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Ⅰ. 교육과 교육철학 11
1. 교육이란 무엇인가 11
2.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26

Ⅱ. 위기의 시대, 어울림의 교육철학 59
1. 들어가며 59
2. 공생을 막는 요인과 공생의 기반으로서의 인정 62
3. 상호이해와 존중을 통한 공생 문화 66
4. 후기 현대사회의 위기와 ‘울림(resonance)’의 의미 69
5. 울림에서 어울림으로 80
6. 나오며 93

Ⅲ. 도덕적 자아정체성의 함양 103
1. 서론 103
2. 현대 사회의 가치관 비판 106
3. 의미의 지평 114
4. 삶의 도덕적 방향 성찰과 서사적 인식 122
5. 논의 및 결론: 도덕적 자아정체성 교육의 방향 131

Ⅳ. 유기체적 교육의 방향 143
1. 들어가며 143
2. 근대 철학 비판과 유기체 철학의 기본 특징 145
3. 유기체 철학의 교육목적: 삶의 적용과 활용 153
4. 유기체 철학의 교육내용: 유기적 연속성과 통일성 157
5. 유기체 철학의 교육방법: 리듬의 단계와 파악 164
6. 결론 및 종합논의: 유기체적 교육의 방향 176

Ⅴ.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교육철학 183
1. 들어가며 183
2.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막는 문제들 186
3.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교육철학 189
4.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 200
5.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함양하는 교수-학습의 방향 206
6.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적 관계형성 211
7. 나오며 214

Ⅵ. 인정 이론과 인성교육 223
1. 들어가며 223
2. 인정 이론의 의의 226
3. 교육적 의의 230
4. 인정의 방식과 실제적 자아 관계의 발달 234
5. 인정 이론에 근거한 인성교육의 방향 243
6. 나오며 250

Ⅶ.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자율성과 공공성 259
1. 들어가며 259
2. 자율성과 민주시민교육 264
3. 공공성과 민주시민교육 282
4. 종합논의: 자율성과 공공성의 조화를 통한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306

Ⅷ. 삶과 죽음, 존재와 관계의 실존적 자각 321
1. 들어가며 321
2. 키에르케고어의 ‘역설’과 ‘절망’의 죽음관 326
3. 하이데거의 ‘본래성’과 ‘불안’의 죽음관 340
4. 키에르케고어와 하이데거의 죽음관 종합 352
5. 결론: 죽음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교육의 방향 362

미주 374

이용현황보기

어울림의 교육철학 =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ouli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9887 370.1 -25-7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79888 370.1 -25-7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이러한 취지로 총 8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교육과 교육철학’으로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과 의미를 철학적ㆍ역사적 관점에서 다양하고 심도 있게 고찰한다. 제2장은 ‘위기의 시대, 어울림의 교육철학’으로 오늘날 위기 상황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로자(Rosa)와 프롬(Fromm)의 이론에 근거하여 어울림의 교육철학의 방향을 제시한다. 제3장은 ‘도덕적 자아정체성의 함양’으로 테일러(Taylor)의 현대 사회의 병리 현상에 대한 비판적 지적 및 ‘의미의 지평’ 개념에 근거하여 공동체의 도덕적 가치 및 서사적 인식에 따른 자아정체성의 함양 방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제4장은 ‘유기체적 교육의 방향’으로 화이트헤드(Whitehead)의 과정철학 또는 유기체철학 이론에 근거하여, 무기력한 지식을 극복하는 생동력 있는 배움, 연합하고 협력하며 창조해나가는 ‘합생’의 지혜를 키우는 배움을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