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01. 병원 안심동행, 근거 기반 정책으로 개선 4

1. 장기 운영, 유사정책 증가, 서울시 조직개편으로 재정비 필요 4

2. 이용 실적 4만 건 분석, 이용자 427명 설문조사 5

02. 서울시, 다른 지역보다 보편성ㆍ편의성 높아 6

1. 정부-서울시-타 시ㆍ도 유사 서비스 5건 비교 분석 6

2. 높은 보편성ㆍ편의성 장점이나 형평성 검토는 필요 6

03. 표적집단 적정 이용률 높고 지원 효과도 커 9

1. 보편적 지원에도 이용자 대부분 표적집단과 일치해 9

2. 진료ㆍ투석 위한 이동 보조, 단기적ㆍ일시적 이용 60% 이상 11

3. 이용자 만족도와 지원 효과, 88% 이상 긍정으로 답해 13

04. 수요 기반 서비스 질 제고로 차별성 강화해야 15

1. 보편 지원하되, 수요 맞춤형 분할 사용 가능하도록 제한 15

2. 동행서비스 고도화, 이용료 가급적 유지, 보조율 하향 제안 18

3. 돌봄 필요한 시민을 관련 시책으로 유입하는 역할 기대 20

판권기 22

표목차 5

[표 1] 설문조사 표본설계 5

[표 2]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서비스와 유사 서비스 종합 비교 8

[표 3] 서비스 이용자의 개인ㆍ가구 특성 9

[표 4] 보건복지부 판정 기준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의 돌봄 취약수준 10

[표 5] 병원 방문 목적과 서비스 신청 이유 11

[표 6] 연간 이용 횟수와 회당 평균 이용 시간 12

[표 7]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13

[표 8]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지원 효과 14

[표 9] 정책 개선방안: 서비스 지원대상 15

[표 10] 정책 개선방안: 이용 횟수 제한 16

[표 11] 정책 개선방안: 이용 시간 제한 17

[표 12] 연간 200시간 초과 이용자 비율 17

[표 13] 정책 개선방향: 사회적 외로움과 웰다잉 지원 18

[표 14] 서비스 이용료 만족도 19

그림목차 21

[그림 1] 병원 안심동행서비스의 차별성 및 연계 효과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