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제1장
서론: 분류론적 문법과 가설연역적 문법
1.1. 언어학의 하위 영역과 문법론
1.2. 소쉬르 언어학의 기초 개념들: 기호, 기표/기의, 통합관계/계열관계, 공시태/통시태, 랑그/파롤, 구조
1.3. 분류론적 문법과 가설연역적 문법
1.4. 논의의 순서와 이 책의 대안으로서의 문법의 조직

제2장
분류론적 문법
2.1. 문법의 기초 개념들: 문법단위, 문법범주, 문법기능
2.1.1. 문법단위
2.1.2. 문법범주
2.1.3. 문법기능
2.1.4. 분류론적 문법에서의 문법적 분석
2.1.5. 한국어학의 기초 논증①: 조음소 ‘으’에 관한 문제
2.2. 한국어 전통문법과 구조문법
2.2.1. 한국어 전통문법, 구조문법의 3대 문법 체계
2.2.1.1. 분석적 체계
2.2.1.2. 준종합적 체계
2.2.1.3. 종합적 체계
2.2.1.4. 한국어학의 기초 논증②: 계사 ‘이’의 문제
2.2.2. 최현배(1937)의 준종합적 체계
2.2.3. 기타 준종합적 체계의 문법
2.2.3.1. 이희승(1949)의 준종합적 체계
2.2.3.2. 정인승(1949)의 준종합적 체계
2.2.3.3. 문교부(1985)의 준종합적 체계
2.2.3.4. 허웅(1995, 1999)의 한국어 구조문법
2.2.4. 종합적 체계의 문법
2.2.4.1. 정렬모(1946)의 종합적 체계
2.2.4.2. 이숭녕(1956)의 종합적 체계
2.2.4.3. 조선문화어문법(1979)의 종합적 체계
2.2.5. 분석적 체계의 문법
2.2.5.1. 주시경(1910)의 분석적 체계
2.2.5.2. 김두봉(1916)의 분석적 체계
2.2.5.3. 김윤경(1948)의 분석적 체계
2.2.5.4. 홍기문(1947)의 분석적 체계
2.3. 대안적 준종합적 체계와 대안적 분석적 체계
2.3.1. 대안적 준종합적 체계
2.3.2. 대안적 분석적 체계

제3장
가설연역적 문법 I: 표준이론, 원리매개변인 이론, 최소주의
3.1. 분류론적 문법에서 가설연역적 문법으로
3.2. 문법 이론에의 요건과 한국어 생성문법의 기술
3.2.1. 문법 이론에 주어지는 요건
3.2.2. 한국어 생성문법 기술의 첫 번째 시도
3.2.3. 한국어학의 기초 논증③: ‘느’ 분석론과 ‘있다’, ‘없다’의 문제
3.2.3.1. ‘느’ 분석론의 문제와 ‘있다’, ‘없다’
3.2.3.2. ‘느’ 계통 어미들이 참여하는 구조
3.3. 표준이론의 문법
3.3.1. 송석중(1967)의 한국어 생성문법
3.3.2. 이홍배(1970)의 한국어 생성문법
3.3.3. 양인석(1972)의 한국어 생성문법
3.3.4. 남기심(1973)의 한국어 생성문법
3.3.5. 박승윤(1981)의 한국어 생성문법
3.4. 원리매개변인 이론의 문법
3.4.1. 원리매개변인 이론의 개요
3.4.2. 한학성(1987)의 한국어 생성문법
3.4.3. 윤종열(1990)의 한국어 생성문법
3.4.4. 김영주(1990)의 한국어 생성문법
3.4.5. 최현숙(1988)의 한국어 생성문법
3.4.6. 임홍빈(1987, 1995, 1997), 서정목(1993, 1998), 유동석(1995)의 한국어 생성문법
3.5. 최소주의 통사론의 개요와 비판: 실험적 연구 기획
3.5.1. 최소주의 통사론의 개요
3.5.2. 김용하(1998)의 한국어 최소주의 통사론
3.5.3. 쿠프먼(2005)의 한국어 최소주의 통사론

제4장
가설연역적 문법 II: 대안으로서의 한국어 생성문법
4.1. 통사 부문의 단원 이론들
4.1.1. 핵계층 이론
4.1.2. 격 이론
4.1.3. 의미역 이론
4.1.4. 결속 이론
4.1.5. 한계 이론
4.1.6. 서술화 이론
4.1.7. 재구조화 이론
4.2. 한국어의 단순문 구조
4.3. 한국어의 내포문 구조
4.3.1. 명사절 내포문
4.3.2. 관형절 내포문
4.3.3. 인용절 내포문
4.3.3.1. 복합 보문소로서의 ‘-다고’
4.3.3.2. 간접인용절과 직접인용절
4.3.3.3. 인용관형절의 구조
4.3.3.4. 외치 구문: 서술화 원리의 적용을 받는 구문
4.3.3.5. 유형 판단 구문
4.3.4. 연결어미 절 내포문
4.3.4.1. 이른바 보조동사 구문의 통사구조
4.3.4.2. 연결어미 절 내포문의 그 외 부류
4.4. 한국어의 접속문 구조
4.4.1. 명시어 구조 접속문과 부가어 구조 접속문
4.4.2. 시간적 선후관계 해석의 특징
4.4.3. 연결어미가 가지는 선택제약의 특성
4.4.4. 부정의 영향권과 관련한 특성
4.4.5. 선행절 주어의 생략과 이차 서술어로서의 특성
4.4.6. 선행절 옮기기의 의의
4.4.7. 재귀대명사 조응의 의의
4.4.8. 동일 연결어미의 반복 가능성과 ‘-는’ 주제어
4.4.9. 통사·의미적 특성들의 종합
4.4.10. 비우기 구문의 통사구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한국어 문법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2872 411.5 -25-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2873 411.5 -25-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주시경 이래의 한국어 문법 이론을 분류론적 문법 이론과 가설연역적 문법 이론으로 나누어 심층적으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분류론적 문법의 대표적 문법 이론 12종을 선별하여 현대 언어학의 관점에서 집중적 분석을 보였다. 가설연역적 문법, 즉 생성문법은 표준이론적 문법의 5종, 원리매개변인이론적 문법의 7종, 최소주의 통사론의 2종을 대표적 이론으로 선별하여 완전성 요건, 건전성 요건, 구성성분됨의 요건, 구조보존 원리, 계열관계와 통합관계의 질서의 기준에서 그 적부를 점검했다. 모든 한국어 문장의 생성과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형식체계로서의 한국어 문법이 대안으로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