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제1부〉 독도근세사
제1장 1696년, 안용복 도일문제에 관한 고찰
1. 머리말
2. 1696년, 안용복 일행의 도일 여정
3. 도일 여정 관련 논쟁에 대한 고찰
4. 맺음말
제2장 돗토리번 사료를 통해 본 울릉도 쟁계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다케시마 도해면허’의 발급 시기 및 성격
3. ‘다케시마 도해금지령’과 독도
4. 안용복의 1696년 도일 목적
5. 맺음말
〈제2부〉 독도근대사
제3장 『태정관지령』 ‘竹島外一島’의 해석과 메이지 정부의 울릉도·독도 인식
1. 머리말
2. 태정관지령문「죽도외일도」의 해석을 둘러싸고
3. 태정관지령문의「죽도외일도」와 그 내용
4. 메이지 시대 일본 정부의 울릉도·독도 인식
5. 맺음말
제4장 독도에 대한 일본의「고유영토론」과 독도 인식
1. 머리말
2. 일본의 독도에 대한「고유영토론」의 계보와 연구 동향
3. 일본의 독도 인식과「고유영토론」
4. 맺음말
〈제3부〉 독도현대사
제5장 1947년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의 독도조사활동과 성과
1. 머리말
2. 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의 조사일정과 조사활동
3. 독도 자연환경과 생태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조사
4. ‘한국령’ 독도 표주 설치
5. 「심흥택 보고서」발견
6. 울릉도 재개척 이주민 홍재현의 증언 확보
7. 독도 소나무의 존재 확인
8. 최초의 독도사진과 변형된 독도 지형의 확인
9. 맺음말
제6장 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언론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산악회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단의 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47)
3. 독도폭격사건과 독도영유권 인식(1948)
4. 평화선 선언과 독도영유권 인식(1952)
5. 독도의용수비대의 독도수호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53~1956)
6. 맺음말
제7장 대일 독도 관련 입장의 기조로서 ‘변영태성명’ 및 ‘변영태구술서’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독도=역사문제’라는 대한민국 정부 인식의 기원
3. ‘변영태구술서’ 및 ‘변영태성명문’에 대하여
4. 맺음말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82121 | 독도 951.997 -25-3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 3층) | 이용가능 | |
0003182122 | 독도 951.997 -25-3 |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 3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