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부
비파형 동검 13/수레국화 14/때죽나무 아래 16/튤립 피버 17/하회에 들다 18/척, 20/모래사람처럼 21/책비 22/모르쇠 24/활짝, 펴다 25/숨 쉬어라 26/연륜 28/아직도 직녀처럼 29/우울의 삽화 30

제2부
누가 나를 놓쳤을까 33/조문국을 다녀오다 34/수금포 36/우리들의 피노키오 37/마두금 38/금관총 40/암각화 41/나방이처럼 42/투석실을 엿보다 44/비스듬하다 45/수수께끼 46/엄마를 요약하다 47/소금호수 48

제3부
저 얼룩무늬 51/고분古墳 앞에서 52/까마귀를 읽는 밤 53/모른단다 54/우울을 만져보다 55/별리 56/적막의 등 57/덫 58/세한도를 찾아서 60/백비 61/찬란 62/농부 64/봄날 65/토정에 대하여 66

제4부
모란이 왔다 69/스노우 파파 70/불안의 아홉 꼬리 72/극락을 지나왔다 73/원추리 여인숙 74/우리들의 노파 76/어떤 오독 77/별무늬로 질금 내기 78/아름다운 장례식 80/꽃다지 성당 81/모리꾼 이야기 82/숨겨주다 84/지하도시를 지나며 85/시작詩作 86

제5부
확률적으로 나는 89/오이디푸스처럼 90/호두나무 91/버드나무 스투파 92/금동신발 94/모란 95/부메랑 효과 96/더 리더 97/저녁에 발을 씻다 98/걸인 99/바이, 갠지스 100/옛날엔 돈을 형이라 했다 101/너는 원래 새였단다 102/흰죽 104

해설 김효숙(문학평론가) 105

이용현황보기

누가 나를 놓쳤을까 : 권규미 시조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6460 811.135 -25-3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86461 811.135 -25-3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해설 엿보기]

인간은 누구나 갖가지 이유로 자기 정체성을 질문하면서 살아간다. 어느 날 이 세계에 우연히 던져졌다고 보는 실존주의자도, 신에 의지하여 자기 존재의 절대성을 믿는 자도 기원과 정체성 문제에서 예외인 자는 없어 보인다. 특히 실존주의자에게 인간은 조건 결정론보다는 과정의 존재인 점을 승인하는 차원에서의 사유 대상이다. 이 시집에 담긴 시인의 사유가 바로 그러하며 이것이 자기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된다.

나비가 나빌 확률 누가 봐도 백 프로니

꽃 또한 꽃일 확률 눈 감아도 자명하다

만물이 다 그일 확률은 진언처럼 단단한데

나는 지금 내게 몇 프로의 확률일까

시나브로 완연한 시간 속 잎새들을

모았다 흩었다 하는 나는 정말 누구일까
― 「확률적으로 나는」 전문

이 시에는 가변체인 인간에 대한 성찰이 깔려 있다. 자연은 늘 완벽해 보이지만 화자는 자신이 온전히 자신일 수 없다고 말한다. 자연에 비추어 자신이 누구인지 생각해 보는 현실에서 인간 밖의 자연은 모두 그 지위가 공평해 보인다. 나비와 꽃 같은 온갖 “만물이 다 그일 확률은 진언처럼 단단”하다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회의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의심이 자신의 본질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시는 존재론적 질문을 품고 있다. 자신이 온전히 자신일 수 있는 경우를 “확률”에 기댈 만큼 가변적인 인간인 것이다. 자연에 주어진 것이 단단한 존재감과 완연한 시간성이라면, 인간 존재에게 주어진 것은 가변적인 존재감과 불완전한 시간성이라는 인식 위에서 자기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이어간다.
이 점에서 이 시의 전반부는 생각할 줄 아는 인간을 자연과 대비하는 것으로 읽힌다. 후반부로 갈수록 시적 진실은 한층 심도를 더한다. 자연을 그 자체로 보지 않고 “모았다 흩었다” 하면서 통합과 해체를 반복하는데 이것은 시간 차로 움직이는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차원이다. 자연의 온전함에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수시로 변하는 의식을 성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인간의 그러함과 시인으로서의 자질을 동시에 발언한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는 자신이 누구일 수 있느냐는 가능성을 확률로 가늠할 수 있을 뿐이고, 누구나 시간에 예속된 존재로서 찰나적 변화 속에 놓여 있다.
― 김효숙(문학평론가)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적소에 뼈를 묻고 시간 밖을 떠돌다가
가파른 풍문 속을 뚜벅뚜벅 걸어 나와
푸른 깃 높이 차면서
석문을 열어젖혔다

부르튼 페이지마다 촘촘히 핀 삶의 내력
막막한 현의 연대를 세세생생 증언할 때
육탈한 어둠의 무늬가
꿈보다도 가벼웠다

땅속에 묻힌 채로 만 리 족히 보았을까
뼈에 새긴 나의 나라 드맑은 신록들과
누천년 신들의 음계,
이랑마다 뜨는 별을
― 「비파형 동검」 전문
때 거르면 죽는다고
때죽꽃이 피었다는

누군가의 시를 읽고, 참 시인들이란
어디든 찰떡 콩떡을 갖다 붙이기도 잘하지

나비의 날개 위에
코끼리를 붙여두는

대책 없는 아나키스트, 그 황홀한 무르팍에
희디흰 밥그릇 들고 다가앉는 울음으로

어느 봄 때죽나무 아래
앉아보고 알았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때는 잊지 말란 말이
허공을 총총히 딛고 꽃차례로 온다는 걸
― 「때죽나무 아래」 전문
구름과 바람의 페이지는 자주 접고
안개 속 몽상의 숲을 유령처럼 떠돌았다

그렇게 대책이 없는
완고한 아이였다, 나는

물과 나무의 시간, 그 어디쯤서 태어나
반은 물이고 반은 나무인 불가사의한 존재

그을린 수피를 뜯어
어디에든 붙여보지만

얕고 말랑한 심리학적 추론에 따르자면
태생적 불안심리의 한 패턴이었을 거라고

나의 나 그 적막을 넘어
늘 다른 곳을 바라보는

막막한 유폐의 나날들은, 그러므로 나는
소문에 두 발이 묶인 쓸쓸한 책비였다

제 생이 적소임을 잊은
한 마리 거미처럼
― 「
책비」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