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요약 7

제1장 서론 10

제2장 남성 육아휴직 장려제도 개관 12

제1절 육아휴직 부부 할당제 12

1. 한국 14

2. 네덜란드 14

3. 노르웨이 14

4. 덴마크 15

5. 독일 15

6. 벨기에 15

7. 스웨덴 16

8. 오스트리아 16

9. 이탈리아 16

10. 포르투갈 17

11. 프랑스 17

12. 핀란드 17

제2절 육아휴직기간 연장 18

1. 한국 18

2. 독일 19

3. 이탈리아 19

4. 일본 19

5. 캐나다 20

6. 캐나다 퀘벡주 20

7. 포르투갈 21

제3절 육아휴직급여 상향 21

1. 한국 21

2. 오스트리아 22

3. 포르투갈 22

제4절 사용자 지원 24

1. 한국 24

2. 일본 24

제5절 정리 및 소결 25

제3장 '아빠의 달'이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분석 28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8

제2절 분석 모형 30

제3절 분석 자료 33

제4절 분석 결과 39

1. '아빠의 달' 효과 추정 결과 40

2. 플라시보 검정 결과 47

3. 이질성 분석결과 47

제5절 정리 및 제언 54

제4장 육아휴직 사용 결정과 결과 56

제1절 초점집단면접 개요 56

1. 조사 목적 56

2. 조사 설계 56

3. 조사 내용 58

제2절 육아휴직 사용 결정 60

1. 육아휴직 사용 결정요인 60

2. 육아휴직 사용 결정 당시 직장과 가정 상황 64

3. 결과 정리 70

제3절 육아휴직 사용 결과 71

1. 복직 후 직장에서의 상황 71

2. 복직 후 가정에서의 상황 75

3. 결과 정리 77

제4절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 78

제5절 정리 및 소결 81

제5장 결론 82

참고문헌 85

[부록] 육아휴직 사용 경험 조사 FGI 사전 질문지 87

판권기 88

〈표 2-1〉 육아휴직 부부 할당제가 명시된 25개 국가 13

〈표 2-2〉 조건부 육아휴직기간 연장 국가 19

〈표 2-3〉 주요 국가의 육아휴직급여 22

〈표 2-4〉 주요 국가의 남성 육아휴직 장려제도 정리 26

〈표 3-1〉 부인의 개인 및 일자리 특성 35

〈표 3-2〉 남편의 개인 및 일자리 특성 36

〈표 3-3〉 부인과 남편의 근로조건 37

〈표 3-4〉 막내의 출생연도와 자녀 수 39

〈표 3-5〉 추정모형 검토 41

〈표 3-6〉 '아빠의 달'이 남편의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44

〈표 3-7〉 '아빠의 달'이 부인의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45

〈표 3-8〉 '아빠의 달'이 부부의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46

〈표 3-9〉 플라시보 검정 48

〈표 3-10〉 남편의 소득 수준에 따른 '아빠의 달' 효과 차이 51

〈표 3-11〉 부인과 남편의 학력에 따른 '아빠의 달' 효과 차이 52

〈표 3-12〉 가구소득과 자녀 수에 따른 '아빠의 달' 효과 차이 53

〈표 3-13〉 부인과 남편의 직종에 따른 '아빠의 달' 효과 차이 53

〈표 4-1〉 FGI 참가자 특성 57

〈표 4-2〉 조사 내용 : 육아휴직 사용 결정 당시 직장과 가정 상황 58

〈표 4-3〉 조사 내용 : 육아휴직 종료 후 직장과 가정 상황 59

〈표 4-4〉 조사 내용 : 육아휴직제도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 59

[그림 2-1] 1인당 GDP와 육아휴직급여 상한 비교 23

[그림 2-2] 조건부 휴직기간 연장 국가의 출산율 추이 27

[그림 2-3] 조건부 휴직급여 상향 국가의 출산율 추이 27

[그림 3-1] 부부의 육아휴직 사용 결정 규칙 32

[그림 3-2] 월평균 가구(근로)소득 38

[그림 3-3] '아빠의 달'에 의한 육아휴직급여와 소득대체율 상향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