 2020년~2022년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이용량 및 피폭선량 243
그림 2. 혈관촬영 종류별 이용량 및 피폭선량 비율 248
그림 3. DICOM RDSR samples 258
그림 4. 발주기관 제공 협조공문 259
그림 5. 3분기 보고서 262
그림 6. 혈관조영방사선 안전 포스터 264
4세부 275
그림 1. 2020-2022년 국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설치현황 275
그림 2. 2022년도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종별 분포 275
그림 3. 미국 연방 지침 보고서 9호: 진단용 엑스레이 방사선 보초 지침 276
그림 4. 가나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종별 설치 현황 280
그림 5. 가나의 영상 촬영 방식별 인구 백만 명당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수 281
그림 6. 혈관조영촬영 및 중재시술 시 방사선량 관계 286
그림 7. 엑스선 투시 진단 장치(Azurion Clarity IQ) 287
그림 8. 선량계(MagicMaX Universal) 287
그림 9. 엑스선투시장치를 이용한 입사 피부 선량 산출 실험 287
그림 10. SRS-78 프로그램 스펙트럼 산출 실행 화면 289
그림 11. CT 영상 기반의 복부에 대한 고해상도 슬라이스 이미지 290
그림 12. 시뮬레이션 기반 한국형 표준 복셀 팬텀의 주요 장기 및 조직 (a) HDRK-Man(남성) (b) HDRK-Woman(여성) 291
그림 13. 심장혈관조영시술에 대한 선량보고서 예시 297
그림 14.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302
그림 15.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302
그림 16.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2081_혈액투석용 동정맥루시술) 304
그림 17.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2081_혈액투석용 동정맥루시술) 304
그림 18.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51_하지-대퇴동맥) 306
그림 19.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54_하지-대퇴동맥) 306
그림 20.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04_두경부동맥조영-내경동맥) 308
그림 21.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01 - 5_두경부동맥조영, HA701 - 705_두경부 정맥조영) 308
그림 22.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1661_뇌동맥류 코일색전술) 310
그림 23.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1661_뇌동맥류 코일색전술) 310
그림 24.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70_경피경간 담즙배액술) 312
그림 25.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70_경피경간 담즙배액술) 312
그림 26.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82_담도 스텐트 설치술) 314
그림 27.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82_담도 스텐트 설치술) 314
그림 28.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R3321_경피적신루설치술) 316
그림 29.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R3321_경피적신루설치술) 316
그림 30.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2020_중심정맥영양법) 318
그림 31.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2020_중심정맥영양법) 318
그림 32.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O1655_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320
그림 33.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O1655_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320
그림 34.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322
그림 35.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644_혈관색전술_기타혈관) 322
그림 36.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HA670_관상동맥조영) 324
그림 37.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HA670_관상동맥조영)) 324
그림 38.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561_경피적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 단일혈관) 326
그림 39.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561_경피적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 단일혈관) 326
그림 40. 성별 연령구간별 총사용량(M6551_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 - 단일혈관) 328
그림 41. 요양기관종별 총사용량(M6551_경피적관상동맥확장술 - 단일혈관) 328
그림 42. 초점-피부 간 거리에 따른 기준 공기 커마 변화 329
그림 43.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33
그림 44.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34
그림 45.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35
그림 46.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336
그림 47.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37
그림 48. 간암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10kVp) 338
그림 49.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339
그림 50.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40
그림 51. 혈액 투석용 동정맥루(AVF)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41
그림 52.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342
그림 53.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43
그림 54. 하지혈관질환의 중재적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44
그림 55.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45
그림 56.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46
그림 57.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47
그림 58. 뇌혈관 조영술(TFCA)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348
그림 59.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49
그림 60.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50
그림 61.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51
그림 62.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90kVp) 352
그림 63.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53
그림 64.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54
그림 65. 경피경간 담즙 배액술(PTBD)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55
그림 66.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56
그림 67.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57
그림 68. 담도 스텐트 설치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58
그림 69.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59
그림 70.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60
그림 71. 경피적 신루 설치술(PCN)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61
그림 72.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50kVp) 362
그림 73.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63
그림 74.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64
그림 75. Hickman Catheter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65
그림 76.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66
그림 77.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67
그림 78.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68
그림 79.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70kVp) 369
그림 80. 기관지 동맥 색전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70
그림 81. 관상동맥 조영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71
그림 82. 관상동맥 조영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72
그림 83.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73
그림 84.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74
그림 85.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375
그림 86.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80kVp) 376
그림 87.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100kVp) 377
그림 88.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확장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 (120kVp) 378
그림 89.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60kVp) 379
그림 90.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80
그림 91.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81
그림 92.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382
그림 93. 관상동맥 조영술 및 관상동맥 경련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83
그림 94. 관상동맥 조영술 및 관상동맥 경련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84
그림 95.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85
그림 96.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86
그림 97. 급성심근경색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20kVp) 387
그림 98. 관상 동맥의 만성 완전 폐쇄 병변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80kVp) 388
그림 99. 관상 동맥의 만성 완전 폐쇄 병변 시술 시 장기별 흡수선량(100kVp) 38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