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창녕 우포늪 생태계보전지역 보전ㆍ관리대책수립 / 환경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환경부, 200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75
제어번호
NONB1200728060
주기사항
연구기관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책임연구원 : 문석기
에코텍엔지니어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요약문 8

1장. 서론 38

1. 과업의 배경 39

2. 과업의 목적 40

3. 과업의 범위 41

가. 공간적 범위 41

나. 내용적 범위 42

다. 시간적 범위 42

2장. 선행연구 및 사례고찰 43

1. 이론적 고찰 44

가. 습지의 정의 44

(1) 일반적인 정의 44

(2) 국제적 협약차원에서의 정의 45

(3) 국내법에서의 정의 45

나.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 45

(1) 보전지역의 개념과 지정의 필요성 45

(2) 보전지역의 지정조건 46

(3) 생물권보전지역의 기능과 용도지역 46

(가) 보전지역의 기능 46

(나) 용도지역의 구획 47

(4) 보전지역의 지정과정 49

2. 외국의 습지관련정책 50

가. 미국 50

(1) 습지관련 법규 및 정책 50

(2) 비규제적 습지관리수단 51

(3) 기타의 습지관리수단 52

나. 일본 53

(1) 개요 53

(2) 습지의 현황 53

(3) 습지의 보전과 관리 54

(가) 자연보전에 관한 법률 54

(나) 습지보전전략 54

(다)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54

3. 사례연구 56

(가) 미국 56

1) 캘리포니아 베이타운 자연센터(California Baytown Nature Center) 56

2)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57

3) 볼사치카 보전사례 61

4) 몬타나 지역의 습지 평가 방법 63

(나) 일본 64

1) 이즈누마/우치누마 습지 64

가. 시사점 68

(1) 습지관련정책 68

(2) 습지관리프로그램 68

3장. 보전관리방안수립을 위한 준거틀 70

1. 보전관리대책수립과정 71

2. 습지기능 평가 72

가. 습지의 기능 72

나. 기능 평가 방법 73

다. 변수 설정 및 수정 HGM 기법 구축 73

(1) Temporarily Store Surface Water 73

(가) 기능 정의 73

(나) 모델 및 변수 74

(2) Maintain Characteristic Subsurface Hydrology 74

(가) 기능 정의 74

(나) 모델 및 변수 75

(3) Nutrient cycling 75

(가) 기능 정의 75

(나) 모델 및 변수 76

(4) Remove and Sequester Elements and Compounds 76

(가) 기능 정의 76

(나) 모델 및 변수 76

(5) Retain particulates 77

(가) 기능 정의 77

(나) 모델 및 변수 77

(6) Export Organic Carbon 77

(가) 기능 정의 77

(나) 모델 및 변수 77

(7) Maintain characteristic plant community 78

(가) 기능 정의 78

(나) 모델 및 변수 78

(8) Provide Habitat for Wildlife 78

(가) 기능 정의 78

(나) 모델 및 변수 78

4장. 우포늪의 생태계 80

1. 우포늪의 변화과정 81

가. 우포늪의 생성과 변화 81

(1) 우포늪의 개황 81

(2) 우포늪의 생성기원 82

나. 우포늪의 변화 82

다. 우포늪 관련조치 85

라. 변화과정에 있어서의 이슈 86

2. 대상지 현황분석 87

가. 자연환경 87

(1) 기상ㆍ기후 87

(2) 지형ㆍ지세 88

(3) 표고 88

(4) 경사 88

(5) 지질 90

(6) 현존 식생 90

(7) 토지피복분류 91

(8) 우포늪의 자원 및 경관 94

나. 우포늪의 생물상 99

(1) 식물상 및 분포 99

(가) 식물상 99

