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양도성과 궁궐 옛 서울 한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___17 조선왕조의 새로운 수도 한양___20 육조거리와 운종가___22 왜 한양도성을 쌓았을까요?___24 궁궐은 어떤 곳인가요?___27 왜 궁궐이 다섯 개나 될까요?___31
2. 조선의 으뜸 궁궐, 경복궁 탐방 경복궁은 누가 지킬까요?___39 경복궁은 언제 파괴되었나요?___43 경복궁의 큰 문은 어디에 있을까요?___45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___49 흥례문 영역에는 무슨 건물이 있었나요?___55 영제교의 천록들은 어떤 표정을 하고 있을까요?___57 유화문과 기별청___61 근정문에서 왜 즉위식을 했나요?___62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___65 경복궁의 편전, 사정전___77 연회를 베풀던 곳, 경회루___83 궁궐 안의 관청, 궐내각사___88 수정전 자리에 있었던 집현전___90 임금님의 생활공간, 강녕전___96 왕비님의 집, 교태전___102 꽃담으로 둘러진 자경전___106 음식을 장만하던 소주방___115 왕세자의 집, 자선당___116 돌아온 자선당 주춧돌___120 경복궁의 후원 향원정___122 건청궁과 명성황후___124 귀한 책을 모아 놓은 집옥재___126 신무문 바깥 청와대길___128 왕실 장례를 치르던 태원전___129
부록: 조선의 왕위 계보___132 부록: 궁궐에서 쓰는 말 잇기___133 부록: 십자낱말풀이___134
● 3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 - 1. 우리 고장의 모습 ● 4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 – 1. 문화재와 박물관 ● 5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 – 3. 우리 겨레의 생활 ●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 –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정립
책속에서
[P. 20] 조선왕조는 태조 이성계가 1392년 7월 17일 개경의 수창궁에서 즉위하면서 500년의 새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태조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에서 한양으로 도읍(수도)을 옮기기로 하고, 1394년 새로 지을 궁궐과 종묘의 터를 살펴본 후에 역사적인 한양 천도(나라의 수도를 옮김)를 단행하였습니다.
[P. 22] 광화문 바깥의 남쪽으로 세워진 관청이 있는 육조(六曹)거리는 정치의 중심지였고, 그 길 끝에 맞대어 동서로 길게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사고파는 시장이 들어섰습니다. 지금의 종로 1가부터 종로 5가까지에 있던 운종가(雲從街)는 경제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운종가는 사람들이 구름떼처럼 몰려들어 북적거 리는 모습을 표현한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