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요약 3

핵심내용 11

Ⅰ. 연구의 개요 12

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2. 연구내용 및 방법 14

2.1. 연구 내용 14

2.2. 연구 절차 15

Ⅱ. 산림생명자원 산업 정의 및 그간의 육성 전략 16

1. 산림생명자원 산업 정의 16

1.1. 바이오산업 정의 16

1.2. 산림생명자원 산업의 정의 17

2. 산림생명자원(천연물) 산업의 특성 19

3. 그간의 관련 산업 육성 전략 21

3.1. 바이오산업 분야 21

3.2. 산림생명자원 산업 분야 25

4. 소결 28

Ⅲ. 강원도의 산림생명자원 육성의 필요성 30

1. 바이오자원 산업 동향 30

1.1. 투자 및 생산과 내수 30

1.2. 국내 바이오산업의 산림생명자원 소재 이용 현황 32

2. 산림생명자원(임산물) 생산 동향 35

2.1. 전국 산림생명자원 생산 현황 35

2.2. 강원도 산림생명자원 생산 현황 38

2.3. 전국 대비 강원도의 산림생명자원 생산 비중 41

3. 부가가치 증대효과 분석 45

3.1. 개요 45

3.2. 산림생명자원의 부가가치 증대효과 추정 46

4. 소결 51

Ⅳ. 산림생명자원 산업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방안 52

1. 디지털전환 사례 52

2. 산림생명자원 산업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구상 55

3. 강원도 산림생명자원 산업 클러스터 플랫폼 구축 전략 58

4. 소결 65

Ⅴ. 행정의 실행 방안 67

1. 행정기관의 역할 67

1.1. 강원도의 역할: 플랫폼 구축과 실행 체계 67

1.2. 산림청의 역할: 혁신성장 거점센터 역량 강화 68

2. 협력 및 실행 구조(행정기관-연구기관-기업 간 시너지) 70

2.1. 비즈니스혁신 모델과 행정기관의 연계 70

2.2. 공공ㆍ민간ㆍ학술기관 연계 체계 71

3. 산업화 확산 전략 및 기대효과 72

3.1. DNA 기반(데이터ㆍ네트워크ㆍAI)의 고도화 72

3.2. 산업화 연계 모델 72

4. 추진을 가로막는 주요 문제와 극복 방안 74

5. 향후 추진 방향(정책ㆍ거버넌스ㆍ지속가능성) 78

참고문헌 79

[부록] 디지털 전환을 위한 사전평가 도구 개발 가이드라인 82

Abstract 84

판권기 85

〈표 Ⅱ-1〉 바이오산업분류 체계 중 바이오자원 산업 분류 기호 16

〈표 Ⅱ-2〉 [부속서] 생명공학기술 분류코드(p14) 17

〈표 Ⅱ-3〉 산림생명자원 및 산업의 정의 18

〈표 Ⅲ-1〉 2020년~2022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전체 투자규모 변화 추이 30

〈표 Ⅲ-2〉 2022년 바이오산업 분야별 생산 및 내수 현황(p59) 32

〈표 Ⅲ-3〉 산림생명자원 소재 수급 방법 33

〈표 Ⅲ-4〉 부문별 바이오소재 국내조달 배경 34

〈표 Ⅲ-5〉 부문별 바이오소재 수급 관련 애로사항 34

〈표 Ⅲ-6〉 부문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산림생명자원 소재 35

〈표 Ⅲ-7〉 전국 산림생명자원 생산 현황 35

〈표 Ⅲ-8〉 강원도 산림생명자원 생산 현황 38

〈표 Ⅲ-9〉 전국 대비 강원도 산림생명자원 비중 현황 41

〈표 Ⅲ-10〉 매출대비 원재료 구입비중 및 비용 47

〈표 Ⅲ-11〉 천연물 부가가치 추정 47

〈표 Ⅲ-12〉 산림생명자원 부가가치 추정 48

〈표 Ⅲ-13〉 부가가치 증대효과 분석 49

〈표 Ⅲ-14〉 전국 산림생명자원 1% 생산량의 생산액 부가가치 추정 49

〈표 Ⅲ-15〉 강원도 산림생명자원 1% 생산량의 생산액 부가가치 추정 50

〈표 Ⅳ-1〉 전략 단계별 개요 59

〈표 Ⅳ-2〉 실행 로드맵(세부 일정) 59

〈표 Ⅳ-3〉 사용자별 특화 기능 61

〈표 Ⅳ-4〉 Two-Way 커뮤니케이션 구조 62

〈표 Ⅳ-5〉 지능형 기능 62

〈표 Ⅳ-6〉 보안 및 권한 관리 63

〈그림 Ⅰ-1〉 연구수행 체계도 15

〈그림 Ⅱ-1〉 농식품부의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21

〈그림 Ⅱ-2〉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개요 22

〈그림 Ⅱ-3〉 전주기 표준화허브의 역할 23

〈그림 Ⅱ-4〉 강원도 바이오클러스터 추진 방향 25

〈그림 Ⅱ-5〉 강원도 스마트산림바이오혁신성장 거점센터 제안 개념 27

〈그림 Ⅱ-6〉 강원도 산림바이혁신성장 거점의 확대발전 구상도 28

〈그림 Ⅲ-1〉 전국 산양삼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6

〈그림 Ⅲ-2〉 전국 당귀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6

〈그림 Ⅲ-3〉 전국 천궁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7

〈그림 Ⅲ-4〉 전국 도라지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7

〈그림 Ⅲ-5〉 전국 더덕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8

〈그림 Ⅲ-6〉 강원도 산양삼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9

〈그림 Ⅲ-7〉 강원도 당귀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39

〈그림 Ⅲ-8〉 강원도 천궁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40

〈그림 Ⅲ-9〉 강원도 도라지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40

〈그림 Ⅲ-10〉 강원도 더덕 생산량 및 생산액 현황 41

〈그림 Ⅲ-11〉 전국 대비 강원도 산양삼 비중 현황 42

〈그림 Ⅲ-12〉 전국 대비 강원도 당귀 비중 현황 42

〈그림 Ⅲ-13〉 전국 대비 강원도 천궁 비중 현황 43

〈그림 Ⅲ-14〉 전국 대비 강원도 도라지 비중 현황 43

〈그림 Ⅲ-15〉 전국 대비 강원도 더덕 비중 현황 44

〈그림 Ⅲ-16〉 천연물산업 국내외 시장 규모 45

〈그림 Ⅳ-1〉 통합플랫폼과 14대 소재클러스터 전문포털 관계 52

〈그림 Ⅳ-2〉 산양삼 재배과정 관리시스템의 이력관리 개념 54

〈그림 Ⅳ-3〉 산양삼 생산과정 관리시스템 구축 개념 54

〈그림 Ⅳ-4〉 산림생명자원 산업화를 위한 플랫폼의 flow chat 56

〈그림 Ⅳ-5〉 산림생명자원 산업화를 위한 플랫폼의 구조 57

〈그림 Ⅳ-6〉 산림생명자원 산업화를 위한 플랫폼의 data class 구성 57

〈그림 Ⅳ-7〉 산림생명자원 산업화 챗봇 시스템 아키텍처 60

〈그림 Ⅳ-8〉 플랫폼 구상도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