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7

요약 5

제1장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가. 연구 배경 12

나. 연구목적 15

2. 연구 내용 및 방법 16

가. 연구 범위 16

나. 주요 연구 내용 16

다. 연구 체계 17

제2장 외로움의 개념과 정책 동향 18

1. 개념 검토 19

가. 외로움의 개념 19

나. 사회적 질병으로서 외로움 24

2. 국내ㆍ외 정책 및 사업 사례 28

가. 국외 정책 사례 28

나. 국내 정책의 과정과 특징 34

다. 정부별 정책 동향 37

라. 지역 계획 및 사업 사례 44

제3장 전북도민 외로움 실태 분석 51

1. 조사 및 분석 개요 52

가. 문체부의 '사회적 연결척도' 52

나. 전북도민 조사 개요 56

2. 조사 결과 59

3. 사회적 연결척도 분석 결과 72

가. 분석 방법 72

나. 분석 결과 74

제4장 외로움 대응 정책방향과 과제 82

1. 외로움 대응 정책 방향 83

가. 방향 설정 83

나. 비전과 목표 86

2. 외로움 대응 추진 과제 89

가. 전북도민 외로움 예방ㆍ치유 조례 제정 89

나. 전북형 외로움 지수 개발과 실태조사 91

다. 외로움 치유 플랫폼 : (가칭)문화로안녕센터 조성 및 운영 92

라. 의료기관의 사회적 처방 연계, '외로움 치유 보건 시범사업' 97

마. RISE 연계, 외로움 치유 사회적 처방 활동가 양성 및 지원 100

바. 심리방역 안전기지 발굴 : '마음챙김, 우리동네 마음 둘 곳' 101

사. 외로움 없는 주간(Loneliness-Free Week) 개최 103

아. 외로움의 문화적 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105

자. 전담부서 지정 및 종합계획 수립 107

제5장 요약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5

SUMMARY 118

판권기 121

[표 2-1] 일반적인 예술치유 관점에서 바라본 치료와 치유의 관계 26

[표 2-2] 외로움 관련 정책 : 관련 부처들의 정책 업무 내용 34

[표 2-3]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의 추진전략과 핵심과제 35

[표 2-4] 소외계층 대상의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개요 37

[표 2-5] 제2차 인문정신문화진흥기본계획 중 위로와 공감을 위한 정책 내용 38

[표 2-6] 문화로 사회연대 추진체계 및 추진방법 40

[표 2-7] 외로움ㆍ고립은둔 종합대책 '외로움 없는 서울' 세부사업 45

[표 2-8] 부산시 외로움 예방을 위한 지원 방안 48

[표 2-9] 횡성군 외로움 정책 49

[표 3-1] 사회적 연결척도 사회적 연결지수 77

[표 3-2] 사회적 연결척도 유형별 특징 77

[표 3-3] 사회적 연결지수 영향요인 분석 79

[표 3-4] 인구집단별 사회적 연결지수 변인 차이 분석 81

[표 4-1] 전북도 외로움 대응 정책의 비전 설명 86

[표 4-2] 외국의 외로움 관련 행사 사례 104

[그림 2-1] 외로움과 유사 개념의 구분 22

[그림 2-2] 외로움과 정신건강 문제의 유형화와 측정도구 24

[그림 2-3] 문화적 치유의 범위 27

[그림 2-4] 사회적 연결 지표와 국가 간 수준 비교 33

[그림 2-5] 통합적 가족서비스 제공 35

[그림 2-6] 서울시 '외로움 없는 서울' 계획의 비전과 목표 44

[그림 2-7] K-외로움 대책 체계도 46

[그림 2-8] 대화기부 운동 홈페이지 홍보 47

[그림 2-9] 대화기부 운동 홈페이지 홍보 49

[그림 2-10] 군산문화재단의 문화로 사회연대 주관 사업 50

[그림 3-1] 전북도민의 외로움 관련 사회적 연결지수 74

[그림 3-2] 전북평균 및 전국평균 값의 세부 지표 비교 75

[그림 3-3] 사회적 연결척도 유형별 응답 분포 76

[그림 3-4] 사회적 연결척도 유형별 사회적 연결지수 76

[그림 4-1] 희망하는 사회적 관계의 유형화 85

[그림 4-2] 전북도 외로움 정책의 대상과 범위 85

[그림 4-3] 전북도의 외로움 대응 정책의 비전 체계 88

[그림 4-4] 매개 인력을 활용한 지역의료와 지역자산의 연계 모델(영국의 사회적 처방 사례) 97

[그림 4-5] 사회적 연결 척도에 따른 사회적 처방 예시 98

[그림 4-6] '사회적 처방 연계, 외로움 치유 보건 시범사업' 체계도 99

[그림 4-7] 완주 문화도시 사업의 문화 치유프로그램 사례(2023년) 105

[그림 4-8] 치유 효과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방향 사례; 원예치유 활동 106

[그림 5-1] 사회적 연결척도 유형별 응답 분포 111

[그림 5-2] 전북도의 외로움 대응 정책의 비전 체계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