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개정 역사교육과정과 역사교사의 역할 / 신선호 4

1. 역사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4

2.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기본방향 6

3. 개정 역사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8

가. 초등학교 사회5(역사영역) 8

나. 역사(중학교 ~ 고등학교 1학년) 9

다. 고등학교 선택과목 10

1) 한국문화사 10

2) 세계 역사의 이해 11

3) 동아시아사 13

4. 역사교사의 역할 14

가. 기회인가? 위기인가? 14

나. 역사교사의 역할 15

참고문헌 17

한국근대의 세계사적 계기와 동아시아 / 최덕수 18

1. 머리말 18

2. 동아시아론의 배경 18

3. 1880년대 초 조선정부의 개화정책과 동아시아 19

1) 개항 후 대외정세의 파악 19

2) 정부기구개편 19

4. 1882년 조선과 동아시아 19

5. 맺음말 22

한ㆍ일 관계사의 이해(조선통신사를 중심으로) / 손승철 23

1. 통신사에 대한 상반된 인식 23

2. 통신사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24

3. 다시 부활하는 통신사 27

4. 통신사에 대한 상반된 인식 32

5. 향후의 과제 35

참고문헌 36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구성상의 특징과 활용방법 / 박진동 37

1. 머리말 37

2.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의 구성상의 특징 38

3. 구성에 따른 활용 방안 43

4. 주제별 교과서 서술과 자료의 비교 사례 46

(1) 영남 만인소 46

(2) 의열단과 조선혁명선언 47

(3) 통일정책과 남북대화 48

5. 맺음말 49

‘현대사회의 발전’ 단원의 성격과 현대사 교육 / 김한종 52

1. 현대사 교육의 문제점 52

2. 현대사 단원의 내용 구성 54

가. 단원 구성 54

나. 내용서술상의 유의점 57

3. 「한국근ㆍ현대사」 교과서의 문제점과 현대사 수업 61

가. 짧은 제작기간 61

나. 자료 선정의 어려움과 자료의 신뢰성 62

다. 현대사 수업의 방향 65

한ㆍ중ㆍ일의 역사갈등과 화해를 위한 모색 / 이만열 68

1. 들어가는 말 68

2. 한ㆍ일 간의 역사갈등 71

가. 일본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왜곡 71

나. 일본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 검토 73

다. 일본 지도층의 망언에 의한 역사 갈등 75

라. 식민주의 사관의 내용 76

1) 他律性史觀(혹은 타율성이론) 76

2) 停滯性史觀(혹은 停滯性理論) 79

3) 日鮮同祖論 82

3. 한ㆍ중 간의 역사갈등 -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문제를 중심으로 84

가. 東北工程 84

나.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의 흐름 84

다. '고구려사=중국사'의 주장 86

1) 고구려민족은 중국 고대민족의 한 갈래이며 조선족이 아니다. 86

2) 고구려는 중국 땅에 세워졌다. 87

3) 고구려는 독립국가가 아니고 중국의 지방정권이며, 중원왕조의 신속국이다. 88

