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장 학교자율시간이란?
1-1.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학교자율시간 설계
1-2. 학교자율시간 개설하기
(1) 교과와 과목, 활동의 구분
(2) 학교자율시간 이해를 위한 기본 용어 탐구하기
1-3. 학교자율시간 시수 산출 원리 및 방법
(1) 학교자율시간 시수 산출 원리
(2) 학교자율시간 시수 산출 방법
1-4. 학교자율시간 운영의 실제
(1) 지속형(고정형)
(2) 집중형
(3) 혼합형
1-5. 노벨 엔지니어링으로 다가가는 학교자율시간
2장 우리의 바다, 우리의 미래
[활동의 개관]
[활동의 설계]
1. 활동명: 우리의 바다, 우리의 미래
2. 활동 개설의 필요성 및 목표
[편제]
[교수·학습 방향 및 내용 체계]
[기존 교과와의 연계 가능한 내용 요소 추출]
[성취기준]
[차시 흐름]
[차시 설명]
〈책 읽기〉 바닷속 이야기, 우리가 구해야 할 것들
1~2차시: ‘바다를 살리는 비치코밍 이야기’ 읽기 - 활동지 ①
3차시: #북스타그램
〈문제 인식〉 바다가 들려주는 슬픈 이야기
4~5차시: 어두운 면 그리기 - 활동지 ②
6~7차시: 바다에게 들려주는 음악 일기 - 활동지 ③
〈해결책 설계〉 쓰레기에서 보물로, 해양 오염을 막아라!
8~9차시: 나는야, 플라스틱 조사단! - 활동지 ④ [평가]
10~11차시: 새 활용 무드등 만들기 - 활동지 ⑤
12~16차시: 새 활용 악기로 바다 구하기 - 활동지 ⑥
〈창작물 만들기〉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발명가
17~18차시: 바다를 살리는 천연 수세미 - 활동지 ⑦
19~20차시: 친환경 놀이 장난감 만들기
21~23차시: 우유로 친환경 플라스틱 만들기
24~25차시: 친환경 플라스틱 전시회 개최하기
〈이야기 바꾸어 쓰기〉 우리가 지켜 낸 미래의 바다
26~28차시: 미래의 바다 이야기 만화 그리기 - 활동지 ⑧ [평가]
29차시: 발표 및 공유하기
3장 디지털 세상 속으로
[활동의 개관]
[활동의 설계]
1. 활동명: 디지털 세상 속으로
2. 활동 개설의 필요성 및 목표
[편제]
[교수·학습 방향 및 내용 체계]
[기존 교과와의 연계 가능한 내용 요소 추출]
[성취기준]
[차시 흐름]
[차시 설명]
〈책 읽기〉 도깨비 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1~2차시: ‘도깨비 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읽기 - 활동지 ①
3차시: 도깨비 폰과 스마트폰 - 활동지 ②
〈문제 인식〉 디지털의 특성 알기
4~5차시: 디지털 정보의 종류 알아보기
6~7차시: 디지털 소통과 아날로그 소통 - 활동지 ③
8~9차시: 디지털 사회의 영향 탐색하기 - 활동지 ④
〈해결책 설계〉 디지털 세상 배우기
10~11차시: 인터넷 속 정보와 매체(디지털 기기 활용) - 활동지 ⑤
12~13차시: 디지털 협업 능력 키우기 (디지털 기기 활용)
14~15차시: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 제안서 쓰기 - 활동지 ⑥ [평가]
16차시: SNS에서의 예절 배우기 - 활동지 ⑦
〈창작물 만들기〉 디지털 세상 헤엄치기
17~18차시: 디지털 창작물 만들 (디지털 기기 활용)
19~21차시: 디지털 토론하기 & 디지털 사회 참여하기 - 활동지 ⑧
22~23차시: 디지털 공간 속 나 창조하기
24~27차시: 도깨비 세상 VR 만들기 - 활동지 ⑨ [평가]
〈이야기 바꾸어 쓰기〉 디지털 세상 주인공 되기 - 활동지 ⑩
28~29차시: 나만의 이야기 쓰기
4장 열두 살, 나의 진로
[활동의 개관]
[활동의 설계]
1. 활동명: 열두 살, 나의 진로
2. 활동 개설의 필요성 및 목표
[편제]
[교수·학습 방향 및 내용 체계]
[기존 교과와의 연계 가능한 내용 요소 추출]
[성취기준]
[차시 흐름]
[차시 설명]
〈책 읽기〉 열두 살, 너의 장래 희망은?