1) 문헌조사결과(1997년 이전) 99

2) 본조사결과 (2001년 현재) 100

3) 식생분포 102

4) 침수식물 군락 107

5) 부수식물 군락 107

6) 부엽식물 군락 108

7) 정수식물 군락 109

8) 호변림 군락 111

(나) 식물상 종합 111

(2) 동물상 114

(가) 수서곤충상 114

(나) 조류상 116

(다) 포유류 121

(라) 어류 122

(마) 양서류상 125

(바) 파충류상 125

(3) 우포늪 생태계 현황 종합 126

(가) 식물상 126

(나) 동물상 128

(다) 우포늪 중요생태자원 보전의 이슈 129

다. 수질, 수리 및 수문 132

(1) 수질 132

(가) 수온(단위: ℃) 132

(나) 수소이온농도(pH) 133

(다) 용존산소(DO) 133

(라) 전기전도도(EC) 133

(마) 탁도 134

(바) 수질 종합 135

(사) 수리ㆍ수문 136

(아) 유수방향 137

(자) 토평천의 유역특성 137

(2) 유량 137

(3) 시사점 140

라. 인문ㆍ사회환경 141

(1) 지역사회 개괄 141

(2) 교통 및 동선 142

(3) 인구현황 143

(4) 역사ㆍ문화ㆍ생활환경 143

(5) 주변 토지이용 현황 144

(6) 토지용도지역 144

(7) 토지소유 및 매입현황 144

(8) 관련계획의 검토 145

(가) 상위계획 검토 145

(나) 관련계획검토 147

(9) 관련법규검토 149

(가) 자연환경보전법 149

(나) 습지보전법 151

마. 종합분석 152

3. 우포생태계보전의 이슈 156

가. 제한성 156

나. 기회성 157

5장. 기능별 보전가치 평가결과 159

1. 습지기능평가 160

가. 변수 적용 결과 160

나. 각 기능별 지수값 160

(1) Maintain characteristic plant community 160

(2) Provide Habitat for Wildlife 160

다. 기존 사례와의 비교 161

2. 보전가치 평가 162

3. 시사점 163

가. 계획에의 시사점 163

나. 조각난 습지의 복원 163

6장. 기본구상 및 기본계획 165

1. 기본구상 166

가. 기본전제 166

나. 토지이용구상 166

(1) 보전지역의 개념과 공간구분 166

(2) 관련법에 의한 토지이용 구분 167

(가) 자연환경보전법 167

1) 지역설정기준 167

2) 대안평가 167

(나) 습지보전법 170

1) 지역설정 기준 170

2) 대안평가 170

다. 종합 토지이용구분 172

라. 물리적, 생태적수용력 산정 175

(1) 물리적 수용능력(Physical Carrying Capacity, PCC) 175

(2) 실제수용능력(Real Carrying Capacity, RCC) 176

(3) 허용가능한 수용력(Effective or Permissible Carrying Capacity) 176

마. 활동구상 178

바. 탐방프로그램 179

(1) 탐방객 성향분석 179

(2) 탐방프로그램 179

2. 기본계획 183

가. 기본계획의 수립방향 183

나. 동선계획 183

(1) 기본원칙 183

(2) 접근로 184

(3) 자연탐방로 184

다. 시설계획 185

(1) 기본방향 185

(2) 기시설 이용방향 185

(3) 시설계획 186

(4) 기본계획도 189

(5) 부분상세도 190

7장. 부분별계획 193

1. 습지 및 생물서식처 기능향상계획 194

가. 습지기능향상 194

(1) 습지의 훼손 유형 194

(2) 생태계복원의 개념 195

(3) 습지복원의 방향 196

(4) 습지기능개선을 위한 방법 198

나. 서식처 관리계획 203

(1) 서식처의 관리에 있어 주요 이슈 203

(2) 주요 이슈에 대한 관리대책 204

(가) 육화된 습지 204

(나) 외래종에 대한 관리 205

(다) 생물서식처 관리대책 206

2. 수질/수문관리계획 216

가. 수질/수문관리의 필요성 216

나. 비점오염원의 유형과 이슈 216

다. 수질개선기법의 종류 및 검토 217

(1) 수질개선기법의 종류 217

(2) 비점오염원에 적용가능한 기법 217

라. 오염유형별 수질개선기법고찰 218

(1) 정주지역 218

(2) 농업계 219

(3) 산림(임야) 220

(4) 도로 및 주차장 221

(5) 축사지역 223

(6) 기타 224

마. 수질개선방안 및 대책 225