라. 고구려사에 대한 中ㆍ韓 양국의 사료 88

1) 중국측 史料 88

2) 한국측 史料 88

4. 한국 역사교과서의 近隣國 관련 갈등 요인 90

5. 역사갈등을 넘어선 화해의 모색 91

통계와 자료로 보는 일제하 사회경제사 / 박찬승 95

1. 인구 95

2. 농업과 농민 100

3. 공업과 노동자 107

4. 교육 111

5. 의료ㆍ위생 116

6. 철도 121

가. 조선철도의 현황 121

나. 조선철도 부설의 의미 124

1) 조선철도의 경제적 의의 124

2) 철도부설의 정치적 의의 124

3) 철도부설의 군사적 의의 125

7. 정치범 125

8. 결론 : 식민지 조선의 사회생활상 -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127

1) 정치 127

2) 경제 127

3) 사회, 문화 128

4) 결론 129

한국현대사 인식과 교육의 몇 가지 문제 / 정용욱 130

1. 들어가며 130

2. 대학 강의실에서 돌아본 고등학교 현대사 교육 133

3. 현대사 인식과 현대사 교육의 출발선에서 135

가. 현재를 알아야 과거가 보인다 135

나. 개체발생은 계통발생을 되풀이 한다 137

다. 사료는 참말보다 거짓말을 더 많이 한다 139

4. 역사적 사유방식을 가르칠 것인가, 역사 지식을 주입할 것인가 141

한국 독립 운동과 중국 / 한상도 143

1. 삼민주의와 한인독립운동 143

가. 삼민주의의 성립 143

나. 삼민주의의 내용 143

다. 삼민주의와 한국독립운동 144

2. 중국국민당정부(中國國民黨)와 한국독립운동 146

가. 신해혁명~국민당정부 수립 시기(1911~1927) 146

나. 국민당정부 수립이후~중일전쟁 발발 시기(1928~1937) 148

다. 중일전쟁 이후~일제패망 시기(1938~1945) 150

라. 중국국민당정부의 한인독립운동 지원과 전후 한반도정책 152

3. 조선의용군의 위상과 동방각민족반파시스트대동맹의 관계 154

가. 동방각민족반파시스트대동맹의 결성 154

나. 조선의용군과 동방각민족반파시스트대동맹의 관계 157

참고문헌 16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과 역사적 평가 / 김희곤 162

1. 머리말 162

2. 임시정부의 수립과 상하이시대(1919~1932)의 활동 164

가. 임시정부 수립기의 조직과 활동 164

나. 임시정부 시련기의 활동 167

1) 임시정부의 시련과 국민대표회의 167

2) 唯一黨運動의 전개 169

다. 정당중심 운영과 항일투쟁의 강화 170

3. 이동시대(1932~1940) 군사력 양성과 전시계획 마련 172

가. 남경시기 군사력 양성과 좌우합작운동의 재기 172

나. 중일전쟁 이후 이동기의 임시정부 전시계획 174

4. 중경시대(1940~1945) 임시정부의 체제 정비와 광복군 창설 175

가. 임시정부의 체제 정비와 좌우합작의 달성 175

나. 광복군 창설과 활동 176

5. 환국 178

6. 맺음말 179

근대도시의 형성과 발전 / 홍순권 181

1. 근대도시란 무엇인가? 181

가. 근대도시의 개념 181

나. 우리나라 근대 도시의 유형과 성격 183

1) 전통기반형 대도시 183

2) 개항장 도시 184

3) 일제강점기의 중소신흥도시 185

(1) 전통적 지방행정도시 185

(2) 교통 중심의 신흥도시 186

(3) 일제하의 신흥공업도시 186

(4) 이 밖의 도시들로는 진해와 같은 군사 도시, 경주와 같은 관광도시, 포항ㆍ여수와 같은 수산업 도시, 통영ㆍ방어진ㆍ장승포와 같은 일본어민들이 집단 이주하여 건설한 어업기지 도시들이 있다. 187

