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7
요약 4
Ⅰ. 연구 개요 2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3
1.1. 연구의 추진 배경 23
1.2. 연구의 목적 2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5
2.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5
2.2. 연구의 추진 전략 및 방법 26
3. 연구의 기대 성과 및 활용 방안 27
3.1. 연구의 기대 성과 27
3.2. 연구의 활용 방안 28
Ⅱ. 메타리터러시 관련 제 이론 29
1. 메타리터러시의 등장 배경 및 제 이론 30
1.1. 메타리터러시의 등장 배경 및 교육의 필요성 30
1.2. 메타리터러시 제 이론 32
2. 정보리터러시 등 유사 리터러시 47
2.1. ACRL의 정보리터러시 47
2.2. 영국의 정보리터러시와 디지털리터러시 61
2.3.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리터러시 79
2.4. 싱가포르의 디지털 미디어와 정보리터러시 프레임워크 85
2.5. 유럽연합집행위원회의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 92
2.6.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의 디지털리터러시 프레임워크 94
2.7. ALA의 디지털리터러시 98
2.8. 리터러시 역량 요소 종합과 성취기준 비교분석 99
3. 메타인지의 개념과 제 이론 110
3.1. 메타인지의 정의 110
3.2. 메타인지의 필요성 113
3.3. 메타인지의 범주화 115
3.4. 제 이론 종합 118
4. 미래 역량 체계 모델 119
4.1. 대학의 역량 체계 모델 121
4.2. 기업의 역량 체계 모델 127
4.3. 정부의 역량 체계 모델 130
4.4. 시사점 149
Ⅲ. 대학도서관의 메타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154
1. 대학도서관 사서 인식조사 155
1.1. 설문조사 개요 155
1.2. 분석 결과 157
2. 대학 및 대학도서관 관계자 인식조사 204
2.1. 서면 인터뷰 개요 204
2.2. 분석 결과 206
2.3 시사점 225
Ⅳ. 대학도서관의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사례 231
1. 개요 232
2. 해외 대학도서관 교육 현황 232
2.1. 북미 - 미국과 캐나다 대학도서관 232
2.2. 유럽과 호주권 254
2.3. 시사점 260
3. 국내 대학도서관 교육 현황 263
3.1. 서울 및 수도권 263
3.2. 비수도권 270
3.3. 시사점 277
Ⅴ. 메타리터러시 관련 진단도구 현황 및 사례 279
1. 해외 리터러시 진단도구 사례 280
1.1. 대학생 및 성인을 위한 진단도구 사례 280
1.2. 초ㆍ중등 학생을 위한 진단도구 사례 289
2. 국내 리터러시 진단도구 사례 290
2.1. 대학생 및 성인을 위한 진단도구 사례 290
2.2 초ㆍ중등 학생을 위한 진단도구 사례 296
3. 시사점 303
Ⅵ. 메타리터러시 역량 체계(안)과 검증 306
1. 메타리터러시 역량 체계(초안) 307
1.1. 메타리터러시의 명칭과 개념 정의 307
1.2. 메타리터러시 프레임워크와 역량 체계(초안) 308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315
2.1. 조사 대상 및 방법 315
2.2. 1, 2차 델파이 조사의 주요 결과와 반영 사항 316
3. 역량 체계(안)의 타당성 검증 333
3.1. 조사 대상 및 방법 333
3.2. 조사 결과 334
Ⅶ. 메타리터러시 역량 체계와 활용 방안 363
1. 메타리터러시 역량 체계(최종안) 364
1.1. 메타리터러시의 명칭과 개념 정의 364
1.2. 메타리터러시 프레임워크와 역량 체계 365
2. 메타리터러시 역량 체계 활용 방안 373
2.1. 진단도구 개발 방향성 및 방법 373
2.2. 메타리터러시와 교육서비스 연계 378
2.3. 메타리터러시와 고등교육 학습자의 기초역량 연계 381
참고문헌 391
Abstract 399
[부록 1] 대학도서관 직원 대상 설문지 402
[부록 2] 대학 관계자 대상 설문지 411
[부록 3]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1차) 418
[부록 4]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2차) 439
판권기 455
[그림 Ⅰ-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5
[그림 Ⅰ-2] 연구 전략 및 방법 27
