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차례
서문
제1부 개관 및 역사
제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 과정│2. 커뮤니케이션 모델│3. 미디어 효과 측정│4. 기타 미디어 효과 조사방법론│5. 미디어 효과 이론 개관│6. 미디어 효과 연구의 중요성│7. 요약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우려│2. 매스 미디어로 인한 행동 및 의견 변화에 대한 역사적 증거│3. 요약
제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1. 미디어 효과 연구의 초창기│2. 강력한 효과의 개념│3. 제한된 미디어 효과의 개념│4. 각기 다른 수준의 효과│5. 상호교류적 효과 또는 절충된 효과│6. 몇몇 미디어 효과 연구의 개척자들│6. 효과 연구의 미래│7. 요약
제2부 이론 및 개념
제4장 사회 인지 이론
1. 인간의 독특한 특성│2. 관찰 학습과 모델링│3. 모델링의 효과│4. 미디어 내용을 통한 학습과 모델링│5. 사회적 촉진 혹은 설득│6. 새로운 미디어에 사회 인지 이론 적용하기│7. 상징적 모델링을 통한 확산│8. 사회 인지 이론의 한계점│9. 요약
제5장 기폭
1. 접근성│2. 기폭의 활성화│3. 기폭 효과의 특징과 경계 조건│4. 기폭 모델│5. 폭력적 내용으로 인한 기폭 효과를 높이는 변인들│6. 기폭 연구의 주요 영역│7. 요약
제6장 의제 설정
1. 개념적 뿌리│2. 연구 전통│3. 2차 및 3차 의제 설정 그리고 그 이상│4. 의제 설정의 심리학│5.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의제 설정│6. 요약
제7장 프레이밍
1. 프레이밍 이론의 기초│2. 프레이밍과 유사 개념 구별하기│3. 프레임 형성과 프레임 설정│4. 프레이밍 연구│5. 프레이밍 연구의 미래│6. 요약
제8장 배양
1. 문화 지표 프로젝트│2. 개념과 비판│3. 배양의 이론적 기초│4. 배양 연구의 다른 영역들│5. 요약
제9장 이용과 충족
1.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2. U&G 연구: 간추린 역사│3. U&G의 가정│4. U&G에 대한 비판│5. 이용과 효과를 설명하는 모델│6. 오락을 위한 미디어 이용│7. 21세기의 U&G 연구│8. 요약
제10장 설득
1. 연구 전통│2. 태도, 정서, 행동, 그리고 설득│3. 설득 모델 및 이론│4. 신념, 태도 및 행동을 연결하는 모델│5. 최근 연구│6. 요약
제3부 주요 연구 영역
제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 미디어 폭력 연구와 공공정책: 역사와 미래│2. 미디어 폭력 효과 연구에 사용된 주요 이론│3. 미디어 폭력 연구 방법│4. 미디어 폭력의 심리학적 영향│5. 미디어 폭력 즐기기│6. 미디어 폭력은 우려해야 할 정도인가?│7. 요약
제12장 성적인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성적 내용의 속성│2. 미디어의 성적 내용의 정도│3. 주류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4. 소셜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5. 매우 노골적으로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6. 성 폭력물에 대한 노출의 영향│7. 성적 스크립트 습득, 활성화, 적용 모델│8. 성적 미디어 내용이 미치는 효과의 매개 변인과 조절 변인│9. 포르노그래피 연구에 대한 우려 사항│10. 요약
제13장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공포에 대한 연구│2. 공포의 매력에 대한 설명│3. 공포 측정│4. 미디어 내용에 두려움 반응을 보이는 이유│5. 공포 반응과 즐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6. 어린이의 공포 반응│7. 두려움에 대처하는 전략│8. 요약
제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민주주의에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2. 20세기의 정치적 미디어 효과에 대한 이해│3.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4. 정치적 정보원으로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5. 요약
제15장 건강에 미치는 매스 미디어의 효과
1. 연구 결과│2. 온라인 건강 정보│3. 건강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4. 요약
제16장 미디어 고정관념화의 효과
1. 미디어의 소수자 묘사: 되돌아보기│2. 사회적 정보 전달자로서의 미디어: 현재 모습│3. 소수자 수용자의 특성│4. 젠더 고정관념화│5. 미디어 고정관념의 영향│6. 요약
제17장 어린이 교육 미디어의 효과
1. 교육 텔레비전│2. 어린이 미디어를 통한 학습에 대한 핵심 질문│3. 요약
제18장 비디오 게임의 효과
1. 현대의 게이머 살펴보기│2.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의 효과│3. 비디오 게임 중독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4. 비디오 게임의 긍정적 효과│5. 요약
제19장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효과
1. 온라인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무엇을 하는가?│2. 소셜 미디어 이용의 효과│3.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4. 온라인 사회적 자본│5. 사이버 괴롭힘│6. 인터넷 중독│7. 인터넷과 변화하는 직장│8. 요약
제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벽돌폰’의 탄생│2. 사회적 조정에 미치는 효과│3.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4.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효과│5. 문자 보내기의 효과│6. 공적 공간에서의 사적 사용│7. 직장 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8. 스마트폰 중독과 노모포비아│9. 요약
참고문헌│찾아보기│옮긴이의 말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82478 | 302.23 -25-10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82479 | 302.23 -25-10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