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조선전기) 오경학의 경세적 이념과 제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7163 181.15 -25-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87164 181.15 -25-9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조선경학사상사를 구성하는 문화적 지평의 특수성 해명

△ 책의 구성

본 저서는 『조선시대 오경학의 경세적 이념과 제도』와 『조선시대 오경학의 실천적 분화와 비판』이란 제목으로 연구과제 2단계 2년 동안의 연구 성과를 두 권의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 『조선시대 오경학의 경세적 이념과 제도』는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이념과 실천’이라는 주제로 구성하고 여섯 편을 수록하였다. 제1편은 ‘이정(二程) 시경학의 조선시대 수용 양상 -조선시대 시경학에서의 정자학과 주자학의 길항(拮抗)-’, 제2편은 ‘권근의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 나타난 상수학적 방법론 -오징(吳澄)의 『역찬언(易纂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3편은 ‘조선 초기 경학사상사에서 권근의 『예기천견록』 중 「악기」편이 갖는 의의’, 제4편은 ‘퇴계 이황의 『경서석의』의 저변에 대한 일고’, 제5편은 ‘조호익 『역상설(易象說)』의 역학사상과 그 위상’, 제6편은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 -『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이다.
제2부는 ‘경세와 제도’라는 주제로 구성하고 여섯 편을 수록하였다. 제1편은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의 화이관(華夷觀) 연구 -『공양전(公羊傳)』의 화이관을 중심으로’, 제2편은 ‘『서천견록』을 통해 본 권근의 서경관 -근엄(謹嚴)과 흠(欽)을 중심으로-’, 제3편은 ‘권근 『예기천견록』 「곡례」편의 체제에 관한 연구 -『의례경전통해』와 『예기찬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4편은 ‘성현(成俔)의 『춘추』 이해와 ‘문명 대 야만’의 구도 -성현의 「왕자불치이적」 분석을 중심으로’, 제5편은 ‘조선시대 경연(經筵)에서 『상서(尙書)』 강독의 의미 -조선 전기 경연 자료를 중심으로’, 제6편은 ‘『조선왕조실록』의 『춘추』 기사 분석과 국왕별 용례’이다.

△ 책의 간략 소개
본 저서는 조선경학사상사를 구성하는 여러 학자, 학파적 이론을 주류와 비주류, 중심과 주변 같은 위계적 평가를 넘어 수평적⋅상대적 시각에서 해명하였다. 또한 학자 또는 학파가 처했던 시대적, 문화적 지평의 특수성에 따른 문화다원론적 또는 상호 문화적 대응의 관점에서 학설의 고유하고 특수한 의미를 해명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상대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점에서 중국 또는 일본과 대비되는 조선의 고유한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조선경학사상사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경학사상사를 사상이 형성되는 특수한 문화적 배경에서 해명하고, 형이상학, 심성론, 실천론이 시대에 따라 동요하고 전환하는 양상을 분석하며, 경전해석을 둘러싼 여러 지평 개념을 통하여 이론적 다원성을 해명한 점에 독창성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조선 전기부터 조선 후기 학자 또는 학파에 대한 이해와 경전 주석과 해설을 통하여 각각 처한 시대의 문화적 지평의 특수성에 따라 문화다원론적 또는 상호문화적 대응의 관점에서 각각의 학설이 지니는 고유하고 특수한 의미를 해명하였다. 따라서 대부분 경전에 대한 단순한 해석 연구보다 특정한 경세론적 또는 형이상학적 이론을 제시한 학파의 연관성, 수양론적 의미, 정치 문화적 양상 등과 연관하여 검토하고, 여기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탐구한 점에서 학문적 의미를 갖는다.