(1) 유역 내 관리대책 225

(2) 습지지역 관리대책 225

(3) 유입, 유출수의 오염관리대책 226

1) 유지유량 226

2) 유출수의 최소화(관리) 226

3) 유역하천의 정화 227

4) 관련기관간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 227

(4) 쓰레기에 따른 수질오염대책 227

3. 환경해설계획 228

가. 현황 228

나. 환경해설의 개념 228

(1) 개념과 기능 228

(2) 환경해설의 유형과 특성 228

(가) 장소에 따른 구분 228

(나) 전달방법에 따른 구분 229

다. 환경해설 프로그램 229

(1) 이용대상 및 방법 229

(2) 프로그램의 계획과 운영 229

(3) 탐방객안내소에서 환경해설 230

(가) 탐방객안내소의 운영 230

(나) 탐방객안내소의 전시 유형 및 프로그램 231

(4) 자연관찰로에서의 환경해설 231

(가) 환경해설의 원칙 231

(나) 자연관찰로 환경해설 프로그램 232

1) 노선별 프로그램 232

2) 연령을 고려한 프로그램 233

3) 계절을 고려한 프로그램 234

4. 시설계획 235

가. 기본방향 235

나. 탐방객안내소 236

(1) 개념과 기능 236

(2) 장소선정 236

(3) 시설평면공간구성 236

(가) 종합전시관 237

(나) 온실내부공간 238

다. 자연관찰로계획 240

(1) 현황 240

(2) 자연관찰로의 기능 240

(3) 자연관찰로의 유형 240

(4) 자연관찰로의 설계기준 240

(5) 자연관찰로의 노선 241

라. 안내판 및 환경해설판 242

(1) 현황 242

(2) 안내판 및 환경해설판 계획 242

마. 기반시설 245

(1) 도로 및 포장계획 245

(가) 기본방향 245

(나) 배수관로계획 245

바. 기타시설 246

(가) 태양열 이용 246

(나) 태양광이용 246

(다) 기타 시설 246

5. 연출계획 248

6. 지역주민 지원대책 250

가. 지역주민의 갈등의 현황 250

나. 생태계보전지역 지정 전ㆍ후 민원의 분석 251

(가) 주요민원 내용분석 251

(나) 기타 252

다. 발생민원 해결방안 검토 253

라. 주민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 255

7. 모니터링계획 256

가. 현황 256

나. 모니터링계획 256

(1) 개념과 기능 256

(2) 모니터링 주체 256

(3) 모니터링 운영방법 256

(4) 내용 및 방법 257

8. 관리운영계획 261

가. 토지이용관리 261

나. 자원관리 261

(1) 현황 261

(2) 관리운영조직의 구성 262

다. 이용자관리 264

라. 시행계획 264

8장. 투자계획 265

1. 사업투자계획 266

2. 연차별 투자계획 270

3. 재원조달방법 271

9장. 결론 및 제언 272

인용문헌 및 참고문헌 274

[표 1] 과업대상지역 중심지의 규모 41

[표 2] 과업의 내용적 범위 42

[표 3] 미국 몬타나 지역의 강주변(riparian) 습지를 대상으로 한 습지의 기능 평가 예시 63

[표 4] 수생서식처의 확장과 복원을 통한 아즈누마/우치누마 습지에서 동물보호계획 65

[표 5] 이즈누마/우치누마에서 수생식물의 복원과 번식을 통한 식물보호계획 65

[표 6] 습지의 기능 (자료 : 구본학, 2002) 72

[표 7] 연대별 우포늪 변화과정 83

[표 8] 우포늪 주변의 기상종합분석(1993-1999, 8년간) 87

[표 9] 월별 기상현황(2000년도) 88

[표 10] 우포늪에서 출현한 수생식물 및 습생식물 (조사일 2001년 8월 3 - 5일) 100

[표 10-1/13] 우포늪에서 출현한 수생식물 및 습생식물 종합(여름철 기준) 112

[표 10-2/14] 우포늪의 수서곤충상(창녕군, 1997) 114

[표 11] 우포늪 조류 종다양성(본조사 결과) 117

[표 12] 우포늪의 조류상 118

[표 13] 연대별 조류상 종합(문헌조사 결과 포함) 119

[표 14] 우포늪의 포유류상 종합 121

[표 15] 우포늪의 어류상 종합 123

[표 16] 우포ㆍ목포늪지대 주변에서 확인된 양서류종합 125

[표 17] 우포늪 파충류 종합 125

[표 18] 연대별 생물자원 종 수 변화추이 126

[표 19] 본 조사에서 추가 기록된 식물종 127

