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차례

1장 영상에 표현된 의미를 읽는 방법
2장 화면 구도
3장 카메라 앵글
4장 빛/조명 미장센
5장 색채 미장센
6장 색채 미장센 ― 흑백 vs. 컬러의 대비
7장 포커스를 이용한 영상 표현과 의미
8장 장소/공간 및 소도구 미장센
9장 카메라 움직임
10장 롱 테이크
11장 영상 재생 속도
12장 화면 비율
13장 분할 화면
14장 몽타주 기법

이용현황보기

영화 속 숨은 의미 읽기 = The hidden meanings of film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2484 791.4301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2485 791.4301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영화를 본다’, ‘영화를 감상한다’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영화의 이야기, 즉 내용을 파악한다는 의미이다. 영화가 단순히 기술적으로 현실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하나의 산업으로 번창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면 이야기의 전달은 영화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의 편집 목표는 관객이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편집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영화에서 ‘이야기’의 전달, 관객의 관점에서 말하면 ‘이야기’의 파악은 영화를 감상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영화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의미는 대화나 내레이션과 같은 이야기 ‘내용’을 통해서만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의미는 이야기 ‘형식’을 통해서도 전달된다. 이미 우리는 영화를 보면서 이러한 형식이 의미를 만들어 낸다는 점을 많든 적든 경험했다. 예컨대, 화면 속에 등장하는 거울이 영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든가, 화면이 어두컴컴한 것을 보니 무언가 암울한 이야기가 펼쳐질 것 같다든가, 등장인물이 뭔지 모르게 위압적으로 보인다 등등. 이처럼 우리는 영화를 보면서 내용뿐만 아니라 영상 이미지에서도 작은 의미들을 발견하곤 한다. 그렇다. 많은 영화가 대사나 내레이션뿐만 아니라 ‘영상 이미지’로도 의미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사실이다.

영화에서 영상 이미지를 통해 의미를 만들어 내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미장센이다. 미장센은 한 숏 내에 모든 시각적 요소를 의미 있게 배치하여 감정이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 미장센은 잦은 편집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대신 화면 구성을 통해 의미를 전달함으로써, 영화 속에서 전개되는 시간의 연속성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미장센 중심의 영화는 편집을 통해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지 않기 때문에, 관객이 스스로 화면을 탐색하고 의미를 찾아내도록 유도한다. 둘째, 몽타주이다. 이는 여러 숏을 연결하고 대비시켜 새로운 의미나 감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몽타주는 시간과 공간을 압축하거나 확장하여, 충격과 대비를 통해 관객에게 새로운 관념을 전달한다. 이처럼 미장센과 몽타주는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통해 영화의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기법이다. 현대 영화에서는 한 편의 영화에 두 기법이 종종 함께 사용되기도 하여 영화적 표현이 더욱 풍부해지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영상에 부여된 의미를 읽어 내는 두 가지 방법인 미장센과 몽타주 이론을 바탕으로 영상에 숨은 의미를 읽어 내는 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미장센 분석은 화면 구도, 카메라 앵글, 조명, 색채, 포커스, 장소/공간, 소도구, 카메라 움직임 등과 같이 전통적으로 고찰하던 화면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좀 더 확장된 의미의 미장센으로서 영상 재생 속도, 화면 비율, 분할 화면까지 다룬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화면 구성의 다양한 요소와 편집 방식이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 내는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2] 영화에서 미장센 개념은, ‘화면 내에서 인물 및 카메라의 배치와 운용, 배경의 의식적인 구성 등을 통해 감정과 의미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최현주, 2018a: 111)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_1장 영상에 표현된 의미를 읽는 방법
[P. 86] <시민 케인>에서는 언론 재벌로서 막강한 권력을 가진 케인을 로우 앵글을 통해 권위, 위엄 있는 인물로 표현했다. 그리고 권력관계에 있는 인물들을 표현할 때 카메라 앵글을 통해 그들의 관계를 시각화했다. 권력관계에서 압도하는 대상은 로우 앵글로 찍어 권위 있어 보이게 표현했으며, 압도 당하는 대상은 하이 앵글로 찍어 위축되고 나약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시민 케인>에서는 카메라 앵글을 통한 의미 부여가 영화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_3장 카메라 앵글
[P. 171] 톨랜드는 화면의 특정한 요소에만 포커스를 맞추는 촬영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화면의 전경, 중경, 후경에 모두 포커스를 맞추는 딥 포커스 촬영을 선호했는데, 이 기술이 실제 인간의 눈이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톨랜드는 웰스를 설득한 끝에 <시민 케인>에서 딥 포커스 촬영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웰스는 <시민 케인> 엔딩 크레딧에 톨랜드의 이름을 따로 올림으로써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_7장 포커스를 이용한 영상 표현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