[그림 Ⅱ-1] 메타리터러시의 학습자 모형 35
[그림 Ⅱ-2] ACRL(2000)의 정보리터러시 역량 기준 구조도 50
[그림 Ⅱ-3] ACRL(2016)의 정보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구조도 56
[그림 Ⅱ-4] 정보리터러시 환경(Secker & Coonan, 2011) 62
[그림 Ⅱ-5] ANCIL의 교육과정 구조도 64
[그림 Ⅱ-6] JISC(2014)의 디지털리터러시 구성요인 70
[그림 Ⅱ-7] JISC(2024)의 디지털 역량 개발의 6가지 요소 71
[그림 Ⅱ-8] CILIP의 전문적 지식과 스킬 기반(PKSB) 72
[그림 Ⅱ-9] Jisc의 조직을 위한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 모형 79
[그림 Ⅱ-10] UNESCO(2013)의 2013 MIL 개념 구성요소 80
[그림 Ⅱ-11] UNESCO(2021)의 2021 MIL 개념 구성요소 81
[그림 Ⅱ-12] 유럽연합집행위원회의 DigComp 구성요소 93
[그림 Ⅱ-13] 미국 Virginia Tech 도서관의 디지털리터러시 프레임워크 95
[그림 Ⅱ-14] Virginia Tech 도서관의 디지털 프레임워크 성취기준 구조도 96
[그림 Ⅱ-15] K-CESA 핵심역량 모델 122
[그림 Ⅱ-16] 인재상별 순위 변화 추이 129
[그림 Ⅱ-17] 직급별 역량모델 135
[그림 Ⅱ-18] 고용 가능성 기술을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 140
[그림 Ⅱ-19] 클리어링하우스 역량 모델 단계 146
[그림 Ⅳ-1] 매릴랜드 대학교 도서관의 Research & Learning 서비스 항목 234
[그림 Ⅳ-2] 매릴랜드 대학교 도서관의 도서관 행사 달력 - 교육 사례 235
[그림 Ⅳ-3] UCLA 대학교 도서관의 Carpetries Workshop 안내 237
[그림 Ⅳ-4] UCLA 대학교 도서관의 Wi+RE 서비스 소개 홈페이지 238
[그림 Ⅳ-5] 켄트주립대 도서관 교육 메뉴-세부항목 240
[그림 Ⅳ-6] 켄트주립대 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 메뉴-세부항목 241
[그림 Ⅳ-7] 미시건 대학교 강의 및 교육과정 지원 서비스 안내 242
[그림 Ⅳ-8] 미시건 대학교 도서관 워크숍 및 학점제공강좌 안내 243
[그림 Ⅳ-9] 워싱턴 대학교 도서관 Teaching&Learning Service 246
[그림 Ⅳ-10] 워싱턴 대학교 도서관 교육 및 학습 도구 탐색 경로 사례 247
[그림 Ⅳ-11] 워싱턴 대학교 도서관 파트너십 성공사례: 교과목 연계 융합사례 248
[그림 Ⅳ-12] 워싱턴 대학교 도서관 Open Scholarship Commons 제공 정보자원 및 교육 주제 및 도구 249
[그림 Ⅳ-13] 버지니아공대 도서관 Research & Teaching 서비스 250
[그림 Ⅳ-14] 버지니아공대 디지털리터러시 프레임워크 251
[그림 Ⅳ-15] 토론토 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 252
[그림 Ⅳ-16] 에섹스 대학교 도서관 정보리터러시 교육 자료 구성 사례 255
[그림 Ⅳ-17] 호주 국립대학교 도서관 Research & Learn 서비스 주제 259
[그림 Ⅳ-18] 호주 국립대학교 도서관 Digital Literacy Training 교육 주제 및 사례 260
[그림 Ⅳ-19] 2024년 8월 현재 앞으로 진행될 Carpentries Workshop 사례 안내 261
[그림 Ⅳ-20] 서울대학교 이용 교육 안내 캘린더 264
[그림 Ⅳ-21] 서울대학교 학과별 가이드 - 법학전문대학원 사례 265
[그림 Ⅳ-22] 연세대학교 도서관 이용 교육 안내 캘린더 268
[그림 Ⅳ-23] 연세대학교 도서관 2024 여름 DX 코딩캠프 교육 사례 270
[그림 Ⅳ-24] 경북대학교 도서관 연구지원가이드 중 데이터분석 및 시각화 사례 271
[그림 Ⅳ-25] 경북대학교 도서관 연구력강화 Summer School 사례 272
[그림 Ⅳ-26] 부산대학교 도서관 연구학습지원 메뉴 세부 항목 274
[그림 Ⅳ-27] 부산대학교 도서관 SAM 가이드 사례 275
[그림 Ⅴ-1] 초등학생용 ICT리터러시 검사 예시 문항 299
[그림 Ⅴ-2] 수행형 ICT리터러시 온라인 검사 흐름도 301
[그림 Ⅵ-1] K-메타리터러시 프레임워크 308
[그림 Ⅶ-1] 대학생을 위한 메타리터러시 프레임워크 366
[그림 Ⅶ-2] 메타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로드맵 374
[그림 Ⅶ-3] 메타리터러시 진단 방식 37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