[표 20] 우포늪의 중요보호종 및 생태계교란종 130

[표 21] 수질조사 지점 132

[표 22] 수질조사 결과 135

[표 23] 우포늪 유입하천의 주요지점별 유역 형상 137

[표 24] 토평천 유역 유출량 일반현황 (단위 : ×106㎥/year) 139

[표 25] 토평천 하구 및 우포늪 유입부 유량(단위 : ㎥/sec) 139

[표 26] 우포늪 주변 현황 141

[표 27] 우포늪 주변 인구 현황 143

[표 28] 토지이용 현황 (단위 : ha) 144

[표 29] 법정용도지구 지정면적 144

[표 30] 생태계보전지역내 토지소유 현황 145

[표 31] 현황종합분석표 152

[표 32] 우포늪의 평가 162

[표 33] UNESCO MAB과 우리나라 보전법상 개념적 관계 172

[표 34] 토지이용선정기준 및 범위 172

[표 35] 토지이용구상별 조치사항 174

[표 36] 탐방시나리오 구상안 181

[표 37] 프로그램의 예 182

[표 38] 기본계획 수립방향 183

[표 39] 동선계획 내용 183

[표 40] 기존시설물 이용방향 185

[표 41] 도입시설 186

[표 42] 습지훼손유형과 특성 194

[표 43] 습지복원의 유형별 특징 및 적용 196

[표 44] 유형별 습지 복원계획시 고려사항 197

[표 45] 습지의 기능개선을 위한 계획요소 198

[표 46] 우포늪 주요 생물서식처 관리의 이슈 203

[표 47] 인간활동에 따른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204

[표 48] 식물 외래종 관리방법 212

[표 49] 식물분류군별 식생관리 기법 212

[표 50] 우포습지 양서류의 일년 활동주기(형태) 214

[표 51] 유역권 비점오염원의 유형과 원인 216

[표 52] 수질개선기법의 종류 217

[표 53] 비점오염원 유형별 적용가능한 수질정화기법 217

[표 54] 오염유형에 따른 수질관리대책 225

[표 55] 환경해설프로그램의 계획과 운영 230

[표 56] 탐방객안내소 환경해설적 기능과 역할 230

[표 57] 탐방객안내소 환경해설계획 231

[표 58] 자연관찰로 환경해설매체 232

[표 59] 자연관찰로 및 프로그램 232

[표 60] 연령층을 고려한 프로그램 사례 233

[표 61] 계절별 프로그램 234

[표 62] 기존시설물 이용방향 235

[표 63] 탐방객안내소 내부공간구성 236

[표 64] 종합전시관의 내부공간 구획 237

[표 65] 온실내부공간 구획 239

[표 66] 관찰로의 유형과 특성 240

[표 67] 안내시설물의 종류와 기능 242

[표 68] 환경해설안내판 내용 구성(예시) 243

[표 69] 도로구분 및 포장계획 245

[표 70] 배수로의 종류 및 개념 246

[표 71] 기타시설 설치방향 247

[표 72] 적용예 1 248

[표 73] 적용예 2(기획상품류) 248

[표 74] 지역주민 민원발생 접수내용 250

[표 75] 연도별 발생빈도 분석 251

[표 76] 연차별 토지매입계획 252

[표 77] 보상금액 산정내용 252

[표 78] 주민지원시설 및 참여 프로그램 255

[표 79] 자동계측시스템의 사양 258

[표 80] 수동계측설비 최소사양 258

[표 81] 주요 항목별 모니터링 내용 및 방법 259

[표 82] 토지이용별 제한행위 및 예외 261

[표 83] 관리운영조직별 역할 263

[표 84] Eco-ranger의 구성과 역할 263

[그림 1] 과업대상지 위치(출처: 창녕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41

[그림 2] 생물권보전지역의 기능 47

[그림 3] 보전지역의 구획 (UNESCO MAB 개념) 48

[그림 4] 보전지역의 지정과정 49

[그림 5]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지역도 57

[그림 6]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의 주요 캠프사이트와 시설 58

[그림 7]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의 주요시설 및 자원 60

[그림 8] 볼사치카의 석양 61

[그림 9] 볼사치카의 삽화 61

[그림 10] 보전관리대책 수립과정 71

[그림 11] 우포늪의 항공사진(출처 : 환경부) 81

