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0

Abstract 13

Ⅰ. 서론 / 최지영 17

1. 연구의 배경과 질문 18

2. 연구의 구성 23

Ⅱ. 북한의 상품광고: 정의, 담론, 정책 / 최지영 28

1. 광고(Advertising)의 정의 29

2.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의 상품광고 37

가. 상품광고에 대한 담론 38

나. 무역 전담 광고기관과 내수 광고의 발전 40

다. 무엇을 광고하는가? 광고상품의 구성(Product Mix) 43

라. 어떻게 전달하는가? 광고매체의 구성(Media Mix) 46

마. 경제개혁과 상품광고 발전 48

3. 북한의 상품광고 변화 50

가. 광고물(advertisement)의 변화 양상 51

나. 상품광고에 대한 담론 56

다. 상품광고 관련 기관과 규정 59

4. 소결 64

Ⅲ. 북한의 상품광고 콘텐츠 분석: 소비재를 중심으로 / 최지영;이지순 69

1. 분석의 범위 70

가. 상품의 종류 70

나. 매체의 형식 73

다. 상품광고 콘텐츠 분석 요소 78

2. 식료품과 의류 광고 79

가. 식료품 광고 79

나. 의류 광고 90

3. 화장품과 의약품 ‧ 건강보조식품 광고 97

가. 화장품 광고 97

나. 의약품ㆍ건강보조식품 광고 111

4. 소결 126

Ⅳ. 북한 상품광고와 소비 실태: 북한이탈주민 대상 설문조사ㆍ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최지영 132

1. 조사 대상자 구성 134

2. 설문조사 결과 136

가. 매스미디어 이용 경험 136

나. 상품광고 수용성과 광고 종류별 경험 137

다. 상품광고의 광고 대상과 브랜드 인지 140

라. 상품광고가 소비에 미친 영향 145

마. 종합시장ㆍ상점의 상품광고와 소비 실태 155

3. 소결 165

Ⅴ. 결론 / 최지영 168

참고문헌 174

[부록] 180

최근 발간자료 안내 210

판권기 3

표목차 7

표 Ⅰ-1. 설문조사/심층면접 대상자 인적 사항 25

표 Ⅱ-1. 북한사전 「거울 2.0」의 방송광고에 대한 정의 33

표 Ⅱ-2. 매체별 광고비 지출 비중 47

표 Ⅱ-3. 폴란드의 매체별 광고비 지출 48

표 Ⅱ-4. 북한법령집 내 '광고'관련 조문 62

표 Ⅲ-1. 분석대상 TV광고와 TV프로그램 75

그림목차 8

그림 Ⅱ-1. 광고영화, 소개편집물, 과학영화의 관계 35

그림 Ⅱ-2. 북한의 TV광고 52

그림 Ⅱ-3. 북한의 버스정류장 광고 54

그림 Ⅱ-4. 북한의 과자 포장지 55

그림 Ⅲ-1. 소개편집물 〈건강발효식품 띄운 콩〉 81

그림 Ⅲ-2. 삼지연 들쭉음료공장과 생산 제품 82

그림 Ⅲ-3. 평양 어린이 식료품 공장의 제품 84

그림 Ⅲ-4. 북한 식료품 포장, 인쇄물광고의 문구 85

그림 Ⅲ-5. 「조선상품」에 수록된 식료품 광고 87

그림 Ⅲ-6. 인물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우리나라 식료품 광고 88

그림 Ⅲ-7. 인물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북한 식료품 광고 89

그림 Ⅲ-8. 소개편집물 〈이것이 내가 만든 제품입니다〉 91

그림 Ⅲ-9. 소개편집물 〈봄날의 정서와 우리의 옷차림〉 93

그림 Ⅲ-10. 원산구두공장에서 생산한 '매봉산 구두' 94

그림 Ⅲ-11. 「조선상품」에 실린 의류 광고 96

그림 Ⅲ-12. 소나무 가방의 TV 노출 97

그림 Ⅲ-13. '봄향기' 화장품 TV광고 98

그림 Ⅲ-14. 북한의 은하수 화장품의 TV 노출 100

그림 Ⅲ-15. 소개편집물 〈세대를 이어가는 향료연구사들〉 102

그림 Ⅲ-16. 경공업제품전시회 《경공업발전-2023》의 화장품전시장 104

그림 Ⅲ-17. 「조선상품」 카탈로그 화장품 광고 106

그림 Ⅲ-18. 아침 화장품 지면광고의 구성 요소 108

그림 Ⅲ-19. 봄향기 화장품과 진보 화장품 지면광고 110

그림 Ⅲ-20. 평양 토성제약 공장의 각종 제품 113

그림 Ⅲ-21. 과학영화 〈마늘과 건강〉 116

그림 Ⅲ-22. 정성제약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 117

그림 Ⅲ-23. '고려인삼활성알약'과 '개성고려홍삼가루' 지면광고 119

그림 Ⅲ-24. '혈궁불로정'의 「조선상품 2020」 광고 121

그림 Ⅲ-25. 「조선상품 2020」에 게재된 '금당-2주사약' 광고와 GLP, GMP, GCP 테스트 실(seal) 등 안전성 보증 증서들 122

그림 Ⅲ-26. 「조선상품 2019」의 의약품 사용후기 125

그림 Ⅳ-1. 조사 대상자의 특징 135

그림 Ⅳ-2. 북한 TV채널 이용 경험 136

그림 Ⅳ-3. 북한 TV광고(소개편집물, 과학영화) 시청 선호도 138

그림 Ⅳ-4. 북한 TV광고(소개편집물, 과학영화)의 광고 대상 품목 140

그림 Ⅳ-5. 북한 광고에 대한 상표/브랜드 인지 경험 142

그림 Ⅳ-6. 북한 광고에 대한 품목별 브랜드 인지 경험 143

그림 Ⅳ-7. 북한 포장지의 정보 제공 경험 144

그림 Ⅳ-8. TV 노출 상품 구입 경험(조사대상 본인) 146

그림 Ⅳ-9. TV 노출 상품 구입 경험(조사대상 주변) 146

그림 Ⅳ-10. TV 노출 상품이 유행한 사례 148

그림 Ⅳ-11. TV 노출 상품 구입 경험이 없는 이유 149

그림 Ⅳ-12. 광고 상품 구입 경험(조사대상 본인) 150

그림 Ⅳ-13. 상품의 TV 노출이 소비에 미친 영향 151

그림 Ⅳ-14. TV프로그램 유용성에 대한 인식 152

그림 Ⅳ-15. 광고 전반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152

그림 Ⅳ-16. 종합시장에서 소비자의 정보 획득 경로 156

그림 Ⅳ-17. 팻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사례 158

그림 Ⅳ-18. 직관물ㆍ포스터를 이용한 상점의 광고 경험 161

그림 Ⅳ-19. 설명서를 이용한 상점 내 판매 경험 163

이용현황보기

북한의 상품광고와 소비 실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6922 통일 330.95171 -25-2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
0003186923 통일 330.95171 -25-2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