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요약 10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1. 연구 내용 17
2. 연구 방법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교육소외 개념 23
1. 교육소외 개념의 유래와 변화 23
2. 사회적 배제로서의 교육소외 27
제2절 기초학력 미달에 대한 관점 33
제3절 소결 36
제3장 국내외 기초학력 관련 정책 40
제1절 국내 정책 40
1. 국내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흐름 개관 40
2.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3단계 안전망 42
3.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46
4.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교육복지안전망 51
5. 학생맞춤통합지원 54
6. 교육발전특구 56
제2절 국외 정책 61
1. 아일랜드 61
2. 영국 68
3. 프랑스 75
4. 네덜란드 83
5. 캐나다 온타리오 주 91
제3절 소결 99
제4장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104
제1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104
1. 수업 내용의 대부분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된 시기와 원인 105
2. 학습지원대상학생을 대상으로 한 활동 경험 및 도움 정도 110
3. 효율적인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방법 116
4. 학교 및 지역에 대한 인식 118
제2절 면담조사 결과 분석 120
1.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 지원의 어려움 120
2.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 지원 요구 128
제3절 소결 148
제5장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 지원 방안 151
제1절 정책 방안 도출 과정 151
1.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정책 초안 도출 151
2. 전문가협의회를 통한 정책 타당성 검토 170
제2절 정책 추진 체계 185
제3절 세부 운영 계획 186
1. 지역 수준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한 권리 보장 187
2. 학교 안팎 다차원적 지원을 통한 권리 보장 196
3.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구축을 통한 권리 보장 204
제6장 결론 및 제언 210
제1절 결론 210
제2절 제언 213
1. 관점 전환을 기반으로 한 변혁적 접근 213
2.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 214
3. 교사를 중심에 둔 협력적 지원 215
4. 정책적 의사결정을 위한 연구 수행 216
참고문헌 218
[부록 1] 학생용 설문지 230
[부록 2] 학부모용 설문지 236
[부록 3] 교사용 설문지 240
[부록 4] 교육소외지역 학생 기초학력 보장 지원 방안 1차 델파이 조사 245
[부록 5] 교육소외지역 학생 기초학력 보장 지원 방안 2차 델파이 조사 249
판권기 254
[그림 2-1] Haschera & Hadjar(2018)의 교육소외 개념 모델 25
[그림 2-2] 우리가 모두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 가지는 우리의 다름 31
[그림 3-1] 학습종합클리닉 업무 흐름 45
[그림 3-2] 경기도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지역별 분포 현황 47
[그림 3-3] 경기도 다문화학생(이주배경학생) 성장단계별 원스톱 통합 지원 체계 49
[그림 3-4] 경기도교육청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55
[그림 3-5] 교육발전특구 선순환 체계(안) 57
[그림 3-6] 프랑스 우선교육정책 학교 간 네트워크 예시 81
[그림 3-7] 학생 추적 시스템(LVS) 화면 예시 85
[그림 3-8] 예방과 처방을 위한 단계적 접근법 93
[그림 4-1] 자신이나 자녀의 기초학력 부진 원인 108
[그림 4-2] 친구나 다른 자녀의 기초학력 부진 원인 109
[그림 4-3]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을 위한 경험(교원) 112
[그림 4-4]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을 위한 활동의 도움 정도(교원) 113
[그림 4-5] 경기도교육청 및 학교의 기초학력보장 방안에 대한 인식(교원) 114
[그림 4-6]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을 위한 경험(학생) 115
[그림 4-7]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을 위한 활동의 도움 정도(학생) 116
[그림 4-8]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방법의 효용에 대한 인식 117
[그림 4-9] 학교에 대한 인식 119
[그림 4-10] 지역에 대한 인식 120
[그림 5-1] 다층지원체계(MTSS) 178
[그림 5-2]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 지원 정책 추진 체계 185
[그림 5-3] 교육소외지역 기초학력 지원 정책 핵심 가치 18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