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Ⅰ. 연구 개요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1.1. 연구의 필요성 11
1.2. 연구의 목적 12
2. 연구 수행 범위 및 방법 13
2.1. 연구 수행 범위 13
2.2. 연구 수행 방법 13
Ⅱ. 국내외 국가기록물 사례 및 평가정책 15
1. 미국 15
1.1. 평가정책의 근거 15
1.2. 정책문의 구성항목 15
1.3. 국가보존기록 선별 기준/영역 20
1.4. 특수유형 평가정책 21
1.5. 처분기준서/평가도구 26
1.6. 평가 실무 절차 31
1.7. 평가의 권한 및 책임 34
2. 영국 36
2.1. 평가정책문 36
2.2. 국가보존기록 선별 기준 39
2.3. 특수유형 평가정책 42
2.4. 평가도구 48
2.5. 평가 실무 절차 54
2.6. 평가의 권한 및 책임 56
3. 캐나다 59
3.1. 평가정책문 59
3.2. 국가보존기록 선별 기준/영역 62
3.3. 특수유형 평가정책 67
3.4. 처분기준서 70
3.5. 평가 실무 절차 74
3.6. 평가의 권한 및 책임 76
4. 호주 79
4.1. 평가정책문 79
4.2. 국가보존기록 선별 기준 85
4.3. 특수유형 평가정책 90
4.4. 평가도구 99
4.5. 평가의 권한 및 책임 105
5. 서울기록원 113
5.1. 서울기록원 평가 사례 분석 113
5.2. 서울기록원 보유기록물 평가(2022) 113
5.3. 서울기록원 수집실행지침(S-NAP) 115
6. 종합분석 및 시사점 120
6.1. 평가정책과 국가보존기록의 범주 120
6.2. 특수유형 기록물 128
6.3. 각국의 기록물 평가 프로세스 130
6.4. 국가기록 평가의 권한 및 책임 131
6.5. 시사점 138
Ⅲ. 국가기록물 평가ㆍ선별 기준 연구 139
1. 국가기록원 소장 영구기록물 분석 139
1.1. 분석 대상 139
1.2. 분석 방법 139
1.3. 분석 결과 142
2. 기능별 분석 144
2.1. 분석 개요 144
2.2. 분석 결과 144
2.3. 소결 151
3. 국가기록 평가 범주별 분석 153
3.1. 분석 개요 153
3.2. 분석 결과 168
3.3. 소결 173
4. 특수유형 기록물 175
4.1. 분석 개요 175
4.2. 분석 결과 175
4.3. 소결 179
5. 별표1의 영구보존 범주에 분류되지 않는 기록물 180
5.1. 분석 개요 180
5.2. 분석 결과 180
5.3. 소결 183
6. 시사점 185
6.1. 시사점 및 개선사항 185
Ⅳ. 국가기록물 평가정책 분석 187
1. 기록관리기준표 분석 187
1.1. 분석 개요 187
1.2. 기록관리기준 제도 187
1.3. 기록관리기준표 현황 189
1.4. 소결 195
2. 행정전자 데이터세트 및 웹기록물 평가 198
2.1. 분석 개요 198
2.2.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198
2.3. 웹기록물 206
2.4. 소결 211
3. 국가기록원과 생산기관의 권한 및 책임 분석 213
3.1. 분석 개요 213
3.2. 기록평가 권한 관련 규정 213
3.3. 평가 권한 및 책임 현황 217
3.4. 소결 218
4. 시사점 및 개선사항 220
4.1. 시사점 220
4.2. 개선방안 220
Ⅴ. 국가기록물 평가정책문(안) 222
1. 평가정책문 구성항목 구성방안 222
1.1. 개요 222
2. 평가정책문(안) 223
2.1. 평가정책문의 필요성 223
2.2. 평가정책문의 원칙 224
2.3. 평가 대상 기록의 범위 225
2.4. 평가의 역할과 책임 231
2.5. 평가의 절차와 방법 232
2.6. 결론 235
참고문헌 236
[부록 1] 국가기록원 영구보존기록물 평가정책문(안) 245
[부록 2] 해외 특수유형 기록물 지침 257
[부록 3] 보존기간 책정기준(별표1)과 국가별 평가정책 비교 267
[부록 4] 국가기록원 영구보존기록물 분석-일반문서 기록물철 289
〈그림 1〉 NA-1005 서식 27
〈그림 2〉 GRS 2.2(Workforce and succession planning records) 발췌 29
〈그림 3〉 NARA의 입법 및 국회 관계 법률 RS 30
〈그림 4〉 국토 안보부의 소셜미디어 및 정보 공유 웹사이트 처분 요청 33
〈그림 5〉 '유산보호 데이터세트'의 보존 및 이관 단계 45
〈그림 6〉 OSP 수립 절차 53
〈그림 7〉 TNA의 평가 프로세스 54
〈그림 8〉 RDA 문서 예시 78
〈그림 9〉 선별원칙, 평가 프레임워크, 처분기준서의 구조 82
〈그림 10〉 PROV 평가 프레임워크(PROV, 2022) 83
〈그림 11〉 특별지방 행정기관 동일기능 분석 140
〈그림 12〉 지방자치단체 동일기능 분석 141
〈그림 13〉 교육(지원)청 동일기능 분석 141
〈그림 14〉 국가기록 범주별 분석 절차 142
〈그림 15〉 기록물 철 분석 결과 발췌 142
〈그림 16〉 간행물 발간 및 납본 사례 178
〈그림 17〉 기록관리기준표의 구조(국가기록원) 190
〈그림 18〉 기록물관리지침(2024) 기록물의 평가 및 폐기 절차도 193
〈그림 19〉 행정안전부의 기록관리기준표 고시 215
부록표목차 257
〈표 1〉/〈표 108〉 웹기록물의 처분일정 수립 절차(Scheduling Web Records) 257
〈표 2〉/〈표 109〉 영국 데이터세트 및 케이스파일 세부지침 258
〈표 3〉/〈표 110〉 영국 정부 웹기록물 세부지침 258
〈표 4〉/〈표 111〉 캐나다 케이스파일 세부지침 259
〈표 5〉/〈표 112〉 캐나다 웹분석 세부지침 262
〈표 6〉/〈표 113〉 호주 데이터 및 데이터세트 세부지침 263
〈표 7〉/〈표 114〉 소셜미디어와 인스턴트메시지(IM) 세부지침 26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