필진 소개 (가나다순)

강경현(姜卿顯) :
연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퇴계 이황의 리(理)철학: 지선(善) 실현과 자기완성』(2022)이 있고, 번역서로 『퇴계 선생이 엮은 옛사람들의 마음 닦기』(공역)가 있으며, 「천명(天命)에 대한 조선유학의 주목과 퇴계(退溪) 해석의 철학사적 의의」(2017) 등의 논문이 있다. kangkh@skku.edu

김수경(金秀炅) :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국립공주대학교 한문교육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시경학개요(韓國詩經學槪要)』(2021)(공저)가 있고, 번역서로 『고적정리개론』(2013)(공역)이 있으며, 「이정(二程) 시경학의 조선시대 수용 양상」(2021), 「다산 정약용의 ‘상(象)’―언어 인식과 『시』 해석 구도를 중심으로」(2023) 등의 논문이 있다. dansill@hanmail.net

엄연석(嚴連錫) :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전기역철학사』(2013)가 있고, 번역서로 『심경주해총람(상・하)』(공역)이 있으며, 「여헌 역학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2021), 「최명길의 「중용관견」에 나타난 경학적 특징과 문화다원론적 지평」(2020) 등의 논문이 있다. yseom05@nate.com

윤상수(尹相洙) :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논문으로 『科挙の学から経史の学へ―黄宗羲からみた明末清初の学術転換の一様相―』(박사논문, 2011), 「명유학안(明儒學案)의 양명학관(陽明學觀) 재고」(2012), 「한원진의 인심도심론」(2022)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명유학안(明儒學案) 역주(譯註)』 1(공역, 2023) 등이 있다. vigo73@gmail.com

이경구(李坰丘) :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안동김문 연구』(2007),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2009), 『조선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2013), 『조선, 철학의 왕국 -호락논쟁 이야기』가 있고, 다수의 논저와 역서가 있다. neost35@hallym.ac.kr

이원석(李遠碩) :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저로 『성리와 윤리』(2020)가 있고, 번역서로 『인학본체론』(2021), 『주희의 역사세계』(2015) 등이 있으며, 「정조와 윤행임의 「대학장구 서문」 해석과 인물성동이 논쟁」(2021), 「성현(成俔)의 『춘추』 이해와 문명 -야만의 구도」(2021) 등의 논문이 있다. wonseok.lee73@gmail.com

이해임(李海任) :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상산고 철학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 정상과 이상의 대결 역사』(공저, 2019)가 있고, 「허형(許衡)과 정몽주(鄭夢周)의 화이관(華夷觀) 연구」(2021), 「최명길(崔鳴吉)과 조익(趙翼)의 경전 해석 경향과 그 의의: 『사문록』, 「맹자기의(孟子記疑)」를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yihaem@gmail.com

임재규(林在圭) :
중국 복단대학 역사학과에서 역사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객원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다산 정약용의 역학이론』(2019), 『한국사회와 종교학』(공저, 2017), 『화해의 마음으로 세상을 보다』(역서, 2012) 등이 있고, 「주역 역사 형성과 서법의 상관관계」(2018), 「정약용 효변론의 연원에 대한 시론적 고찰」(2013)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sanshan@hanmail.net

조정은(趙貞恩) :
런던대학교 소아스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최명길의 사문록 역해와 심층 연구』(공저, 2022)가 있고, 「권근의 『예기천견록』 중 「악기」편 분석 -체재 재편과 독해 관점을 중심으로」(2021), 「노자의 역설과 무위통치」(2024) 등의 논문이 있다.
jungeunjo@gmail.com

한정길(韓正吉) :
연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공저, 2018) 등이 있고, 역서로 『전습록』(공역, 2001) 등이 있으며, 「태주학파 왕간의 ‘안신’설에 기초한 경세사상」(2019), 「정제두 「대학설」의 특성과 그 경학사상사적 의미」(2019), 「왕수인의 경세사상」(2017) 등의 논문이 있다. philohan@hanmail.net

함영대(咸泳大) :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상국립대 한문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성호학파의 맹자학』(2012), 『박세당 사변록 연구』(2020, 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 『이천년 맹자를 읽다 -중국맹자학사』(2016, 역저), 『반계유고』(2017, 공역), 『맹자요의』(2020, 공역) 등이 있으며, 「오학론으로 읽는 경전학의 이면」(2021) 등의 논문이 있다. ydham@gnu.ac.kr

황병기(黃昞起) :
연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경대학교 동양학과 특임교수이다. 저서로 『정약용의 주역철학(연세국학총서 96)』(2014), 『공자혁명: 2000년 전의 유교, 현대 교육에 메스를 대다』(공저, 2015) 등이 있고, 역서로 『역주 대학공의 대학강의 소학지언 심경밀험』(공역, 2014) 등이 있으며, 「여헌 장현광의 도맥과 퇴계학 전승의 문제」(2016) 등의 논문이 있다. hw753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