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 제1장 /
텍스트 마이닝과 담론분석으로 보는 한국인의 재난 인식과 기억 / 정병호^^
복합 재난 '동일본대지진'을 중심으로
1. 서론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4. 결론

^^/ 제2장 /
빅 데이터를 통해 본 일본 콘텐츠 수용 양상의 변화 / 하성호^^
〈가면라이더〉 시리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대상
3. 블로그 게시물 분석 결과
4. 카페 게시물 분석 결과
5. 결론

^^/ 제3장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 김지우ㆍ김강은ㆍ박윤미ㆍ신민경ㆍ권민혁ㆍ이상혁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을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연구방법 및 내용
3. 〈너의 이름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4. 〈날씨의 아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5. 〈스즈메의 문단속〉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6. 문화 콘텐츠에 대한 능동적 혹은 파생적 소비
7. 마치며

^^/ 제4장 /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에 대한 청중반응과 스토리텔링 전략 / 김효순^^
'이야기하는' 문학에서 '보여주는' 애니메이션으로의 어댑테이션
1. 들어가며
2.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에 대한 한일 청중의 반응
3. 미야자키 하야오가 「바람이 분다」를 통해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
4. 「바람이 분다」의 스토리텔링 전략
5. 맺음말

^^/ 제5장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본 한일 콘텐츠 투어리즘 양상 / 엄인경^^
1. 한일 투어리즘의 현황
2. 콘텐츠 투어리즘의 현재
3. 한국인 관광객의 일본 애니메이션 성지순례
4. 일본인 관광객의 한국 드라마 로케이션 방문
5. 향후의 과제

^^/ 제6장 /
텍스트 마이닝으로 보는 한국인의 〈슬램덩크〉 콘텐츠 투어리즘 소비 양상 / 이연우ㆍ유하영ㆍ허은지ㆍ류정훈
빈도수, N-gram, CONCOR 분석을 중심으로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 제7장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일본 웹소설 플랫폼 비교연구 / 남유민
'소설가가 되자'와 '가쿠요무'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2. 연구방법 및 대상
3. 웹소설 플랫폼 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
4. 나가며

^^/ 제8장 /
텍스트 마이닝으로 보는 일본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 분석 / 권민혁^^
코로나 이전 시기 권역별 양상 : KH Coder와 LDA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1. 서론
2. 데이터 전처리
3. KH Coder: 공기어 네트워크 시각화
4. LDA 토픽 모델링
5. 나가며

집필진 소개

이용현황보기

디지털 인문학과 일본문화 : 디지털, 데이터, 문화콘텐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0181 001.3 -25-2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0182 001.3 -25-2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