[그림 12] 표고분석도 89

[그림 13] 경사분석도 89

[그림 14] 현존식생도 91

[그림 15] 우포늪 토지피복도 I (1989년 10월 09일 Landsat TM 촬영) 93

[그림 16] 우포늪 토지피복도 II (1998년 10월 2일 Landsat TM 촬영) 93

[그림 17] 우포늪 주변의 현황 사진 94

[그림 18] 우포늪 주변의 전경 95

[그림 19] 목포늪 주변의 현황 사진 96

[그림 20] 쪽지벌 주변의 현황 사진 97

[그림 21] 사지포의 전경 98

[그림 22] 현존식생도(2001. 8. 4) 106

[그림 23] 조사 수역에서 출현한 종의 생활형 종구성비 122

[그림 24] 출현종의 과별 종구성비 123

[그림 25] 주요 생태자원의 개략분포도 129

[그림 26] 우포늪주변의 하계망 136

[그림 27] 우포늪 주변의 수문 관측망 (출처 : 낙동강 홍수통제소) 138

[그림 28] 유량의 개념 139

[그림 29] 우포늪의 수위변화도 140

[그림 30] 행정구역도 142

[그림 31] 우포늪주변 교통동선현황 142

[그림 32] 미국에서 수행된 HGM모델 적용사례 161

[그림 33] 훼손된 습지 현황 및 복원이 필요한 습지 164

[그림 34] 자연환경보전법-대안 1 168

[그림 35] 자연환경보전법-대안 2 169

[그림 36] 자연환경보전법-대안 3(최적안) 169

[그림 37] 습지보전법-대안 1 171

[그림 38] 습지보전법-대안 2 171

[그림 39] 습지보전법-대안 3 172

[그림 40] 최종 토지이용 및 지역지구 지정계획 173

[그림 41] 토지이용에 따른 허용활동 178

[그림 42] 토지이용구분에 따른 허용행위 및 시설의 범위 178

[그림 43] 탐방성향 분석 179

[그림 44] 동선계획도 184

[그림 45] 기본계획도 189

[그림 46] 거점시설지 부분상세도 190

[그림 47] 제 1 부거점시설지 부분상세도 191

[그림 48] 제 2 부거점시설지 부분상세도 192

[그림 49] 복원 개념도 195

[그림 50] 우포지역 습지복원 계획도 197

[그림 51] 습지기능개선을 위한 방법 199

[그림 52] 호안안정화 및 다양화 예시(출처: UNDP, 2000) 200

[그림 53] 훼손유형별 습지생태계의 복원시뮬레이션 201

[그림 54] Enhanced Wetland 부분계획도 202

[그림 55] 조류관찰시설 207

[그림 56] 수위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 209

[그림 57] 뗏목의 지지대 구성 210

[그림 58] 붉은거북제거 방법예시 213

[그림 59] 정주지역 오염배출 218

[그림 60] 침투조의 구조(출처: 경기도보전환경연구원, 2001) 219

[그림 61] 침투 및 저류지 혼합형(출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001) 219

[그림 62] 농업배수지역 오염배출경로 219

[그림 63] 산림유역의 물순환 및 물질순환 220

[그림 64] 오염물 제거과정(Kundt & Hall, 1988) 221

[그림 65] 도로지역 오염물질 유출경로 221

[그림 66]굵은 모래 및 자갈에 의한 Filter System(습지여과시스템 단면) 222

[그림 67] 축사지역 오염물질 배출경로 223

[그림 68] 수질정화여과 시설 223

[그림 69] 갈대 수질정화 습지 224

[그림 70] 비점오염원 분포현황과 수질관리기법 적용대상지 226

[그림 71] 어린이, 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환경해설 228

[그림 72] 탐방객안내소 237

[그림 73] 종합전시관 내부공간 구획도 238

[그림 74] 종합전시관 내부공간 이미지 사진 238

[그림 75] 탐방객안내소 스케치 239

[그림 76] 온실 단면도 239

[그림 77] 온실 내부공간 이미지 사진 239

[그림 78] 자연관찰로 241

[그림 79] 안내판 현황 242

[그림 80] 환경해설판 예시 244

[그림 81] 캐릭터개발 사례 249

[그림 82] 모니터링 조직의 구성 256

[그림 83] 관리운영조직 구성도 262

[그림 84] 재원마련방안 27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