1~2차시: ‘열두 살 장래 희망’ 읽기
3차시: 미래 두 줄 말하기 - 활동지 ①
〈문제 인식〉 직업의 중요성 알기
4~5차시: 직업이 없는 세상 상상해 보기 - 활동지 ②
6~7차시: 직업 인터뷰하기 - 활동지 ③
〈해결책 설계〉 나는 어떤 사람일까?
8~9차시: 진로 흥미 탐색 검사 및 보고서 작성하기 - 활동지 ④ [평가]
10~11차시: MBTI와 직업 탐구하기
12~13차시: 다중 지능 검사로 나의 강점 찾기
14~15차시: 아무튼 직업 탐색하기 - 활동지 ⑤
16차시: 미래 직업 일기 쓰기 - 활동지 ⑥
〈창작물 만들기〉 나의 미래 표현하기
17~18차시: 비전 명함 제작하기
19~20차시: 직업 로고 디자인하기
21~22차시: 직업 굿즈 만들기
23~25차시: 장점 브랜딩 하기, 장점 브랜딩 포스터 만들기
26~28차시: 직업 브이로그 만들기 - 활동지 ⑦
〈이야기 바꾸어 쓰기〉 나의 미래, 우리의 미래
29~30차시: 직업 박람회 개최하기
31~32차시: 나의 진로 이야기 표현하기, 발표 및 공유하기 - 활동지 ⑧ [평가]
5장 SW·AI와 함께 떠나는 디지털 여행
[활동의 개관]
[활동의 설계]
1. 활동명: SW·AI와 함께 떠나는 디지털 여행
2. 활동 개설의 필요성 및 목표
[편제]
[교수·학습 방향 및 내용 체계]
[기존 교과와의 연계 가능한 내용 요소 추출]
[성취기준]
[차시 흐름]
[차시 설명]
〈책 읽기〉 로봇 친구 앤디
1~2차시: ‘로봇 친구 앤디’ 읽기 - 활동지 ①
3~4차시: 로봇과 함께하는 삶 상상하기 - 활동지 ②
〈문제 인식〉 인공지능 윤리
5차시: 모럴 머신을 활용한 인공지능 윤리 토론하기 - 활동지 ③
6-7차시: 올바르게 인공지능 활용하기
〈해결책 설계〉 프로그래밍과 인공지능 모델
8차시: 퀵드로우, 오토드로우로 인공지능 즐기기
9~10차시: AI for oceans를 활용한 데이터의 이해와 시각화 - 활동지 ④
11~12차시: 티처블 머신으로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평가]
13~15차시: 순차, 선택, 반복 구조 익히기
16~17차시: 변수 활용 간단한 프로그램 만들기
18~19차시: 엔트리를 활용한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20~21차시: 로봇 코딩하기
22~23차시: 인공지능 로봇 코딩하기
〈창작물 만들기〉 로봇과 함께하는 인간의 삶
24차시: 삶에 필요한 인공지능 로봇 상상하기 - 활동지 ⑤
25차시: 나만의 인공지능 로봇 코딩 설계하기 - 활동지 ⑥
26~27차시: 나만의 인공지능 로봇 코딩하기 [평가]
28차시: 디버깅 및 발표 준비 - 활동지 ⑦
〈이야기 바꾸어 쓰기〉 우리가 꿈꾸는 미래 모습
29~30차시: 인공지능 로봇 발표회 - 활동지 ⑧
31~32차시: 내가 만든 인공지능 로봇으로 이야기 표현하기 - 활동지 ⑨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82283 | 371.33463 -25-6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82284 | 371.33463 -25-6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