2. 자료와 연구방법 187

가. 지방지, 관보 및 기타 관공문서 187

나. 개항기의 외교문서와 관련법규 188

다. 신문과 잡지 188

라. 요람, 총람, 개람, 대관, 안내 등 189

마. 각종 통계자료 189

바. 지도, 사진, 엽서 190

사. 기타 자료 190

3. 자료는 어디에 있는가? 191

가. 도서관 등 공공기관의 소장 자료 191

나. 개별 기관의 소장 자료 191

다. 개인 소장 자료 192

4. 자료의 정리와 현장 조사 192

가. 자료 수집과 정리하기 192

나. 현장 조사를 통한 도시 연구 193

5. 자료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194

가. 인구통계의 분석과 응용 194

나. 지도를 통해 본 가로망과 도시 공간의 변화 195

다. 사진을 통해 본 근대 건축과 시가지 모습의 분석 196

6. 자료를 활용하기 197

참고문헌 198

한국 근현대사 수업 어떻게 할까? / 서인원 200

1. 머리말 200

2. 사회과 교육과 역사 교육 201

3.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03

가. 학생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 근현대사의 현황 204

나.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하에서의 문제점 206

다. 정치적 논리로서의 문제점 209

라. 동북아의 국제적 문제와 근현대의 역사 211

4. 한국 근현대사 교육과정의 문제 212

5. 한국 근현대사 수업의 학습 지도 214

가. 강의식 수업 216

나. 문답 수업 216

다. 토의 수업 217

라. 모의 학습 217

마. 역할놀이 학습 217

바. 협동 학습 217

사.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수업 218

아. 탐구 수업 218

자. 의사 결정 수업 218

6. 맺음말 219

설문 조사 221

사진으로 보는 러시아 한인사회와 민족운동 / 박환 222

1. 구한말 의병운동과 계몽운동 222

가. 의병운동 222

나. 계몽운동 223

2. 1910년대 재러한인의 민족운동 전개 224

가. 권업회의 조직과 활동 224

나.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의 조직과 활동 225

3. 러시아 혁명이후의 독립운동과 3ㆍ1운동의 전개 226

4. 러시아 지역 한인독립운동의 역사적 성격 227

참고문헌 229

개화운동과 근대개혁에 대한 논쟁 / 유영렬 240

1. 머리말 240

2. '광무개혁'에 대한 논쟁 241

가. '광무개혁론'의 주장과 반론 241

나. 대한제국초기의 개혁주체 문제 242

1) 집권층 중심의 개혁론 242

2) 독립협회 중심의 개혁운동론 242

다. 광무정권의 시정이념 문제 242

1) 구본신참 긍정론 242

2) 구본신참 부정론 242

라. 광무개혁의 내용 문제 243

1) 각종 근대개혁 긍정론 243

2) 각종 근대개혁 부정론 243

3) 정치에서의 보수반동성 243

마. 맺음말 244

3. 독립협회에 대한 논쟁 244

가. 독립협회의 지주제유지론 문제 244

1) 지주제유지론 비판 244

2) 지주제개선론 주장 244

3) 개화파의 경제발전론 244

4) 조선후기 농촌경제개선론 245

나. 독립협회의 전제황권강화론문제 245

1) 전제황권강화론 245

2) 자주국권 강화론 246

3) 정부탄압 회피론 246

4) 『독립신문』의 입헌정치선호론 246

다. 독립협회의 정치체제론 문제 246

1) 입헌군주제론 246

2) 프러시아형의 입헌군주제론 247

3) 영국형의 입헌군주제론 247

라. 독립협회의 愚民觀과 하원설립반대론 문제 247

1) 인민불신론 247

2) 하원설치 시기상조론 247

3) 황국협회=비민권단체론 247

4) 독립협회의 인민주권론 247

마. 독립협회의 자주성 문제 248

1) 독립협회=친미단체론 248

2) 독립협회자주국권론 248

4.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논쟁 248

가. 애국계몽운동의 용어와 기점 248

1) 용어문제 248

2) 기점문제 249

나. 사회진화론의 역할 문제 249

1) 애국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249

2) 강자의 약자지배 논리(사회진화론의 부정적 작용) 249

3) 약자의 강자화의 논리(사회진화론의 긍정적 작용) 250

다. 애국계몽운동의 논리와 성과 250

1) 실력양성운동 부정론 250

2) 실력양성운동 긍정론 250

라. 항일의병운동과의 상관관계 251

1) 상호대립론 251

2) 상호보완론 252

5. 맺음말 : 근대사를 보는 시각 252

가. 민중운동에 대한 시각 문제 252

나. 개화자강계열 지도층의 한계성 문제 253

다. 개화기의 외세에 대한 인식 문제 254

표목차

개정 역사교육과정과 역사교사의 역할 / 신선호 5

【표 1】 사회과 11개 과목 중 역사 과목 연도별 수능 선택 순위 변화 5

【표 2】 사회과 교육과정 신구 비교 6

【표 3】 「역사」 내용 구성 7

【표 4】 학교급별 교육과정 현장적용 일정 8

【표 5】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역사」 내용체계 9

【표 6】「한국문화사」의 내용 체계 11

【표 7】「세계 역사의 이해」 내용 체계 12

【표 8】「동아시아사」 내용 체계 13

【표 9】교과서 모형단원 개발진 현황 16

한ㆍ일 관계사의 이해(조선통신사를 중심으로) / 손승철 26

표 1. 조선전기 통신사일람표 26

표 2. 조선후기 통신사 일람표 29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구성상의 특징과 활용방법 / 박진동 39

