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사회복지개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3501 361 -25-7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83502 361 -25-7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지금,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회복지를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개론서


사회복지의 기초 개념에서 현행 제도와 정책,
실천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기술까지 총정리


이 책은 총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제1장부터 제3장까지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개념을 정의한다. 제1장에서는 사회복지의 다양한 개념과 사회복지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사회복지학이라는 학문의 과학적 기반을 다룬다. 제2장에서는 사회복지의 동기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의 사회복지가 지향하는 기본 가치를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인권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실천 방법을 톺아 본다.
제4장과 제5장에서는 사회복지의 구성 요소와 공급 주체를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사회복지의 주요 구성 요소인 욕구, 대상, 자원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들을 설명하고, 이 세 요소를 균형 있게 구성하는 기초 지식을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사회복지 공급 주체를 구분하는 기준과 각 주체의 이론적 특징,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공급 체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공급 주체가 사회복지수급자와 전체 사회복지에 대해 갖는 의미를 알아본다.
제6장부터 제8장까지는 사회복지가 역사적으로 어떠한 발전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 조명한다. 제6장에서는 사회복지제도가 어떤 역사적 사건과 사상을 배경으로 생겨나고 변화해 왔는지를 서양과 우리나라의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복지국가의 개념과 형성 및 발전 과정을 설명하고 현존하는 복지국가들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 제8장에서는 현대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사회복지정책의 근간이 되는 대표적인 사상, 그리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현황을 개관한다.
제9장부터 제11장까지는 사회복지실천의 실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제9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실천의 바탕을 이루는 이론적 관점 및 실천 윤리를 설명한다. 제10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 지식 체계의 핵심과 사회복지실천 시 활용하는 기술 및 실천 과정을 살펴본다. 제11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와 정신건강·의료·학교 사회복지사와 같은 전문사회복지사 제도를 소개하고, 일반사회복지사의 주된 실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사례관리에 대해 알아본다.
제12장과 제13장에서는 지역 규모의 사회복지실천에 중점을 두었다. 제12장에서는 지역복지의 개념과 원리,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배경 및 다양한 추진 체계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13장에서는 개인 변화와 사회 변화, 장애인 당사자주의, 시설보호와 탈시설화 등의 사회적 이슈를 다룬다.

주체적인 학습에 도움이 되는 생각해 볼 거리와
풍부한 최신 자료 제공


이 책은 각 장의 첫머리에 그 장을 읽으면서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을 부제목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각 장에서 습득해야 하는 핵심 내용을 인식하고 정보를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각 장 마지막에는 토론 주제를 제시하여 그 장에서 학습한 내용을 주체적으로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책의 본문에는 시대의 빠른 변화에 발맞추어 새롭게 나타나는 연구 이론을 다수 인용하였다. 그와 함께 다양한 최신 통계 자료와 현행 법령, 시각 자료, 참고 자료 및 현장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현장감을 전하고,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과 역할을 이해하게 해 준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