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2

chapter 01 총 론 9
1. 개요 9
2. One-Health 12
3. 세포 손상 13
4. 급성 세포 팽창 18
5. 세포 죽음 19
6. 종창 괴사와 세포자멸사 21
7. 종창 괴사의 형태 22
8. 만성적 손상에 대한 세포의 변화 25

chapter 02 심혈관계 질환 29
1. 개요 29
2. 심혈관계의 해부생리학 30
3. 후천성 판막질환 34
4. 후천성 심근질환 37
5. 선천성 심장질환 41
6. 심장사상충증 47
7. 부정맥 50
8. 설치류 심혈관계 질병 51
9. 조류 심혈관계 질병 52
10. 파충류 심혈관계 질병 53
11. 돼지 심혈관계 질병 53

chapter 03 호흡기 질환 55
1. 개요 55
2.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 57
3. 호흡기 질환의 임상적 징후 및 원인 60
4. 일반적인 호흡기 질병의 진단 및 평가방법 61
5. 상부 호흡기 질병 62
6. 하부 호흡기 질병 68
7. 조류 호흡기 질병 79
8. 파충류 호흡기 질병 81

chapter 04 피부 질환 83
1. 개요 83
2. 피부의 해부학적 구조 84
3. 피부질환 86
4. 조류의 피부 질병 104
5. 파충류의 피부 질병 111

chapter 05 소화기계 질환 115
1. 개요 115
2. 소화기계의 해부학적 개요 116
3. 소화기계 질병 121
4. 개의 질병 129
5. 고양이의 질병 130
6. 설치류의 질병 132
7. 조류의 질병 133
8. 파충류의 질병 134

chapter 06 근골격계 질환 137
1. 개요 137
2. 뼈, 관절, 근육의 구조 138
3. 동물의 공통질병 143
4. 토끼, 페럿, 설치류 164
5. 조류 167
6. 파충류(뱀, 이구아나, 거북이) 169

chapter 07 내분비계 및 외분비계 질환 175
1. 개요 175
2. 내분비계 및 외분비계의 해부학적 개요 176
3. 질병 183

chapter 08 비뇨생식기계 질환 191
1. 개요 191
2. 비뇨기계의 해부학적 개요 192
3. 비뇨생식기계 질병 200
4. 개의 질병 210
5. 고양이의 질병 215
7. 조류의 질병 217
8. 파충류의 질병 219

chapter 09 신경계 질환 221
1. 개요 221
2. 신경계의 해부생리학 222
3. 발작 225
4. 뇌질환 229
5. 척수질환 235
6. 말초신경 질환 240
7. 설치류 신경계 질병 243
8. 조류 신경계 질병 244
9. 파충류 신경계 질병 246
10. 돼지 신경계 질병 247

chapter 10 특수감각계(눈, 귀, 코) 질환 249
1. 개요 249
2. 눈 250
3. 귀 285
4. 코 291

chapter 11 간 질환 297
1. 개요 297
2. 간의 일반적인 해부학적 개요 298
3. 간 질환 301
4. 개의 간 질환 306
5. 고양이 간 질환 308
6. 설치류의 간 질환 309
7. 조류의 간 질환 309
8. 파충류의 간 질환 310

chapter 12 혈액 및 조혈 질환 311
1. 개요 311
2. 혈액 및 조혈조직의 개요 312
3. 혈액 질환 317
4. 개의 림프종 322
5. 고양이 림프종 323
6. 설치류 림프종 324
7. 조류 혈액 질환 324
8. 말 혈액 질환 325

참고문헌 326

이용현황보기

동물질병학 = Diseases of animal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0459 636.089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0460 636.089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머리말

-오늘날 동물 질병의 예방과 치료는 개별 동물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넘어 인류 보건과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수공통감염병의 증가와 축산업의 변화는 동물질병학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최신 지식의 습득이 필수적입니다.

-본 교재 『동물질병학』은 동물 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동물 연구자와 관련 산업 종사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기초 및 실용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집필되었습니다. 다양한 동물에서 발생하는 주요 질병을 다루기 위해 계(系,system)또는 장기별로 목차를 구성하였으며,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자 각 장의 서두에 해당 장기의 해부학적·생리학적 개요를 포함하였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동물질병학이나 동물보건을 체계적으로 다룬 교재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본서는 실무에서 자주 접하는 질병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다루었으며, 집필 과정에서 여러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들을 선별해 직접 서술하였습니다. 해외 교재의 번역서가 아니기에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질병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교양서 이상의 전문성을 담아 보다 심층적인 내용을전달하고자 하였습니다.

-언제나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것이 하나 있다면, 동물질병학은 ‘틀린 그림 찾기’가 아닌 ‘다른 그림 찾기’와 같다는 것입니다. 무엇이 다른지 알기 위해서는 옳은 그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다른 부분을 지적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동물질병학에서도 정상적인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해당 질병이 정상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질병이 발생하는 원인을 이해하고 질병의 이름을 앎으로써 해당 질병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독자들이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학습에 임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