[표 1] 일반계 고교 사회과 선택 현황 및 수능 응시자수 39

[표 2] 교과서별 대단원 배분 쪽수와 구성비 39

[표 3]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체제 41

[표 4] 교과서 발행 출판사 및 기타 참고할 만한 홈페이지 43

[표 5] 교과서별 자료제시 비교(419혁명 부분 예시, 위의 김진호 선생님 자료) 45

‘현대사회의 발전’ 단원의 성격과 현대사 교육 / 김한종 54

[표] ‘현대사회의 발전’ 단원 구성 54

통계와 자료로 보는 일제하 사회경제사 / 박찬승 100

[표 2-1] 1945년말 현재 토지소유 상황 총괄표 100

[표 2-2] 신한공사 소유 경지의 규모와 비중 100

[표 2-3] 30정보 이상 소유 일본인 지주의 각 도별 분포 (1929) 101

[표 2-4] 각 도의 춘궁농가 호수 (1930년) 103

[표 3-1] 공업별 생산액(1932년) 108

[표 4-1] 1910년대 보통학교와 고등보통학교의 수업시간 표(초등 4년과 고보 4년) 112

[표 4-2] 1920년대 6년제 보통학교 수업시간표 112

[표 4-3] 일본어교육 강화에 따른 일본어 습득자의 증가 113

[표 6-1] 철도보급의 비교 (1930년) 121

한국현대사 인식과 교육의 몇 가지 문제 / 정용욱 138

[표 1] 138

[표 2] 138

근대도시의 형성과 발전 / 홍순권 195

[표] 1910-1942년 시기 부산의 인구 195

그림목차

통계와 자료로 보는 일제하 사회경제사 / 박찬승 95

[그림 1-1] 식민지시기 인구 변화 추세 (1910-1945) 95

[그림 1-2] 국세조사 시 인구변화 (1925-1940) 95

[그림 1-3] 재조선 일본인 수의 변화 96

[그림 1-4] 일본인 인구 증가율의 변화 추세 96

[그림 1-5] 1930년도 각 도별 조선인 인구분포 97

[그림 1-6] 1930년도 각 도별 일본인 인구분포 97

[그림 1-7] 조선인의 직업별 인구구성 (1917년) 98

[그림 1-8] 조선인의 직업별 인구구성 (1942년) 98

[그림 1-9] 1917년 재조선 일본인의 직업별 인구구성 99

[그림 1-10] 1942년 재조선 일본인의 직업별 인구구성 99

[그림 2-1] 논밭 자작, 소작지 변화 추이 102

[그림 2-2] 영농 종류별 농가호수 비율 103

[그림 2-3] 쌀의 생산과 수이출 및 소비량 105

[그림 2-4] 일본으로의 도항자 및 귀환자 106

[그림 3-1] 공장수의 변화 (1911-1940년) 107

[그림 3-2] 공장의 종업원 수 추이 (1911-1940년) 107

[그림 3-3] 공업별 생산액 (1932년) 109

[그림 3-4] 1927년 각 도별 공업 생산액 109

[그림 3-5] 1936년 각 도별 공업 생산액 110

[그림 4-1] 식민지기 초등학교 종류별 학생수의 변화 추이 113

[그림 4-2] 식민지기 보통학교 취학률 (1912-1942) 114

[그림 4-3] 식민지기 고등보통학교 학교수의 추이 115

[그림 5-1] 식민지기 병원 수의 추이 116

[그림 5-2] 식민지기 주요 의료인력 추이 117

[그림 5-3] 식민지기 산파의 수 117

[그림 5-4] 식민지기 각종 전염병 감염 사망자수 연도별 추이 119

[그림 5-5] 식민지기 각종 전염병 감염 사망자 수 119

[그림 6-1] 식민지기 조선내 철도의 길이 121

[그림 6-2] 철도 여객수의 증가추세 122

[그림 6-3] 철도화물의 증가추세 123