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Ⅰ. ‘오키나와인’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1. 현재의 ‘우치난추’ 의식
2. 왜 복귀 논의가 중요한가?
3. 차별과 배제의 메커니즘
4. 전전戰前의 ‘일본인’과 ‘오키나와인’
5. 아이덴티티의 자각
6. ‘국민’의 창출
7. ‘위기’와 ‘결락’의 고통

Ⅱ. 조국 복귀 개념의 변천
1. 전후 오키나와 역사에서의 ‘복귀’와 ‘오키나와인’
2. 왜 ‘복귀’인가
【칼럼 ①】 천황 메시지/미국에 자유 사용 촉구 71
3. ‘민족주의적 복귀’론
【칼럼 ②】 파탄한 평화 조약 3조/국제법상 근거 상실/일본의 ‘동의’로 통치 계속
4. ‘헌법 복귀’론
【칼럼 ③】 미군 사건의 재판/내용, 판결을 공개하지 않음/오키나와의 체포ㆍ재판권 부족
5. ‘반전 복귀’론
6. 높아지는 요구-본 장의 요약
【칼럼 ④】 야라屋良 건의서/현민 본위의 시책 제기/국회는 ‘오키나와의 호소’ 무시
【칼럼 ⑤】 미일의 오키나와 통치 방침/기지 ‘자유 사용’으로 일관

Ⅲ. 1970년 전후의 복귀론과 반복귀론의 분석
1. 새로운 ‘오키나와인’의 탄생
2. 복귀론의 구조
① 고발 속의 ‘오키나와인’
② ‘조국 복귀’와 ‘오키나와인’의 의미
③ ‘자립’에 대한 제기
3. 반복귀론의 구조
① 고발 속의 ‘오키나와인’
② ‘조국 복귀’와 ‘오키나와인’의 의미
③ 자립(自立)에 대한 문제제기
4. 복귀론과 반복귀론의 공통점

Ⅳ. 그 이후의 ‘오키나와인’
1. ‘복귀’에서 ‘자립’으로
【칼럼 ⑥】 수많은 밀약 밝혀지다/요구는 뒤로 한 ‘국익’ 우선
2. 활성화・다양화되는 자립론
3. 재판으로 본 ‘오키나와의 주장’
① 오타 지사의 주장
② 오나가 지사의 주장

Ⅴ. 오키나와의 지금과 미래
1. ‘일본 국민’이 된다는 것
2. ‘오키나와인’의 주체 형성을 둘러싸고
3. 물리적 폭력과 부조리
4. ‘우치난추’란 누구인가
5. 오키나와의 자기결정권과 탈식민주의
6. 복귀 45년, 현재의 오키나와

전후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관련 연표
참고문헌
후기

이용현황보기

(續 오키나와의 자기결정권) 오키나와의 아이덴티티 : ‘우치난추’란 누구인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2109 953.929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82110 953.929 -25-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아시아·태평양 전쟁 이후 오키나와는 미군의 출격지가 되었고, 생명이나 인권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미군 기지의 집중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사건·사고와 부조리에 대한 이의 제기가 반복되어 왔다. 반복된 외침이 아이덴티티로 결정화되었을 때 거기서 어떤 의미나 의의를 찾아낼 수 있을까? 그 안에는 보편적 가치나 보편적 이념을 추구하는 오키나와 사람들의 모습이 있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역사의 중요한 순간마다 근대 국민 국가의 ‘악마’와 ‘천사’ 같은 두 얼굴과 대면하며 파국이나 좌절을 반복하면서 ‘자립’을 추구하게 되었다. 최근 강하게 외쳐지는 ‘자기결정권’은 그 하나의 도달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큰 역사적 시점에서 보면 오키나와의 아이덴티티는 일본이라는 근대 국민 국가의 ‘국민’ 형성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때문에 오키나와의 아이덴티티를 고찰하는 것은 오키나와인에게 자신을 묻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거울처럼 일본이라는 근대 국민 국가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묻는 것이기도 하다. 오키나와의 역사를 따라서 오키나와인의 아이덴티티를 깊숙이 파악하려는 생각은 깊어질수록 동시에 일본이라는 국가의 ‘민낯’을 부각시킨다. 이 책의 문제제기가 조금이라도 일본이라는 국가의 본질이나 향방을 생각하는 데 경종이나 전망의 일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